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가장 서러운 순간은 "정당한 평가 못 받을 때"

2016.03.02 10:53:09

[KJtimes=김봄내 기자]열심히 일해도 인정받지 못하거나, 상사의 기분에 따라 휘둘리는 등 애환과 고민을 안고 살아가는 직장인들, 이들은 언제 서러움을 느낄까?

 

온라인 취업포털 사람인이 직장인 1,168명을 대상으로 직장생활 상황별 서러운 순간을 조사해 발표했다.

 

업무 중 가장 서러운 순간, 정당한 평가 못 받을 때

직장인들은 업무와 관련해 서러운 상황으로 일에 대한 정당한 평가를 못 받을 때’(37.6%, 복수응답)를 첫 번째로 꼽았다. 계속해서 잡다한 업무를 도맡아야 할 때’(35.8%), ‘업무 능력을 인정받지 못할 때’(31.3%), ‘중요하지 않은 회의 등으로 시간을 낭비할 때’(28.9%), ‘명확한 업무 지시 없이 자꾸 퇴짜 줄 때’(28.6%), ‘자기계발은 상상도 못할 때’(28.2%), ‘아무리 일을 해도 끝이 보이지 않을 때’(27.2%) 등의 응답이 이어졌다.

직장 내 인간관계 서러움, 상사의 트집이 원인

직장에서 인간관계와 관련해서는 상사가 기분에 따라 트집잡을 때’(54.5%, 복수응답) 가장 서럽다고 답했다. 이외에 친한 척 하면서 일 시킬 때’(25.2%), ‘믿었던 동료가 뒷담화할 때’(23.9%), ‘학연, 지연 등으로 차별 받을 때’(20.4%), ‘나를 모르는 등 존재감이 없을 때’(18.2%) 등이 있었다.

 

나 때문에 서럽다, 목구멍이 포도청

본인 스스로에게 서러울 때로는 힘들어도 다녀야만 하는 형편일 때’(64.6%, 복수응답)1순위로 선택했다. 뒤이어 어느새 현실에 순응하고 있을 때’(43.5%), ‘불평불만이 있어도 한 마디도 못할 때’(42.3%), ‘상사 등의 눈치를 보며 행동할 때’(31.5%), ‘아파도 쉬지 않고 일할 때’(26.4%) 등의 순이었다.

 

출퇴근길, 오늘도 허둥지둥

출퇴근길 서러움을 느낄 때를 살펴보니, ‘늦을까 봐 매일 서둘러야 할 때’(37.4%, 복수응답)1위를 차지했다. 다음으로 힘든데 앉을 곳 하나 없을 때’(30.4%), ‘만원버스나 지하철을 타야 할 때’(25.6%), ‘매일같이 장거리를 왕복해야 할 때’(24.6%), ‘교통비가 부담스러울 때’(21.3%) 등을 들었다.

 

술자리도 서러움 유발, 회사 밖에서도 상명하복

회식 등 술자리도 업무의 일환이라고 하지만, ‘상사 중심으로 분위기를 맞춰야 할 때’(38.5%, 복수응답) 직장인들은 가장 서러움을 느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외에 갑작스러운 회식으로 약속을 깨야 할 때’(35.4%), ‘2, 3차까지 억지로 가야 할 때’(30.5%), ‘억지로 술을 권할 때’(25.5%), ‘자비를 지출해야 할 때’(21.2%), ‘다시 복귀해 일해야 할 때’(16.8%) 등의 상황이 있었다.

 

이런 서러움을 느끼면서도 직장생활을 이어가는 이유는 무엇일까?

절반 이상(55.7%, 복수응답)경제적으로 책임을 지고 있어서라고 응답했다. 다음은 그만두고 할 일이 없어서’(33.4%), ‘다들 참고 다니고 있어서’(32.8%), ‘지금까지 해 온 게 아까워서’(28.2%) 등의 이유를 들었다.

 

한편, 직장생활로 서러움을 느낄 때 가장 위로가 되어주는 대상은 역시 가족’(25.7%)이었다. 이밖에 친구’(21.6%), ‘’(12.3%), ‘운동’(7.6%), ‘여행’(7%), ‘음악’(6.8%) 등으로 위로를 받고 있었다.

 



김봄내 기자 kbn@kjtimes.com
Copyright @2010 KJtimes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창간 : 2010년 6월 21일] / (주)케이제이타임즈 / 등록번호 :아01339 / 등록일 : 2010년 9월3일 / 제호: kjtimes.com / 발행•편집인 : 신건용 / 주소 : 서울시 금천구 서부샛길 606 (구 가산동 543-1) 대성디폴리스 A동 2804호 / Tel)02-722-6616 / 발행일자 : 2010년 9월3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신건용 KJtimes의 콘텐츠(기사)는 지적재산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복사, 전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c) KJtime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