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Jtimes=견재수 기자]백화점업계가 역성장으로 충격에 빠진 모습이다. 실제 지난해 백화점 매출이 10년 만에 뒷걸음질했다. 이에 따라 업계 내에선 지난해처럼 위기로 보기 어려운 상황에서는 이례적인 일이라고 입을 모으고 있다.
8일 금융투자업계와 통계청 등에 따르면 지난해 백화점의 판매(매출)액은 29조2000억원이다. 이는 2013년 29조8000억원보다 1.9%(6000억원) 감소했다. 30조원 문턱을 넘지 못한 채 2012년 29조1000억원 이후 3년째 29조원대에 머물렀다. 2010년 24조8000억원, 2011년 27조6000억원으로 성장하던 흐름은 찾아볼 수 없다.
통계청이 1995년부터 집계한 백화점 경상 성장률이 감소한 해는 이전까지 딱 세 차례였다. 외환위기의 한파가 몰아친 1998년(-9.0%), 카드사태로 내수가 얼어붙은 2003년(-3.0%)과 2004년(-4.4%) 뿐이었다.
주목할 점은 전통적인 유통채널의 지속적인 침체다. 그 대표격인 백화점은 경상(실질) 판매액 증가율은 2010년 11.6%(8.8%), 2011년 11.4%(7.7%), 2012년 5.4%(1.6%), 2013년 2.6%(0.0%)로 둔화한데 이어 지난해 -1.9%(-4.8%)로 내려앉았다. 실질 판매액 증가율은 경상지수에서 가격변동분을 제거한 불변지수 기준으로 낸 수치다.
백화점 판매액의 실질 증가율은 특히 2012년부터 우리나라 민간소비의 증가율을 밑돌았다. 민간소비 성장률은 2010~2014년 4.4%, 2.9%, 1.9%, 2.0%, 1.7%였다. 민간소비 침체보다 백화점 매출 부진이 더 심한 셈이다.
홈쇼핑과 대형마트 같은 다른 유통채널도 부진하기는 매한가지였다. 실제 그동안 잘 나가던 TV홈쇼핑도 주저앉았다. 지난해 홈쇼핑 판매액 경상지수는 0.8% 증가에 그쳤다. 2011년 22.3% 늘었던 것이 2012~2013년 9.1%, 5.9%에 이어 더 쪼그라들었다. 대형마트의 판매액 경상지수는 3.3% 늘었으나 여전히 부진했다.
그나마 오프라인 채널 중에서는 편의점이 괜찮은 편이었다. 편의점은 7.4% 늘며 전년(7.7%) 수준의 증가율을 유지해 상대적으로 양호했지만, 2013년(18.3%)과 견줘보면 절반에도 못미쳤다.
백화점업계 한 관계자는 “언제 어디서나 PC나 스마트폰으로 몇 번 클릭하면 먹거리부터 명품까지 원하는 물건을 모두 살 수 있는 세상”이라며 “내수 침체가 길어지고 소비성향과 패턴까지 바뀌면서 나온 결과이며 길어지는 내수 침체 속에 세월호 참사 영향도 있었다”고 지목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