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그룹, ‘신격호’ 롯데홀딩스 주총장 향할까

2015.08.16 11:18:15

롯데홀딩스 주총 D-1…출국 여부 촉각

[KJtimes=김봄내 기자]경영권을 두고 형제간·부자간 분쟁을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신격호 롯데 총괄회장이 일본행비행기에 몸을 실을지 여부가 초미의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한국과 일본 롯데그룹의 핵심 지배고리인 일본 롯데홀딩스 주주총회가 오는 17일 일본 도쿄(東京)에서 열린다는 이유에서다.

 

16일 재계에 따르면 허락도 없이 한일 롯데 경영권을 탈취했다고 주장해온 94세 고령의 신 총괄회장이 롯데홀딩스 주총장에 나타나 건재를 과시한다면 롯데홀딩스 지분을 3분의 1씩 나눈 광윤사와 우리사주협회, 관련 계열사 등의 표심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무엇보다 광윤사 지분은 신격호·동주 부자에 기울 가능성이 크다. 안정적인 기업 경영을 바랄 것으로 보이는 우리사주협회는 아무래도 이사회를 장악한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을 지지할 공산이 크지만 일본 내 계열사는 상황이 복잡하다.

 

신격호·동주 부자 또는 신동빈 회장 편이라고 하기 쉽지 않다. 롯데홀딩스의 개혁을 바라기도 하겠지만 호텔롯데 상장과 순환출자 고리 해소를 통해 일본의 영향력이 줄어드는 데 대한 경계심리가 작용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하지만 재계 일각에선 지난번처럼 한국 롯데그룹 누구도 모르게 신 총괄회장이 일본으로 건너가기는 쉽지 않을 것이란 관측도 있다. 최근 그의 비서실장이 신동빈 회장의 비서를 거친 측근인사로 교체된 까닭이다.

 

그러면 신 총괄회장의 주총장 참석여부가 중요한 이유는 무엇 때문일까.

 

이번 주총은 지난해 말 신동주 전 부회장이 낙마한 걸 계기로 신동빈 회장이 한·일 롯데 장악 조처를 진행하던 가운데 반격을 받기도 했으나 이미 롯데홀딩스와 L투자회사 12곳의 대표이사로 오르는 등 대세를 장악한 상황에서 열리는 것이다. 롯데홀딩스는 호텔롯데 최대주주(72.65%)L투자회사 지분을 100% 소유한 한일 롯데의 지배구조의 최정점이다.

 

롯데홀딩스 지분은 고준샤(광윤사: 光潤社우리사주협회·일본 내 관련 계열사가 각각 3분의 1씩을 갖고 있다. 광윤사 지분은 신격호 총괄회장, 부인 시게미쓰 하쓰코(重光初子) 여사가 갖고 있고 신동주·동빈 형제도 2% 미만을 보유 중이다.

 

사실 이번 주총은 신동빈 회장의 대세몰이를 위한 주총이라고 할 수 있다. 롯데홀딩스 이사회를 손에 쥔 신 회장은 일방적으로 17일 주총을 결정했다. 안건도 사외이사 선임기업지배구조 개선으로 정했다.

 

최근 한일 양국을 떠들썩하게 해온 롯데 경영권 분쟁을 일단 정리하고 한일 롯데의 원톱 체제를 공식화하려는 의도가 읽혀지는 대목이다. 호텔롯데 상장과 순환출자 고리 해소라는 경영 방침을 이미 선언한 신동빈 회장이 주총을 통해 일본 주주들을 상대로 이해를 구하는 절차도 가질 것으로 예상된다.

 

그동안의 경과를 보면 지난달 27일 손가락 지명으로 롯데홀딩스 이사진을 해임하려던 시도가 신동빈 회장의 반격으로 좌절된 뒤 신격호·동주 부자는 주총 표 대결을 통해 판세를 뒤집으려 했다. 그러나 오히려 신동빈 회장이 선수를 친 모양새다.

 

이번 주총에서 눈길을 끄는 것은 신 회장 측이 경영권 분쟁과 관련한 안건을 비켜가려 하고 있다는 점이다. 표 대결로 이어질 수 있는 신 총괄회장의 명예회장 추대 건도 정관 변경 없이도 가능하다는 이유로 안건에서 제외했다. 분쟁 당사자인 신동주 전 부회장이 요청하는 현 이사진 교체 안건도 넣지 않았다.

 

재계 일각에선 신동빈 회장이 지난달 28일 롯데홀딩스 긴급 이사회를 통해 부친 신 총괄회장을 일선 퇴진시키고 대표이사에 올라 유리한 게 사실이라고 보고 있다. 반면 다른 일각에선 주총에서 표 대결이 벌어진다면 신 회장도 100% 승리를 장담하긴 어렵다는 관측이 조심스럽게 나오고 있다.

 

중요한 것은 신동주 ,전 부회장의 대응이다. 그가 정면승부를 할지, 후일을 노릴지가 관심이다. 재계에선 주총 개최 카드마저도 동생 신동빈 회장에게 선수를 빼앗긴 신 전 부회장의 입장에선 선택할 게 많지 않은 것으로 보고 있다. 때문에 이번 주총에 정면 대응할지 아니면 후일을 노릴 것인지가 최대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는 것이다.

 

만일 신 부회장이 정면승부를 한다면 주총 표 대결은 불가피하다. 그가 그동안 밝혀온 대로 롯데홀딩스 지분 구조에서 유리하다면 주총장에서 이사진 교체를 긴급 안건으로 내놓고 표결하자고 할 수도 있다. 아니면 신동빈 회장이 내놓은 사외이사 선임안건 등을 부결시키는 방법으로 승부수를 던질 수도 있다.

 

롯데홀딩스 주총에서 안건이 통과되려면 일반적으로 참석 주주 50% 이상이 찬성해야 한다. 정관 변경·신설과 관련된 안건은 참석 주주 3분의 2 이상이 찬성해야 통과될 수 있다. 사외이사 선임 안건의 경우 기존에 없던 사외이사직을 만들기 위해 정관 신설이 필요하다면 66.7%이상의 찬성표를 얻어야 한다.

 

반대로 지지세력이 부족하다면 다른 선택이 불가피하다. 이번 주총에 정면 대응하지 않고 세력을 모아 이사진 교체 안건으로 별도의 주총 개최를 요구하는 방법도 모색할 수 있다. 신동빈 회장의 일본 롯데홀딩스·L투자회사 대표이사 선임 무효소송도 고려할 수도 있다.

 

재계 관계자는 “17일 주총에서 신동빈 회장의 목적이 달성된다면 신동주 전 부회장의 입지는 더 좁아질 수밖에 없다면서 주총 승리로 대세가 신동빈 회장에게로 완전히 기울면 차후 주총 또는 소송을 벌인다고 해도 뒤집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관측했다.



김봄내 기자 kbn@kjtimes.com
Copyright @2010 KJtimes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창간 : 2010년 6월 21일] / kjtimes(케이제이타임즈) / Tel) 02-722-6616 / 주소 : 서울시 금천구 서부샛길 606 (구 가산동 543-1) 대성디폴리스 A동 2804호/ 등록번호 :아01339 / 등록일 : 2010년 9월 3일 / 발행•편집인 : 신건용 / 청소년보호책임자 : 신건용 KJtimes의 콘텐츠(기사)는 지적재산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복사, 전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c) KJtime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