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안구마우스 ‘EYECAN+’ 발표…나눔의 새 역사 썼다

2014.11.25 15:26:26

모니터 연결 박스형으로 개발, 기존 안경 형태 불편 해소

[KJtimes=견재수 기자]삼성전자가 손발의 움직임이 불편한 사람도 눈동자로 컴퓨터와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안구마우스 ‘EYECAN+(아이캔플러스)’를 새롭게 선보였다.

 

삼성전자는 25일 서울 서초사옥 투모로우 솔루션 랩(LAB) 에서 안구마우스의 차세대 버전인 ‘EYECAN+’를 시연하는 행사를 열었다.

 

안구마우스는 컴퓨터의 마우스 조작을 손 대신 눈동자로 할 수 있게 해주는 장치다. 안구마우스를 이용하면 몸을 전혀 움직일 수 없는 사람도 눈동자의 움직임만으로 모니터 화면에 글을 쓰고, 컴퓨터를 제어해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다.

 

이번에 새롭게 선보인 ‘EYECAN+’는 모니터에 연결하는 박스 형태로 만들어, 기존에 안구 인식장치가 있는 안경을 착용하는 불편을 크게 해소했다. ‘EYECAN+’를 모니터와 연결하고 사용자의 눈에 맞게 한 번만 설정하면, 그 다음부터 모니터를 보면서 자유롭게 글을 쓰거나 컴퓨터를 이용할 수 있다.

 

눈동자의 움직임으로 마우스 포인터가 이동하고 특정 아이콘폴더링크를 1초 동안 바라보거나 눈을 깜빡이는 것으로 클릭과 스크롤링 등을 실행할 수 있다.

 

삼성전자는 기존 ‘EYECAN’과 비교해 안구 인식의 정확도와 제품 성능을 높이고, 단축키클릭모드를 적용하는 등 사용환경을 개선했다.

 

‘EYECAN’ 제품은 지난 2011년 임직원들이 자발적으로 아이디어를 제공하고 사내 C-(Lab) 프로그램을 이용해 직접 개발에 나서면서 이듬해 세상에 첫 선을 보였다. 특히 기존 안구마우스는 가격이 1,000만원이 넘는 고가였는데, ‘EYECAN’은 불과 5만원 이내의 재료비로 만들 수 있어 사회의 관심을 집중시켰다.

 

이어 지난해 6월 삼성전자 DMC연구소에서 ‘EYECAN’의 성능 개선 프로젝트를 맡아 기존 제품의 불편사항을 청취하고, 성능과 편의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하면서 이번에 ‘EYECAN+’를 선보이게 됐다.

 

특히 척수성 근위축증을 앓고 있으면서도 학업에 대한 열정으로 석사과정(연세대)을 밟고 있는 신형진씨 등 실제 제품 수요자들이 개발과정에서 자문에 나서 제품 완성도를 높일 수 있었다.

 

이날 행사에서 직접 제품을 시연한 신씨는 “‘EYECAN+’는 신체활동이 어려운 사람들이 세상과 소통할 수 있게 해주는 고마운 제품이라며 무엇보다 개발과정에 참여해 비슷한 환경의 사람들을 도울 수 있었다는 점에 큰 의미를 느낀다고 소감을 밝혔다.

 

삼성전자는 내년 초부터 ‘EYECAN+’ 일정량을 개인사회단체에 무료로 보급할 예정이다. ‘EYECAN+’ 관련 하드웨어(HW)와 소프트웨어(SW) 기술을 외부에 개방해 사회적기업과 일반 벤처기업들이 안구마우스를 더욱 발전시킬 수 있도록 기술기부에도 나선다는 방침이다.



견재수 기자 ceo0529@kjtimes.com
Copyright @2010 KJtimes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창간 : 2010년 6월 21일] / kjtimes(케이제이타임즈) / Tel) 02-722-6616 / 주소 : 서울시 금천구 서부샛길 606 (구 가산동 543-1) 대성디폴리스 A동 2804호/ 등록번호 :아01339 / 등록일 : 2010년 9월 3일 / 발행•편집인 : 신건용 / 청소년보호책임자 : 신건용 KJtimes의 콘텐츠(기사)는 지적재산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복사, 전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c) KJtime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