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Jtimes=김봄내 기자]10대재벌의 계열사간 ‘일감 몰아주기’가 154조원을 넘어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특히 LG와 SK, 롯데, 포스코, 한진 등 5개 재벌그룹은 내부거래가 늘어나 눈길을 끌고 있다.
이는 재벌닷컴이 공기업을 제외한 자산 상위 10대 재벌그룹의 내부거래액을 집계한 결과에서 나타났다.
집계 결과 지난해 10대 재벌그룹의 내부거래액은 154조222억원으로 역대 최대다. 이는 1년 전의 151조2961억원보다 1.92%(2조961억원) 늘어난 것이다.
계열사간 일감 몰아주기는 SK와 LG, 롯데, 포스코, 한진 등 5개그룹에서 증가했다.
이들 중 가장 많이 급증한 곳은 SK그룹이다. SK그룹의 내부거래액은 1년 새 15%(5조2910억원)나 급증한 40조5241억원이다.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내부거래 비율도 26.01%로 전년보다 3.49%포인트나 높아졌다.
그 뒤는 LG그룹이 이었다. LG그룹의 계열사 내부거래액은 16조4471억원으로 1년 전보다 7.5%(1조1470억원) 증가했다. 내부거래 의존도(비율)도 2012년 13.22%에서 지난해 14.12%로, 0.9%포인트 상승했다. 롯데그룹의 내부거래액도 2012년 8조5417억원에서 지난해 8조9193억원으로, 4.4%(3776억원) 늘어났다.
한진그룹의 내부거래액은 9939억원에서 1조548억원으로 6.13%(609억원) 확대됐다. 또 포스코그룹은 15조5542억원으로 1년 전보다 0.3%(409억원) 증가했다.
반면 삼성그룹의 내부거래액은 26조7422억원으로 1년 전보다 5.0%(1조4천205억원) 감소했다. 내부거래 비율도 9.01%에서 8.41%로 0.6%포인트 낮아졌다. 현대차그룹도 내부거래 물량을 2012년 35조원에서 지난해 34조438억원으로 1.73%(5962억원) 줄었다.
현대중공업그룹의 지난해 내부거래액은 6조2311억원으로 1년 만에 14.26%(1조364억원) 감소했다. 한화그룹의 내부거래액도 13.78%(3391억원) 줄어든 2조1천224억원을 기록했다.
한편 계열사 간 내부거래 비율은 SK그룹이 26.01%로 가장 높고 포스코그룹과 현대차그룹도 각각 21.81%와 21.14% 수준으로 상대적으로 높다.
재계 전문가들은 이 같은 흐름에 대해 박근혜 정부 경제 민주화 정책이 ‘유명무실’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대목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그 실례로 10대 재벌그룹의 내부거래액이 지난해를 정점으로 증가세로 돌아선 것이 꼽히고 있다. 실제 새 정부의 경제민주화 등으로 ‘일감몰아주기’ 규제 움직임이 일어나면서 2012년 151조2961억원으로 감소했다가 지난해 다시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다. 이들 그룹의 내부거래 비율도 2012년 14.08%로 떨어졌으나 지난해 다시 14.36%로 높아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