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구 62% "내 소득 중간 못 미친다"

2013.03.12 10:09:04

[kjtimes=김봄내 기자]자신의 소득이 중간 수준에도 미치지 못한다고 생각하는 가구가 10곳 중 6곳이 넘는 것으로 조사됐다.

 

사회통합·공정성이 나빠졌다고 생각하는 가구는 전체의 절반에 달했다.

 

12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과 통계청에 따르면 작년 전국 5732가구를 대상으로 한 한국패널조사에서 자신의 소득이 중간 이하라고 생각한다는 가구가 61.8%에 달했다.

 

하위층, 중하층, 중간층, 중상층, 상위층 등 5단계 소득계층 조사에서 자신이 속한 집단이 하위층(24.5%)과 중하층(37.3%)이라고 답한 가구가 10곳 중 6곳이 넘은 것이다.

 

중간층이라는 답변은 33.8%였고 중상층은 4.1%, 상위층은 0.3%에 불과했다.

 

저소득가구는 중하층 이하라는 답변이 88.6%에 달했고 중간층 10.9%, 중상층 이상 0.5%였고 일반가구는 중하층 이하 53.0%, 중간층 41.3%, 중상층 이상 5.7%였다.

 

저소득가구는 중위소득 60% 미만, 일반가구는 중위소득 60% 이상으로 전체 응답자의 절반씩을 차지한다.

 

국가 경제상황이 1년 전보다 나아졌다는 응답은 전체 가구 중 9.2%에 그쳤고 나빠졌다는 응답이 65.8%였다. 비슷하다는 응답은 25.1%였다. 이 응답의 조사 기간은 작년 상반기였다.

 

취업 기회가 나아졌다는 응답은 5.9%에 그쳤고 '나빠졌다' 58.4%, '비슷하다' 35.7%였다. 소득분배 형평성이 나아졌다는 응답도 5.3%에 그쳤고 '나빠졌다' 57.1%, '비슷하다' 37.6%였다.

 

사회통합과 공정성에 대한 인식도 부정적이다.

 

사회통합이 나아졌다는 응답은 7.3%, 나빠졌다는 50.4%, 비슷하다는 42.3%였다. 공정성이 나아졌다는 응답은 9.4%, 나빠졌다는 50.0%, 비슷하다는 40.6%였다.

 

시민의식 수준이 나아졌다는 응답은 40.0%로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나빠졌다는 응답은 18.5%였고 비슷하다는 41.4%였다.

 

기부액은 일반가구가 저소득가구보다 많았지만 봉사활동은 오히려 저소득가구가 더 많았다.

 

전체 가구의 금융재산은 평균 4420만원이며 저소득가구는 1236만원, 일반가구는 5465만원이었다. 예금 2373만원, 적금 1396만원, 주식·채권 474만원 등이었다.

 

부채는 평균 4102만원이고 저소득가구 1528만원, 일반가구 4947만원이었다. 마이너스통장 등 금융기관 대출이 평균 2270만원, 일반사채 109만원, 카드빚 45만원, 전세보증금 1497만원, 외상 40만원, 기타 부채 141만원이었다.

 

작년 전국 2인 이상 전체 가구의 소득은 월평균 407만6876원이었고 이중 근로소득이 268만8793원, 사업소득이 85만4185원, 재산소득이 2만946원, 이전소득이 37만792원 등이었다.

 



김봄내 기자 kbn@kjtimes.com
Copyright @2010 KJtimes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창간 : 2010년 6월 21일] / kjtimes(케이제이타임즈) / Tel) 02-722-6616 / 주소 : 서울시 금천구 서부샛길 606 (구 가산동 543-1) 대성디폴리스 A동 2804호/ 등록번호 :아01339 / 등록일 : 2010년 9월 3일 / 발행•편집인 : 신건용 / 청소년보호책임자 : 신건용 KJtimes의 콘텐츠(기사)는 지적재산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복사, 전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c) KJtime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