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대그룹, 자산 ‘63조원’ 활용하지 않고 ‘묵혔다’

2014.07.21 08:27:34

경영활기 추락…세계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수준 후퇴

[KJtimes=김봄내 기자]정부가 대기업의 과다한 사내유보금에 과세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가운데 10대 그룹의 묵혀둔 자산이 63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기업들이 자산을 활용해 적극적으로 투자와 영업활동에 나서지 않으면서 활력이 급격히 떨어져 세계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수준으로 후퇴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21일 재벌닷컴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삼성·현대차·SK·LG·롯데·포스코·현대중공업·GS·한진·한화 등 자산 순위 상위 10대 그룹의 활동성 비율은 지난해 94.1%로 나타났다. 세계 금융위기 이후인 200992.4%에 근접한 수준이다.

 

지난해 10대그룹의 자산은 1678억원이다. 하지만 매출은 144000억원에 그쳤다. 활동성 비율이 94.1%로 전체 자산의 63조원 정도가 기업 활동에 쓰이지 않은 셈이다.

 

10대 그룹의 활동성은 지난 200992.4%에서 201098.3%, 201198.5%로 높아졌다. 그러다가 201297.8%로 꺾인 뒤 지난해엔 94.1%로 뚝 떨어졌다.

 

반면 10대 그룹 기업들은 자산을 20096861000억원에서 지난해 10678000억원으로 불어났다. 5년 사이 55.6%(3817000억원)나 늘어난 것이다.

 

이처럼 기업들이 빚을 내 적극적으로 투자와 영업활동에 나서지 않으면서 10대 그룹의 재무건전성은 개선됐다. 이들 그룹의 부채비율은 201182.7%에서 지난해 72.7%, 10%포인트나 낮아졌다.

 

그룹별 자산회전율이 가장 저조한 곳은 한진그룹으로 나타났다. 한진그룹의 자산회전율은 62.7%로 지난해 자산 395000억원에 매출이 248000억원으로, 14조원 넘는 자산을 활용하지 않고 묵혔다. 이 그룹의 지난해 영업이익률은 -0.3%로 수익성 역시 10대그룹 중 가장 나빴다.

 

한화그룹과 롯데그룹의 자산회전율도 각각 63.8%67.8%에 불과했다. 한화그룹은 자산 283000억원에 연매출 167000억원이며 롯데그룹은 자산 888000억원에 매출 602000억원이다.

 

포스코그룹도 자산회전율이 201199.3%에서 201293.3%, 지난해 85.1%로 급격하게 악화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자산은 2012807000억원에서 지난해 837000억원으로 1년 새 3조원 늘어난 반면 매출액은 754000억원에서 712000억원으로 오히려 줄었다.

 

자산회전율은 지난해 GS그룹이 118.0%로 가장 높고, LG그룹(114.1%)SK그룹(107.9%)100%를 웃돈다. 삼성그룹의 지난해 자산회전율은 95.6%로 전년보다 0.9%포인트 높아졌다. 현대차그룹의 자산회전율은 2011100%에서 201297%, 지난해 86.4%로 뚝 떨어졌다.

 

한편 활동성 비율은 기업이 보유한 자산이 영업활동에 얼마나 쓰이고 있는지를 나타낸 지표다. 1년간 매출총액을 자산총액으로 나눠 산출한다. 이 비율이 100%를 밑돈다는 것은 모든 자산이 기업 활동에 쓰이지 않고 일부가 잠자고 있다는 얘기다.



김봄내 기자 kbn@kjtimes.com
Copyright @2010 KJtimes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창간 : 2010년 6월 21일] / kjtimes(케이제이타임즈) / Tel) 02-722-6616 / 주소 : 서울시 금천구 서부샛길 606 (구 가산동 543-1) 대성디폴리스 A동 2804호/ 등록번호 :아01339 / 등록일 : 2010년 9월 3일 / 발행•편집인 : 신건용 / 청소년보호책임자 : 신건용 KJtimes의 콘텐츠(기사)는 지적재산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복사, 전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c) KJtime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