[재계인물정보]박용곤 두산그룹 명예회장

[KJtimes=장우호 기자]박용곤 두산그룹 명예회장은 1932년 4월 17일 일제강점기 당시 경성부, 현재의 서울특별시에서 故 박두병 두산그룹 초대회장과 故 명계춘 전 두산산업 감사 사이 6남1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1951년 경동고등학교를 졸업한 뒤 미국 유학길에 올라 1959년 워싱턴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했다. 결혼은 여동생 박용언씨의 친구 故 이응숙씨와 했다. 이씨는 박두병 초대회장이 며느리감으로 마음에 들어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1960년 한국산업은행에서 사회생활을 시작했다. 1963년 동양맥주에 입사해 경영에 참여한 뒤 1966년 한양식품 사장, 1973년 동양맥주 부사장에 올랐고 1974년 합동통신과 두산산업 사장에 취임했다. 1978년에는 두산산업 회장이 됐다.

1981년부터 두산그룹 회장을 맡다가 1991년 이른바 낙동강 페놀사건으로 인해 회장직에서 물러났다. 1993년 두산그룹 회장에 복직한 뒤 1996년부터 현재까지 명예회장으로 있다.

대외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1974년 한국신문협회 이사, 국제언론인협회 회원을 지냈고 1981년 한국능률협회 부회장, 국제상업회의소 의장을 맡았다. 1983년 한국경영자총협회 부회장, 1988년 현대사회연구소 이사, 1989년 한미친선회 이사, 1993년 한국자유총연맹 부총재를 역임했다.

1978년 주한볼리비아 영사관 명예영사, 1985년 주한아일랜드 대사관 명예영사 등도 지냈다. 1982년 프로야구 원년구단인 OB베어스 구단주로 있었고 1992년 대한골프협회 부회장을 역임했다.

1991년 낙동강 페놀 오염사건으로 두산그룹 회장직에서 물러났다. 구미 공업단지 내 위치한 두산전자는 1991년 3월 16일과 4월 22일 두 차례에 걸쳐 각각 페놀 30여톤과 1.3톤을 낙동강 지류인 옥계천에 유출했다.

1차 유출은 3월 14일 오후 10시부터 15일 오전 6시까지 이뤄졌다. 두산전자의 페놀원액 저장탱크에서 페놀수지 생산라인으로 통하는 파이프가 파열돼 당시 30여톤의 페놀이 대구 지역의 상수원으로 사용되는 다사취수장으로 유입됐다.

총 8시간에 걸쳐 페놀이 새어 나왔으나 이를 알아채지 못했고, 수돗물에서 악취가 난다는 대구 시민의 신고를 받은 취수장측은 원인 규명도 하지 않은 채 페놀 소독에 사용하면 안되는 염소를 다량 투입해 사태를 악화시켰다. 이 과정에서 페놀은 클로로페놀로 변해 심한 악취를 유발했다. 클로로페놀은 페놀 보다 심한 악취와 함께 독성도 강해져 농도 1ppm을 넘으면 암과 중추신경장애 등을 일으키는 독성 물질이다.

수돗물의 페놀 수치는 0.11ppm까지 올라갔다. 당시 한국의 허용치인 0.005ppm의 22배, 세계보건기구의 허용치인 0.001ppm의 110배에 달하는 수치다. 해당 취수장은 대구시 거의 모든 지역에 오염된 수돗물을 공급해 일부 주민들은 두통과 구토 증세를 보이기도 했다. 특히 두산전자로부터 새어나온 30여톤의 페놀은 낙동강을 타고 흘러가 부산을 포함한 영남 전 지역으로 퍼졌다.

당시 대구 환경처 직원 7명과 두산전자 관계자 6명 등 13명이 구속되고 관계 공무원 11명이 징계처리 됐다. 두산전자는 이 사건으로 30일 조업정지 처분을 받았다가 고의성이 없다는 이유로 20일 만인 4월 9일 조업을 재개했다.

그러나 4월 22일 오후 12시경 또 페놀이 유출되는 사건이 벌어졌다. 대구 일대는 식수 공급이 중단됐고, 임산부가 유산하는 일도 생겼다. 게다가 조사 결과 이전에도 1990년 11월부터 1991년 2월까지 4개월간 월 500만원의 비용을 아끼기 위해 매일 1.7톤의 페놀을 정화하지 않고 불법방류한 사실이 발각돼 64일의 영업정지 처분이 내려졌다.

악취와 환경오염 공포에 시달리는 등 극심한 피해를 입은 대구 시민들은 두산전자를 상대로 1만3475건에 대해 170억100만원의 배상을 청구했다. 특히 임산부 8명이 자연유산 및 임신중절 등에 대한 피해배상을 요구하고 나섰다. 그러나 두산전자는 이 가운데 임산부의 정신적 피해 등을 제외하고 1만1036건 10억1800만원을 배상하는 데 그쳐 논란이 됐다.

