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92% 직장인, “야근으로 ‘저녁이 없는 삶’ 살아”

2016.03.18 11:59:16

[KJtimes=김봄내 기자]최근 한국기업의 77%가 글로벌 기업 평균보다 낮은 조직건강도를 지닌 것으로 나타난 한 연구결과가 화제이다. 그 중 직장인들이 가장 후진적인 기업문화로 습관화된 야근을 꼽아 눈길을 끌고 있기도. 이처럼 야근이 대한민국 직장인들에게 피할 수 없는 존재가 된 것일까? 직장인에게 숙명처럼 따라붙는 야근 때문에 삶의 질이 떨어진다고 호소하는 직장인들도 점점 늘어나고 있다.

 

취업포털 인크루트(www.incruit.com 대표 이광석)가 지난해 자사의 직장인 회원 882명에게 실시한 야근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가 이를 증명해준다.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의 무려89.2%야근 때문에 삶의 질이 떨어진다는 느낌을 받아본 적 있다고 응답했다. 언제 이런 느낌을 받는지 묻자 자기계발 시간이 부족할 때29.5%1위를 차지했다. 이어서 문화생활을 할 시간이 부족할 때19.4%, ‘수면이 부족할 때17.4%로 나타났다. 이외에도 17.3%의 사람들이 가족 간 대화가 부족함을 느낄 때삶의 질이 떨어진다는 느낌을 받는다고 대답했다.

 

그렇다면 직장인들이 과연 일주일에 어느 정도 야근을 할까? 조사결과 8.3%의 응답자를 제외한 무려 약 92%의 응답자가 야근을 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 중 횟수로는 ‘529.6%로 가장 높았다. 계속해서 ‘319.9%, ‘416.6%로 뒤를 이었다. 야근을 하는 이유로는 많은 업무’(55.3%)가 가장 높은 기록을 차지했으며 상사 때문에 야근을 한다(31.5%)’라는 답변도 있었다. 반면, ‘(회사)이 좋아서 야근을 한다고 답한 응답자는 1.7%에 불과했다.

 

이와 함께, 응답자의 86.7%야근이 불필요하다고 주장했으며 특히 상사 눈치 때문에 남을 때(48.5%)’ 가장 불필요한 느낌이 든다고 대답했다.

 

또한 응답자들은 만약 야근이 불가피한 상황이라면 ‘20’(40.9%)까지가 가장 적당한 시간이라고 꼽았으며 건강한 퇴근 문화를 만들기 위해서는 일 끝났으면 눈치 안 보고 나가야 한다(50.5%)’고 소신을 밝히기도 했다. 한편 직장인 중 회식도 야근이라고 생각하는 응답자가 68.5%를 차지해 눈길을 끌었다



김봄내 기자 kbn@kjtimes.com
Copyright @2010 KJtimes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창간 : 2010년 6월 21일] / (주)케이제이타임즈 / 등록번호 :아01339 / 등록일 : 2010년 9월3일 / 제호: kjtimes.com / 발행•편집인 : 신건용 / 주소 : 서울시 금천구 서부샛길 606 (구 가산동 543-1) 대성디폴리스 A동 2804호 / Tel)02-722-6616 / 발행일자 : 2010년 9월3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신건용 KJtimes의 콘텐츠(기사)는 지적재산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복사, 전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c) KJtime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