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식출범한 미래에셋대우…뚜껑 열어보니

2016.12.30 11:43:04

국내 1위 증권사 등극…자기자본 6조6000억원

[KJtimes=김봄내 기자]미래에셋대우[006800]30일 합병 등기를 하고 공식 출범했다. 지난해12월 말 미래에셋증권이 매물로 나온 대우증권 인수 우선협상자로 확정된 지 1년 만에 합병 법인으로 새출발을 하게 된 것이다.


그러면 새로 출발한 미래에셋대우의 규모와 입지는 어느 정도일까.


미래에셋증권[037620]과 대우증권의 통합 증권사인 통합 미래에셋대우는 고객자산 220조원, 자산규모 625000억원, 자기자본 66000억원이다. 규모로는 독보적인 국내 최대 투자은행(IB)이다.


양사의 합병 작업은 지난해 1224KDB산업은행이 대우증권 인수 우선협상대상자로 미래에셋증권을 선정하면서 시작됐다. 당시 KB금융지주와 한국투자증권이 경쟁을 벌였지만 박현주 미래에셋그룹 회장이 본입찰에서 최고가인 24500억원을 써내는 통 큰 베팅으로 쐐기를 박았다.


합병 작업은 순탄하게 진행됐다. 금융위원회가 지난 330일 미래에셋증권의 대우증권 대주주 적격성을 승인했다. 그 뒤 미래에셋증권은 4월 인수 잔금을 납부하고서 대우증권 법인명을 미래에셋대우로 바꿨다.


5월에는 양사가 미래에셋대우를 존속법인으로 하는 합병 계약을 체결하고 박 회장은 미래에셋대우 회장으로 공식 취임했다. 그리고 합병 작업은 지난달 4일 회사 합병안이 주주총회를 통과하면서 마무리됐다.


이처럼 미래에셋대우가 새출발을 함으로써 우리나라 자본시장은 미래에셋대우와 자기자본이 4조원대인 NH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 삼성증권, 통합 KB증권 등 초대형 IB ‘14구도로 재편되면 증권가의 초대형 IB 육성 경쟁은 더욱 가열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예컨대 자기자본 66000억원의 통합 미래에셋대우 외에 NH투자증권(45000억원), 한국투자증권(4200억원)이 이미 4조원대 자기자본을 갖고 있다. 또한 삼성증권과 통합 KB증권도 4조원대 진입에 매우 근접한 상태다.


박현주 회장은 투자계획 등 큰 그림을 그리면서 그룹 전체를 지휘한다는 구상이다. 세계 유수의 투자은행들과 경쟁할 수 있는 아시아 대표 글로벌 IB로 도약해 나가겠다는 게 그것이다.


박 회장은 새로운 미래에셋대우는 모든 분야에서 한국 제일의 대형 투자은행(IB)으로서 세상의 변화를 읽고 성장산업에 투자할 것이라면서 미래에셋대우는 창업이래 글로벌경영을 선언했으며 꾸준히 펼쳐온 글로벌사업을 적극 추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미래에셋대우의 새로운 주식은 구 미래에셋증권 주주들에게 합병 비율에 따라 내년 119일 교부되며 상장은 120일 예정돼 있다. 통합 법인은 최현만 수석부회장(관리)과 조웅기 사장(홀세일), 마득락 사장(리테일) 3명의 각자 대표 체제로 출범한다.



김봄내 기자 kbn@kjtimes.com
Copyright @2010 KJtimes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창간 : 2010년 6월 21일] / (주)케이제이타임즈 / 등록번호 :아01339 / 등록일 : 2010년 9월3일 / 제호: kjtimes.com / 발행•편집인 : 신건용 / 주소 : 서울시 금천구 서부샛길 606 (구 가산동 543-1) 대성디폴리스 A동 2804호 / Tel)02-722-6616 / 발행일자 : 2010년 9월3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신건용 KJtimes의 콘텐츠(기사)는 지적재산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복사, 전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c) KJtime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