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감이슈]‘호화청사’ 짓고 지방으로 이전한 공공기관은 어디?

2014.10.13 09:02:52

일부 공공기관 청사는 주변지역 아파트 시세보다 건축비 높아

 
[kjtimes=견재수 기자] 지방으로 이전한 공공기관 중 8곳이 정부의 면적 기준을 초과해 이른바 호화청사를 건설한 것으로 드러났다.
 
13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이노근 의원(새누리당)이 국토교통부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한국동서발전의 1인당업무시설면적은 65.04로 정부 기준인 56.53을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무원연금공단(59.1)과 산업기술평가관리원(58.57), 경찰대학(57.2), 서부발전, 중부발전(이상 56.8), 근로복지공단, 정보통신연구원(이상 56.55) 등도 정부 기준을 초과했다.
 
특히 한국동서발전의 1인당 업무시설 면적은 가장 좁은 해양경찰교육원(13.3)5배에 달하는 규모였다.
 
1인당 직원복지면적이 업무시설면적보다 더 넓은 공공기관도 5곳이나 됐다. 조달청품질관리단의 경우 업무시설면적은 16.50이지만 직원복지면적은 38.60로 업무시설면적의 2배 이상이었다.
 
이어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업무 21.62/복지 34.91)과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업무 13.95/복지 30.67), 한국인터넷진흥원(업무 24.79/복지 27.99), 경찰수사연수원(업무 18.34/복지 19.92)도 직원들의 복지면적이 업무시설면적을 초과했다.
 
이전한 지역의 아파트시세보다도 더 비싼 건축비가 투입된 공공기관 청사도 많았다.
 
전남 나주로 이전한 사립학교교직원연금공단은 3.3당 건축비가 812만원이 들어 3.3406만원(국민은행 자료) 나주 아파트 시세의 두 배나 됐다.
 
충북 진천으로 이전한 한국교육개발원과 대구 동구의 한국사학진흥재단, 제주 서귀포 공무원연금공단도 주변 아파트 시세보다 더 높은 건축비가 들었다.
 
이 의원은 공공기관이 지방 이전을 구실로 사옥을 더 호화롭게 짓고 보자는 행태를 보이고 있다공공기관 임직원들의 도덕적 해이가 빚어낸 결과라고 지적했다.


견재수 기자 ceo0529@kjtimes.com
Copyright @2010 KJtimes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창간 : 2010년 6월 21일] / (주)케이제이타임즈 / 등록번호 :아01339 / 등록일 : 2010년 9월3일 / 제호: kjtimes.com / 발행•편집인 : 신건용 / 주소 : 서울시 금천구 서부샛길 606 (구 가산동 543-1) 대성디폴리스 A동 2804호 / Tel)02-722-6616 / 발행일자 : 2010년 9월3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신건용 KJtimes의 콘텐츠(기사)는 지적재산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복사, 전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c) KJtime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