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Jtimes=김봄내 기자]포스코건설에 세간의 관심이 뜨겁다. ‘비자금 조성’이라는 비리 단서를 토대로 시작된 검찰 수사가 자금 흐름을 쫓는 단계를 거쳐 해당 기업의 경영 수뇌부를 정조준하는 방향으로 전개되고 있는 탓이다.
검찰은 이르면 이번 주부터 비리 의혹의 정점에 선 인물들을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할 전망이다. 이에 따라 정동화 전 포스코건설 부회장의 소환통보 여부에 관심이 쏠리는 모습이다.
사실 검찰은 그동안 전 정권 인사들의 사건 개입설 등이 나돌던 상황에서도 성급한 수사 확대보다는 비자금 흐름 분석에 주력했다.
포스코건설에 대한 수사는 지난 13일 회사 압수수색과 함께 시작됐다.신호탄을 쏘아 올린 검찰은 일주일 남짓한 기간에 100억원대의 해외 비자금 조성 경위를 규명하는 데 집중돼 있었다.
지난 2009∼2012년 베트남 고속도로 건설 사업 과정에서 하청업체 지급 대금을 부풀리는 수법으로 조성된 100억원대의 비자금이 회사 측 주장대로 발주처 리베이트로만 쓰였는지, 다른 경로로 빠져나갔는지를 쫓는 과정이었다.
검찰은 이 중 상당 금액이 리베이트와 무관해 보이는 경로로 흘러간 단서를 잡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비자금 조성에 깊게 관여한 인물로 지목된 포스코건설 박모 전 상무는 ‘참고인’에서 ‘피의자’로 신분이 전환됐다.
검찰의 앞으로 수사는 박 전 상무의 윗선으로 옮겨갈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현지 사업비 처리를 결정하는 과정에 관여한 포스코건설 임원들이 잇따라 조사실로 불려올 것으로 전해졌다.
관심의 중심에 선 정동화 전 포스코건설 부회장에 대한 소환 조사도 이르면 이번 주 안에 이뤄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그는 베트남 사업을 총괄한 인물이다. 만일 정 전 부회장이 소환되면 비자금의 정확한 사용처와 ‘윗선’ 규명이 수사의 초점이 될 것으로 점쳐진다.
비자금이 ‘국내용으로 사용됐을 만한 정황을 담은 여러 증거자료 등을 제시하면서 문제의 돈이 정확히 어디에 사용됐고 정준양 전 회장 등 그룹 최고위 인사들이 얼마나 관여했는지를 캐는 과정이다.
뿐만 아니다. 포스코건설 사건과 관련해 시선을 모으는 것은 포스코그룹의 성진지오텍 특혜 인수 의혹이 우선 꼽힌다.
의혹의 핵심은 포스코가 지난 2010년 플랜트설비 제조업체인 성진지오텍을 고가에 인수해 자회사 포스코플랜텍과 합병했는데 이 과정에서 전 정권 유력 인사들의 외압이 있었는지 여부다. 인수를 결정한 정준양 전 포스코 회장은 이미 출국금지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