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경제활동률, 男女 역전

2013.03.07 11:23:41

30·40대에서는 여전히 男이 높다…女 출산과 육아 영향

 

[kjtimes=견재수 기자] 지난해 20대 남녀 기준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이 남성을 처음으로 추월했다. 그러나 결혼 후 출산과 육아 부담이 큰 30대에서는 남성의 60% 수준에 그쳤다.

 

7일 통계청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지난해 20대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은 62.9%62.6%인 남성을 앞지른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 대학진학률은 4년 전 남성을 추월했지만 경제활동참가율이 역전된 것은 처음이다.

 

그동안 20대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은 남성에 미치지 못했다. 10년 전인 200220대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은 61.1%20대 남성 70.9%보다 9.8%포인트나 낮았다.

 

최대점을 찍은 지난 200520대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은 64.4%까지 기록했다. 그러나 등락을 거듭하다 지난해 63%를 기록한 것이다. 이 사이 20대 남성 경제활동참가율은 지속적으로 떨어지면서 지난해 처음 역전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여성의 경쟁력이 크게 향상됐기 때문인 것으로 대학진학률을 예로 들면 2009년 여성의 대학진학률이 82.4%를 기록해 남성의 81.6%를 추월했다. 이 같은 흐름은 지난해까지 4년째 연속으로 이어지고 있다.

 

여기에 20대 여성의 자기계발 성향이 강해지고 결혼과 출산이 늦어진 부분도 한 몫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실제 경제활동에 참가하는 여성의 경우 가장 큰 고민이 출산과 육아라는 점이 시선을 끈다.

 

30대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은 남성의 93.3%보다 37.3%포인트 낮은 56.0%를 기록했다. 결혼 시기가 늦춰진데다 결혼 후 아이를 낳고 길러야 하는 시기와 겹쳤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30대 남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이 10년 전(2002) 95.1%에서 지난해 93.3%로 소폭 하락했는데 여성은 54.6%에서 56.0%로 여전히 50%포인트 중반대에 머물고 있다. 이처럼 30대 여성과 남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의 격차가 좀처럼 좁혀지지 않는 원인도 동일한 것으로 보고 있다.

 

이 같은 흐름은 40대 여성과 남성의 임금 차이로도 이어졌다.

 

2011년 기준으로 전체 여성의 월급여액은 1548000원으로 남성의 2444000원의 63.3%에 그쳤다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회원국 중 최대다. 결혼으로 인한 출산과 육아가 경력의 단절을 가져왔기 때문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여성의 경력단절을 줄이고 경제활동 참가를 확대하기 위해 근로시간이 유연한 다양한 일자리 창출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또한 근로기준법에 명시된 90일의 출산휴가를 제대로 사용하도록 하고 남성의 육아휴직도 활성화 할 수 있는 분위기도 조성되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영세기업은 출산휴가를 쓰기에 쉽지 않은데다 남성육아 휴직도 2%대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견재수 기자 ceo0529@kjtimes.com
Copyright @2010 KJtimes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창간 : 2010년 6월 21일] / kjtimes(케이제이타임즈) / Tel) 02-722-6616 / 주소 : 서울시 금천구 서부샛길 606 (구 가산동 543-1) 대성디폴리스 A동 2804호/ 등록번호 :아01339 / 등록일 : 2010년 9월 3일 / 발행•편집인 : 신건용 / 청소년보호책임자 : 신건용 KJtimes의 콘텐츠(기사)는 지적재산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복사, 전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c) KJtime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