이 사건으로 박용곤 당시 두산그룹 회장이 사퇴했고, 당시 허남훈 환경처 장관과 한수생 차관도 함께 경질됐다. 이 사건은 당시 기업들의 비양심적이고 비윤리적인 기업경영을 드러낸 사건으로, 녹색연합은 1999년 낙동강 페놀 오염 사건을 ‘1950년대 이후 발생한 대한민국 환경 10대 사건’ 1위로 선정하기도 했다.

낙동강 페놀 유출사건을 계기로 환경오염의 파급효과와 환경권에 대한 관심이 급부상했다. 1994년 3월 16일 보건사회부는 생수의 국내 시판을 공식 허용하기도 했다. 페놀 사건을 계기로 수돗물에 대한 불신이 커지면서 국내에 생수시장이 본격적으로 형성된 것이다.

사건 근원지인 대구에서는 두산 제품에 불매운동까지 벌였다. 대구 시내 슈퍼마켓 업주들은 두산제품인 OB맥주와 코카콜라 등을 진열대에서 모두 치웠다. 당시 전업주부였던 김은경 환경부 장관은 페놀로 오염된 수돗물을 마신 피해자이자 피해보상의 중심에서 활동해 ‘페놀 아줌마’로 불리기도 했다.

이재용 전 환경부 장관 역시 페놀 사건의 중심에 있던 인물이다. 이재용 전 장관은 당시 대구환경운동연합 집행위원장으로 활동했으며 참여정부에서 환경부 장관을 지냈다.

2015년 7월 비등기임원에서 사퇴하면서 회사 경영에서 손을 뗐다. 두산그룹측은 박용곤 명예회장이 고령이라 건강을 고려해 집행위원 직책을 사퇴한 것이며 명예회장직은 그대로 유지한다고 밝혔다.

두산은 형제 가운데 누구 한사람이 독단적으로 치고 나갈 수 없는 지배구조를 갖고 있다. 박두병 초대회장이 가족 간 화합과 평화를 중요시 여겨 지분 분배를 일정한 비율로 골고루 나눠준 것이다. 두산그룹 최대주주의 특수관계인만 33명에 달한다.

이 같은 박 초대회장의 가르침에 따라 두산그룹은 박용곤→박용오→박용성→박용현→박용만으로 이어지는 형제경영을 고수해오면서 가족경영의 대표적인 사례로 꼽혔다.

2005년 차남 故 박용오 전 회장이 삼남 박용성 전 회장에게 회장직을 넘기면서 ‘형제의 난’이 벌어지기는 했지만 현재까지 무리 없이 경영권 승계 작업이 이뤄지고 있다. 다만 막내동생인 박용욱 이생그룹 회장은 일찌감치 두산그룹을 나와 개인사업을 운영하고 있어 두산은 2016년 3세 경영체제를 끝내고 박정원 회장을 필두로 4세 경영체제의 막을 올렸다.

배우자 이응숙 여사와 슬하에 2남1녀를 뒀다.

박정원 두산그룹 회장은 1962년 3월 9일 서울에서 태어났다. 1981년 대일고등학교를 졸업한 뒤 1985년 고려대학교 경영학과를 나왔다. 1989년 보스턴대학교 MBA과정을 수료했다. 1985년 두산산업에 입사해 경영에 참여한 이후 뉴욕지사, 도쿄지사 등 해외에서 근무했다.

1999년 두산 대표이사 부사장에 오른 뒤 2001년 사장, 2007년 부회장을 지냈다. 2009년 두산베어스의 구단주로도 있었다. 2016년 3월 두산그룹 회장에 올랐다. ㈜두산 주식 133만7013주(6.62%)를 보유하고 있어 두산가 4세 가운데 가장 많은 지분을 확보했다.

두산 총수에 오른 이후 1년여간 경영실적은 합격점을 받을 만하다는 평가다. 전 계열사를 흑자전환 하는 데 성공했고, 지주사 역할을 하는 ㈜두산의 총차입금을 14조원에서 12조원 수준으로 줄였다. 특히 2007년 두산이 야심차게 인수한 건설기계 업체 ‘두산밥캣’을 상장하며 1조원 가량의 재무구조 개선효과를 냈다.

박혜원 오리콤 부회장은 1963년 8월 출생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의류직물학과를 졸업한 뒤 오리콤에서 매거진부문 부사장으로 근무하다가 총괄부회장에 올랐다.

