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자동차 등 6대 업종, 해외 수출 94% 차지

2014.02.19 09:04:07

[KJtimes=김봄내 기자]국내 대기업의 해외매출에서 IT전기전자와 석유 화학, 자동차, 철강, 조선, 건설 등 6대 업종이 94%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9CEO스코어에 따르면 2011년부터 지난해 3분기까지 국내 500대 기업의 해외 매출 비중을 조사한 결과 지역별 매출 실적을 공개한 133개사 19개 업종의 지난해 3분기 누적 해외 매출은 450조원에 달했다.

 

이 중 94.1%4242000억원을 수출주도형 6개 업종이 올린 것으로 집계됐다.

 

아울러 이들 6개 업종의 해외 매출 비중은 201151.7%에서 작년 9월말 56.2%4.5%포인트 높아졌다.

 

이 기간 조사대상 대기업의 전체 해외 매출 비중이 42.7%에서 46.2%3.5%포인트 상승한 것보다 높다.

 

6개 업종 가운데 해외 매출 비중이 가장 높은 업종은 IT전기전자로 201182.2%에서 83.7%1.5%포인트 높아졌다.

 

자동차 및 부품은 같은 기간 해외 매출 비중이 1.6%포인트 상승한 60.2%를 기록했다. 현대차(56.6%)와 현대모비스(63.1%)가 각각 6.4%포인트, 5.9%포인트 상승한 것이 주효했다.

 

건설(38.6%), 조선·기계·설비(26.8%), 철강(22.4%) 등은 해외 매출 비중이 절반에 미치지 못했지만 2011년에 비해선 57%포인트나 높아졌다. 석유화학 업종 역시 37.3%0.5%포인트 상승했다.

 

글로벌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도 국내 수출주도형 업종 대기업들이 해외 비중을 높이며 한국 경제의 견인차 역할을 톡톡히 해낸 셈이다.

 

실제 조사 대상 133개 기업 중 수출주도형 6개 업종을 제외할 경우 해외 매출 비중은 12.6%에서 12.0%0.6%포인트 낮아진다.

 

보험·증권·통신·운송·유통·식음료·제약 등 내수 업종의 해외 매출 비중이 미미했을 뿐만 아니라 제자리걸음을 한 것으로 풀이된다.

 

그룹별로는 삼성의 해외 매출 비중이 71.9%(지난해 3분기 기준)로 가장 높았고 이어 LG 68.7%, 금호아시아나 65.2%, 에쓰오일 61.2% 순이었다.

 

두산(58.5%), 현대자동차(56.6%), 포스코(55.5%)도 해외 비중이 절반 이상을 차지했고 SK(48.9%)50%에 육박했다.

 

기업별로는 IT전기전자 업종의 회사들이 14위를 휩쓸었다. SK하이닉스가 해외 비중 92.5%1위를 차지했고 셋톱박스 업체인 휴맥스 90.9%, LG디스플레이 89.5%, 삼성전자 89.3% 순이었다.

 

이어 대우인터내셔널(88.9%), 카프로(82.6%), S&T모티브(79.3%), 성우하이텍(77.4%), 삼성엔지니어링(76.3%), LG전자(74.3%) 등이 해외비중 '10'에 들었다.

 

반대로 대한항공(0.1%), 한국남부·남동발전·KT·신도리코(0.2%) 삼성생명보험(0.3%), 대성산업(0.8%), 롯데푸드(1%) 등은 1% 이하로 해외 비중이 매우 낮았다.

 

또 호텔신라(1.1%), LIG손해보험(1.2%), 현대증권(1.3%), 우리투자증권(1.5%), 녹십자(1.5%), 미래에셋증권·남양유업(1.8%) 등 금융과 생활·유통·제약 업종 기업들이 대체로 미미한 해외 매출 비중을 보였다.

 

 



김봄내 기자 kbn@kjtimes.com
Copyright @2010 KJtimes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창간 : 2010년 6월 21일] / kjtimes(케이제이타임즈) / Tel) 02-722-6616 / 주소 : 서울시 금천구 서부샛길 606 (구 가산동 543-1) 대성디폴리스 A동 2804호/ 등록번호 :아01339 / 등록일 : 2010년 9월 3일 / 발행•편집인 : 신건용 / 청소년보호책임자 : 신건용 KJtimes의 콘텐츠(기사)는 지적재산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복사, 전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c) KJtime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