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銀 연이은 악재…서진원 행장 리더십 도마위

2013.07.22 17:36:27

최근 3년간 기관경고조치 2회 받는 등 총체적 난국

 

[kjtimes=김한규 기자] 201012월 수장이 된 서진원 행장의 리더십에 대한 논란이 끊이질 않고 있다. 연이은 사건·사고 업무 과실 등으로 최근 3년간 기관 경고를 두 차례나 받았을 정도로 서 행장이 내부통제에 실패한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나올 정도다.

 

22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 2010년 이른바 신한금융사태’ 이후 서 행장은 해당 사건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어 은행 안팎과 마찰이 적을 것이란 기대 속에 은행장에 선임 됐다는 시각이 적지 않았다. 서 행장 또한 신임 행장 이·취임식에서 분열된 조직을 추스르고 새롭게 시작한다는 각오를 밝혔다.

 

하지만 20126월 신한은행은 잇따른 횡령사건이 문제가 돼 금감원으로부터 기관경고와 함께 600만원의 과태료 처분을 받았다. 신한은행은 전현직 임직원 29명을 징계하고 11건에 대해 시정을 요구받는 등 무거운 징계를 감수해야 했다.

 

당시 금감원은 동아건설 횡령사건에 대한 2심 재판부의 판결과 200억원대의 원주지점 횡령사고의 책임을 물어 이같은 결정을 내렸다.

 

같은해 9월에는 서울시 서교동 모 지점 직원 18명은 수수료 영수증을 허위로 발급한 뒤 수천만원을 횡령한 사실이 드러났다. 이들은 지점의 사업자등록증 등 관련 서류를 위조해 타은행에 지점 명의 통장을 남몰래 개설한 뒤 고객들로부터 수수료를 입금 받는 방식으로 고객 돈을 착복하다 들켰다.

 

뿐만 아니다. 은행 직원 50명은 개인적인 목적으로 개인신용정보를 1292회에 걸쳐 부당 조회하기도했으며, 경영자문료 횡령 혐의 등 자금추적 과정에서 재일교표 주주 양모 씨 등의 개인신용정보를 329회나 조회한 사실도 밝혀졌다.

 

양 모씨는 라응찬 신한금융 전 회장과 신상훈 전 신한금융 사장이 대립한 신한금융사태 당시, 신 전 사장의 편에 섰던 인물이다지난 2010년 신한은행이 자신과 가족의 계좌를 무단 열람했다며 금감원에 수차례 진정서를 냈던 인물이기도 하다.

 

아울러 2010년 신한은행 모 지점장의 재일동포 사업자금 대출 상환금 일부를 가로챘던 일이 2년 뒤에 밝혀지고 급기야 올 320일에는 금융전산시스템 구축이 미흡한 농협을 제외하고는 시중은행에서는 처음으로 해킹을 통해 전산망이 뚫리는 사태까지 겪었다.

 

지난 17일 금감원의 종합검사에서 사망자 대출기한 연장, 보험사에게 은행측 직원 해외연수비 전가 등 불법 영업행위로 기관주의 조치를 받아 삼진아웃 위기에 처할 뻔한 수모도 겪었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2010년부터 3년간 신한은행에 있었던 일련의 사태는 대형 금융사에서 있어서는 안 되는 어처구니없는 일이다서 행장은 그동안 내부에 산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보다는 대충 봉합하는 데 급급한 것 같다고 지적했다.



김한규 기자 hkk@kjtimes.com
Copyright @2010 KJtimes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창간 : 2010년 6월 21일] / (주)케이제이타임즈 / 등록번호 :아01339 / 등록일 : 2010년 9월3일 / 제호: kjtimes.com / 발행•편집인 : 신건용 / 주소 : 서울시 금천구 서부샛길 606 (구 가산동 543-1) 대성디폴리스 A동 2804호 / Tel)02-722-6616 / 발행일자 : 2010년 9월3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신건용 KJtimes의 콘텐츠(기사)는 지적재산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복사, 전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c) KJtime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