박지원 두산중공업 회장은 1965년 4월 21일 서울에서 태어났다. 1988년 연세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1990년 뉴욕대학교에서 MBA과정을 밟았다. 1988년 동양맥주에 입사했고 1998년 두산상사 이사, 1999년 두산 상무에 올랐다.

2001년부터 두산중공업에서 기획조정실장, 사장 등을 거쳐 2016년부터 회장을 역임하고 있다. 두산그룹 부회장도 겸임하고 있다. 박정원 회장에 이어 두번째로 많은 두산 지분을 갖고 있다. 그가 보유한 두산 주식은 89만1321주(4.41%)다.


=====================================================================================

기본정보

생년월일: 1932년 4월 17일
직업: 기업인
직함: 두산그룹 명예회장


=====================================================================================

가족정보

관계 

이름 

생년월일 

비고 

부 

박두병 

1910년 10월 6일~1973년 8월 4일 

두산그룹 초대회장 

모 

명계춘 

1913년 1월 30일~2008년 9월 16일 

전 두산산업 감사 

여동생 

박용언 

1933년 10월 14일 

김세권 KCL 고문변호사 배우자 

남동생 

박용오 

1937년 4월 29일~2009년 11월 4일 

전 두산그룹 회장 

남동생 

박용성 

1940년 9월 11일 

전 두산중공업 회장 

남동생 

박용현 

1943년 9월 16일 

예술의전당 이사장, 두산연강재단 이사장 

남동생 

박용만 

1955년 2월 5일 

두산인프라코어 대표이사 회장 

남동생 

박용욱 

1960년 4월 3일 

이생그룹 회장 

배우자 

이응숙 

1936년 6월 28일~??? 

 

장남 

박정원 

1962년 3월 9일 

두산그룹 대표이사 회장 

장녀 

박혜원 

1963년 8월 

오리콤 부회장 

차남 

박지원 

1965년 4월 21일 

두산중공업 대표이사 회장 



=====================================================================================

학력정보

경동고등학교 졸(1951년)
워싱턴대학교 경영학 학사(1959년)


=====================================================================================

경력정보

한국산업은행 입행(1960년)
동양맥주 입사(1963년)
두산산업 이사(1966년)
한양식품 대표이사 사장(1966년)
동양맥주 이사(1967년)
동양맥주 대표이사 부사장(1973년)
동산토건 이사(1973년)
두산산업 대표이사 사장(1974년)
합동통신 대표이사 사장(1974년)
한국신문협회 이사(1974년)
두산산업 대표이사 회장(1978년)
주한볼리비아 명예영사(1978년)
두산그룹 회장(1981년)
한국능률협회 회장(1981년)
국제상업회의소(ICC-KNC) 의장(1981년)
OB베어스 구단주(1982년)
한국경영자총협회 부회장(1983년)
주한아일랜드 명예영사(1985년)
현대사회연구소 이사(1988년)
한미친선회 이사(1989년)
대한골프협회 부회장(1992년)
두산그룹 회장(1993년)
한국자유총연맹 부총재(1993년)
두산그룹 명예회장(1996년)
한국경영자총연맹 고문(1997년)
한국자유총연맹 이사(1998년)
두산상사 대표이사 명예회장(1998년)
두산건설 대표이사 회장(1998년)
중앙대학교 이사(2008년)


=====================================================================================

수상정보

은탑산업훈장(1984년)
금탑산업훈장(1987년)
한국경영학회 제정 경영자대상(1995년)
워싱턴대 리더십공로상(2004년)


=====================================================================================

지분정보

두산 28만9165주(1.43%)
네오홀딩스 
두산건설 2주(0.00%)








[스페셜 인터뷰]‘소통 전도사’ 안만호 “공감하고 소통하라”
[KJtimes=견재수 기자]“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사회변화는 타인의 생각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능력을 자라지 못하게 방해하고 있다. 공감과 소통이 어려워진 것이다.(공감과 소통의) 의미가 사라지고 충동만 남게 됐다.” 한국청소년퍼실리테이터협회(KFA: Korea Facilitators Association)를 이끌고 있는 안만호 대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디지털 사회로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해 이 같이 진단했다. 또 이제 공감능력 없이는 생존하기 힘든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면서 비대면 사회에 대한 깊은 우려를 나타냈다. 소통 전문가로 통하는 안 대표는 “자신을 바라보고 다른 사람을 이해하며 공감하고 소통하는 방법이 필요한데 스마트폰이나 SNS, 유튜브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되면서 어느 순간 사회성은 경험의 산물이 아니라 지식의 산물이 되어 버렸다”며 “요즘 인간의 탈사회화가 진행되는 것에 비례해 인간성의 급격한 하락을 경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코로나 사태는 사회적 거리를 두더라도 우리가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개체가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는 관계이자 연대라는 점이 더욱 분명하게 밝혀졌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