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업계, 리사이클링 돕는 ‘착한 패키징’이 대세

2018.08.09 12:07:15

[KJtimes=김봄내 기자]식품업계가 재활용이 편리한 친환경 패키지를 적용한 제품을 선보이며 지속가능한 경영 실천에 나서고 있다. 환경과 건강, 지속가능성을 중시하는 밀레니얼 세대가 주 소비층으로 부상하며 손쉽게 환경 보호에 동참할 수 있는 제품이 주목 받고 있기 때문이다. 식품업계는 재활용이 쉬운 종이 소재의 SIG 콤비블록 무균팩, 카토캔 패키지를 도입하거나 유색 페트병을 무색 페트병으로 변경하고, 페트병에 부착된 라벨을 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절취선을 적용한 제품을 선보이며 소비자들에게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푸르밀, ‘꿀이 든 미숫가루우유속풀어유에 재활용이 쉬운 친환경 종이 소재 패키지 활용

 

유제품 전문기업 푸르밀은 친환경 SIG 콤비블록 무균팩을 적용한 꿀이 든 미숫가루우유를 선보이고 있다. 친환경 SIG 콤비블록 무균팩은 최대 75%가 목재에서 얻은 펄프 섬유로 구성돼 탄소 배출량이 낮은 포장재다. 친환경적으로 엄격하게 관리된 산림의 목재만 사용해 제작된다. 이번 신제품은 국내 최초 미숫가루우유로 몸에 좋은 곡물에 달콤한 국내산 꿀을 첨가해 진하고 고소한 맛이 특징이며, 신선한 원유를 70% 함유해 부드럽고 풍부한 우유 본연의 풍미를 살렸다. 여름 별미 미숫가루를 우유에 타는 번거로움 없이 간편하고 맛있게 즐길 수 있어 높은 인기를 끌며 출시 2주만에 2개월 판매 물량으로 준비한 제품 5만개가 완판됐다.

 

 

푸르밀은 GS리테일과 손잡고 국내 유업계 최초로 종이 소재의 카토캔을 적용한 이색 음료 속풀어유도 선보이고 있다. 카토캔은 기존 알루미늄 캔보다 가볍고 생산과 재활용 과정에서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적은 친환경 용기로, 유럽과 일본 등에서는 보편화되어 있다. 속풀어유는 간 보호와 숙취해소에 도움을 주는 밀크씨슬추출분말 230mg과 헛개나무추출액, 대추추출액 등 건강 원재료에 신선한 우유를 더한 음료다. 잦은 회식으로 속이 불편한 직장인들과 평소 건강 관리에 신경 쓰는 소비자 모두 부담 없이 즐길 수 있다.

 

 

푸르밀 관계자는 환경과 소비자를 동시에 생각해 도입한 친환경 SIG 콤비블록 무균팩과 카토캔 패키지가 국내에서도 보편화되길 바란다앞으로도 고품질 유제품 개발과 더불어 친환경 패키지 사용을 확대하며 지속가능한 경영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롯데칠성음료, 초록색 칠성사이다 페트병 무색으로 변경한다

 

롯데칠성음료는 내년에 단계적으로 칠성사이다 페트병 용기의 색상을 무색으로 바꾸기로 했다. 롯데칠성음료는 지난 4월 환경부와 재활용이 쉬운 포장재 사용을 위한 자발적 업무협약을 체결했으며, 최근 출시한 칠성사이다 로어슈거와 지난해 출시한 칠성스트롱 사이다에 무색 페트병을 적용한 바 있다. 또한 무색 페트병을 적용할 경우 자외선으로 인한 변질 우려 등이 있는 만큼 제품 안전성을 고려해 다각도로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다.

 

 

농심, 포장재 재질을 단일화한 유니 소재로 편리한 재활용 돕는다

 

농심은 효율적 재활용이 가능한 유니 소재개발에 공을 들이고 있다. 유니 소재는 제품의 설계, 생산 단계에서부터 수거 및 재활용 단계를 고려해 포장재 등의 재질을 단일화하는 것을 뜻한다. 단일 소재를 이용하기 때문에 재활용이 쉽고 유해 물질을 줄일 수 있다. 농심은 백산수 용기의 각 소재를 한 가지로 통일해 자원 순환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방향으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동아오츠카, 포카리스웨트에 라벨 분리 쉽도록 블루라벨적용

 

동아오츠카는 포카리스웨트 페트병에 블루라벨을 적용해 소비자가 손쉽게 분리수거를 할 수 있도록 했다. 블루라벨은 페트병에 본드 등으로 부착돼 있어 분리 및 재활용이 어려운 기존 라벨과는 다르게 절취선을 넣어 쉽게 떼어낼 수 있도록 한 환경친화적인 라벨이다. 절취선 끝을 잡아당기면 폭 1cm 정도로 뜯겨나오면서 전체 라벨을 깔끔하게 벗겨낼 수 있다. 동아오츠카는 지난 5월 출시한 포카리스웨트 이온워터에도 블루라벨을 적용하고 있다.

 



김봄내 기자 kbn@kjtimes.com
Copyright @2010 KJtimes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창간 : 2010년 6월 21일] / (주)케이제이타임즈 / 등록번호 :아01339 / 등록일 : 2010년 9월3일 / 제호: kjtimes.com / 발행•편집인 : 신건용 / 주소 : 서울시 금천구 서부샛길 606 (구 가산동 543-1) 대성디폴리스 A동 2804호 / Tel)02-722-6616 / 발행일자 : 2010년 9월3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신건용 KJtimes의 콘텐츠(기사)는 지적재산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복사, 전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c) KJtime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