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Jtimes=김봄내 기자]국내 30대 그룹의 부채가 최근 2년 새 26조원 가까이 늘어나 600조원을 훌쩍 넘어섰다.
12일 금융투자업계와 재벌닷컴에 따르면 30대 그룹의 부채총계는 2013년 말 624조3000억원이다. 지난 2년 전보다 25조7000억원(4.3%) 늘어난 셈이다. 특히 이는 같은 기간 국내 공공기관 부채인 523조2000억원보다 101조원가량 많은 수치라서 충격을 주고 있다.
30대 그룹의 부채총액은 2011년 598조6000억원에서 2012년 611조9000억원으로 600조원을 돌파했다. 그 뒤 1년간 12조4000억원 늘어난 624조3000억원으로 커졌다. 지난해에도 증가세를 보인 것으로 추정됐다.
눈에 띄는 것은 10대 그룹의 부채가 449조6000억원으로 30대 그룹 총액의 72%를 차지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나마 신용도가 좋은 상위권 그룹들이 빚을 내기가 상대적으로 수월해지면서 여신시장에서도 ‘빈익빈 부익부’ 현상이 심화된 것이다.
2011∼2013년 그룹별 부채를 보면 삼성그룹의 부채가 가장 많이 늘어났는데 78조9000억원에서 87조5000억원으로 8조6000억원 증가했다. SK그룹은 59조2000억원에서 67조3000억원으로 8조1000억원 증가하면서 그 뒤를 이었다.
또 ▲롯데그룹(35조2000억원) ▲GS그룹(30조7000억원) ▲한화그룹(16조7000억원) ▲현대중공업그룹(30조5000억원)으로 부채가 집계됐다. 이에 따라 2년 새 롯데그룹과 GS그룹은 각각 3조6000억원과 2조원 증가했다. 같은 기간 한화그룹과 현대중공업그룹도 각각 1조4000억원과 9000억원 확대됐다.
하지만 무엇보다 일부 그룹이 구조조정에 직면하고도 오히려 빚을 늘려 재무상황이 더 나빠지고 있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
일례로 한진그룹의 부채는 같은 기간 29조7000억원에서 32조4000억원으로 2조7000억원 늘어났다. 대우조선과 한국GM, OCI 등의 부채액도 같은 기간 1조8000억원, 8000억원, 6000억원씩 늘어났다.
구조조정 중인 현대그룹(540.5%)과 금호아시아나그룹(381.9%), 동부그룹(269.0%) 등 그룹의 부채비율도 여전히 높은 편이다. 부채가 줄어든 효성그룹과 동국제강그룹도 각각 220.5%, 174.8%의 높은 부채비율을 나타냈다.
한편 이들 그룹과는 대조적인 모습을 보이는 그룹들이 눈에 띠고 있다. 현대차그룹은 같은 기간 68조7000억원에서 69조원으로 증가액이 그룹 규모에 비해 적은 3000억원에 그쳤다. LG그룹과 포스코그룹의 부채액은 각각 1조5000억원, 3조8000억원 감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