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화점시장 현주소②]역성장의 주범은 모바일쇼핑과 해외직구(?)

2015.02.08 10:16:05

업계 일각에선 구조적 한계 봉착 해석 ‘솔솔’

[KJtimes=정소영 기자]백화점의 역성장은 내수 침체만으로는 설명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업계 일각에서 나오고 있다. 또 다른 일각에선 구조적 한계에 봉착한 게 아니냐는 해석의 목소리도 들리고 있다.

 

소매시장을 보면 소비 채널의 변화와 성향의 합리화가 맞물린 상황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온라인(인터넷+모바일)쇼핑 거래액은 452000억원으로 전년 385000억원보다 (67000억원(17.5%) 증가했다. 이 중 모바일쇼핑 거래는 폭발적인 증가세다. 201366000억원에서 지난해 148000억원으로 82000억원(126%) 늘어난 것이다.

 

온라인쇼핑 상품군별로 보면 화장품이 지난해 27000억원으로 전년보다 26.8%, 의류패션 및 관련상품이 73000억원으로 16.7%, 음식료품이 37000억원이 12.1% 각각 증가했다.

 

이들 상품군은 백화점의 주력 상품군이다. 특히 의류패션 및 관련상품 온라인쇼핑에선 전체의 40%29000억원 어치가 모바일로 거래되며 모바일 쇼핑 1위 상품에 올랐다. 의류의 경우 백화점보다도 SPA(제조·유통 일괄형 브랜드) 매장을 찾는 소비자가 많아졌는데 이는 합리적인 가격에 기인하고 있다.

 

전통적인 유통채널에는 해외직구도 부정적이다. 관세청에 따르면 지난해 해외 직구를 통한 수입 건수와 금액은 1553만건, 154000만달러로 각각 39%, 49% 늘었다. 의류가 전체 직구의 19%를 차지했고 신발(13%), 화장품(11%), 핸드백·가방(8%) 등도 많이 구입했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분위기에 대해 내수 부진 장기화로 전체 소매시장의 성장이 더딘 가운데 합리적인 소비행태가 강해지고 오프라인에서 온라인 유통매체로의 이동이 나타났기 때문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홍성수 NH투자증권 연구원은 구매건수를 보면 백화점을 찾는 고객이 줄고 구매단가도 늘지 않는 상황이라며 백화점의 상위층 고객은 별 변화가 없지만 중간층 이하 고객을 중심으로 다른 유통채널로 이동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진단했다.



정소영 기자 jsy@kjtimes.com
Copyright @2010 KJtimes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창간 : 2010년 6월 21일] / (주)케이제이타임즈 / 등록번호 :아01339 / 등록일 : 2010년 9월3일 / 제호: kjtimes.com / 발행•편집인 : 신건용 / 주소 : 서울시 금천구 서부샛길 606 (구 가산동 543-1) 대성디폴리스 A동 2804호 / Tel)02-722-6616 / 발행일자 : 2010년 9월3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신건용 KJtimes의 콘텐츠(기사)는 지적재산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복사, 전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c) KJtime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