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71%, 술 잘 먹어야 회사생활 편하다”

2016.02.24 10:56:31

[KJtimes=김봄내 기자]직장인 10명 중 7명은 술을 잘 먹는 것이 회사생활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온라인 취업포털 사람인(www.saramin.co.kr 대표 이정근)이 직장인 1,264명을 대상으로 직장생활과 술을 주제로 조사한 결과, 70.7%가 술을 잘 먹는 것이 직장생활에 도움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그 이유로는 사적인 친밀도를 높일 수 있어서’(74.6%, 복수응답)를 첫 번째로 꼽았다. 다음으로 술자리 태도도 평판 등에 영향을 미쳐서’(36.6%), ‘업무상 술자리가 도움 되어서’(30.6%), ‘주사 등 안 좋은 모습을 방지할 수 있어서’(28.2%), ‘술 잘 먹는 사람을 선호하는 분위기라서’(23.4%) 등의 응답이 있었다.

 

또한, 절반 이상인 56.9%는 능력보다는 술자리 처세로 좋은 평가를 받는 사람을 본 적 있다고 응답 했으며, 20.7%는 재직 중인 회사가 주량이 셀수록 능력 있는 직원으로 대우 받는 분위기라고 답했다.

 

직장생활을 하다 보면 술을 마시고 싶을 때가 있다는 응답자는 80.5%였다.

 

술을 찾게 되는 상황 1위는 다음날 휴무라 마음 편히 마실 수 있을 때’(41.6%, 복수응답)였으며, ‘과도한 업무가 주어질 때’(39.9%)가 뒤를 이었다. 계속해서 상사 등에게 혼났을 때’(39.7%), ‘동료 등 대인관계에 문제가 생겼을 때’(36.1%), ‘회사에 비전이 보이지 않을 때’(32.9%), ‘함께 일하던 동료가 퇴사할 때’(29.1%), ‘누군가와 친해지고 싶을 때’(28.6%), ‘성과를 뺏기는 등 억울할 때’(25.2%), ‘승진, 보너스 등 좋은 일이 생겼을 때’(20%) 등을 선택했다.

 

평소 회사 사람들과 공식적인 회식 외에 별도의 술자리를 가지는 편인지에 대해서는 54.9%그렇다라고 밝혔다.

 

술자리 횟수는 일주일 중 평균 1.3회였으며, 술자리 1회 당 평균 46천원을 지출하는 것으로 집계되었다. 술값 계산은 돌아가면서 한다는 응답이 34.7%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상사나 연장자가 주로 한다’(30.5%), ‘무조건 더치페이 한다’(17.9%), ‘술자리를 먼저 제안한 사람이 주로 한다’(12%) 등의 답변이 이어졌다.

 

술자리에서의 대화 주제 1위는 업무, 회사에 대한 성토’(45.8%)였다. 계속해서 회사 사람 뒷담화’(16.1%), ‘회사 내 사건사고’(13.4%), ‘사회 전반적인 이슈’(8.2%) 등을 선택해, 사적인 일보다는 사내 이슈에 대한 대화가 주를 이뤘다.

 

그렇다면, 회사에서 본인의 주량을 솔직하게 밝히고 있을까?

 

절반 이상인 55.5%가 숨긴 적 있다고 답했으며, 이때 주량을 줄였다는 응답이 85.6%주량을 부풀렸다’(14.4%)보다 많았다.

 

본인의 주량을 줄인 이유로는 과음을 방지하기 위해서’(62.6%, 복수응답)가 가장 많았다. 이외에도 술자리를 피하기 위해서’(38.3%), ‘업무에 지장이 가지 않게 하기 위해서’(34.8%), ‘건강관리를 위해서’(34.4%), ‘이미지 관리를 위해서’(20.6%), ‘추후 몸에 이상이 생겼을 때를 대비해서’(13%) 등이 있었다.

 

한편, 직장 내 술자리에서 가장 꼴불견인 사람은 다른 사람에게 술을 강요하는 사람’(26%)을 가장 많이 선택했다. 다음은 권위적으로 행동하는 사람’(18.4%), ‘자기 주량을 조절 못해 주정하는 사람’(18.3%), ‘잔소리 등 지적이 많은 사람’(13.6%), ‘1, 2차 릴레이를 강요하는 사람’(8.4%), ‘술자리에서 업무 이야기를 하는 사람’(8.4%) 등이 있었다.

 

사람인의 임민욱 팀장은 동료들과 술을 매개로 친밀감을 높일 수 있지만, 주량이 본인의 성과 등을 대변해주는 것은 아니다. 주량을 과신하거나 술자리를 핑계로 선을 넘는 행동을 하는 것 등에 항상 주의를 기울여야 원만한 직장생활을 할 수 있다.”라고 덧붙였다.

 

 

 

 



김봄내 기자 kbn@kjtimes.com
Copyright @2010 KJtimes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창간 : 2010년 6월 21일] / kjtimes(케이제이타임즈) / Tel) 02-722-6616 / 주소 : 서울시 금천구 서부샛길 606 (구 가산동 543-1) 대성디폴리스 A동 2804호/ 등록번호 :아01339 / 등록일 : 2010년 9월 3일 / 발행•편집인 : 신건용 / 청소년보호책임자 : 신건용 KJtimes의 콘텐츠(기사)는 지적재산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복사, 전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c) KJtime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