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30대 총수 중 16명 주식가치 올라...정몽진 회장 1위

2014.01.09 09:46:02

[kjtimes=김봄내 기자]작년 30대 그룹 총수 가운데 정몽진 KCC그룹 회장 등 16명의 주식가치가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과 현정은 현대그룹 회장의 주식가치는 반 토막이 난 것으로 조사됐다.

 

기업분석 전문업체 한국CXO연구소는 이 같은 내용의 '201330대 그룹 총수 주식평가액 분석 현황 보고서'9일 발표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가장 높은 주식 수익률을 기록한 총수는 정몽진 KCC그룹 회장이었다.

 

정 회장의 주식가치는 작년 125642억원에서 같은 해 12308753억원으로 55.1%(3110억원)나 껑충 뛰었다. 정 회장은 KCC 주식이 연초 302천원에서 연말 468500원까지 치솟은 덕을 톡톡히 봤다. 그는 30대 그룹 총수 가운데 유일하게 작년 4분기 연속 주식이 올랐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수익률 29.2%로 뒤를 이었다. 최 회장은 지난해 1월 계열사 자금을 횡령한 혐의가 법원에서 확정돼 구속·수감 중이었지만 주식운용 실적은 나쁘지 않았다.

 

최 회장의 주식평가액은 연초 19885억원에서 연말 25683억원으로 5797억원이 늘어나 액수 기준으로는 가장 많이 증가했다. SKC&C 주가가 연초 104500원에서 연말 135천으로 오른 것이 주요 이유였다.

 

이밖에 이명희 신세계그룹 회장은 13.2%(15183억원17186억원), 정몽구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은 3.8%(66819억원69368억원),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은 13.1%(5894억원6664억원)의 플러스 성적표를 받았다.

 

그러나 주식평가액이 절반 수준으로 싹둑 잘린 총수들도 있었다.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은 연초 3396억원이던 주식평가액이 연말에는 1714억원으로 떨어져 1년새 1682억원(49.5%)이 증발했다. 지난해 한진칼[180640]이 대한항공[003490]과 분리되면서 조 회장이 갖고 있던 대한항공 주식수가 급감한 것이 평가액 급락의 원인이었다.

 

현정은 현대그룹 회장의 주식자산도 775억원에서 408억원으로 47.2%(366억원)가 사라졌다. 허창수 GS그룹 회장도 보유 주식의 가치가 36.4%(6995억원4447억원)나 떨어졌다.

 

주식으로 가장 많은 자산이 감소한 것은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이었다.

 

이 회장의 주식평가액은 연초 119775억원에서 연말 11343억원으로 떨어졌다. 수익률은 -5.6%로 소폭의 감소로 보이지만 기본자산 규모가 커 손실액은 6732억원에 달했다.

 

이밖에도 이재현 CJ그룹 회장이 6.2%(986억원), 구본무 LG그룹 회장이 4.9%(631억원) 등으로 하락했다.

 

 



김봄내 기자 kbn@kjtimes.com
Copyright @2010 KJtimes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창간 : 2010년 6월 21일] / kjtimes(케이제이타임즈) / Tel) 02-722-6616 / 주소 : 서울시 금천구 서부샛길 606 (구 가산동 543-1) 대성디폴리스 A동 2804호/ 등록번호 :아01339 / 등록일 : 2010년 9월 3일 / 발행•편집인 : 신건용 / 청소년보호책임자 : 신건용 KJtimes의 콘텐츠(기사)는 지적재산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복사, 전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c) KJtime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