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Jtimes=김봄내 기자]30대 그룹 중 평균 근속연수가 가장 긴 곳은 대우조선해양으로, 가장 짧은 곳은 신세계그룹인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기업 경영성과 평가사이트인 CEO스코어에 따르면 30대 그룹 중 대다수인 24개 그룹은 장기 불황임에도 직원의 평균 근속연수가 늘어났다. CEO스코어는 올 6월 기준 30대 그룹 249개 계열사를 대상으로 남녀 직원의 평균 근속연수를 조사했다.
그 결과 1지난해 10.6년이던 평균 근속연수는 10.9년으로 약간 길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1년 전(10.6년)에 비해 0.3년 늘어난 것이다. 남자 직원은 지난해 6월 12년에서 올해는 12.3년으로 0.3년, 여자 직원은 6.5년에서 6.9년으로 0.4년 각각 길어졌다. 반면 평균 근속연수가 짧아진 곳은 현대중공업그룹 등 5곳이다. 업황 부진으로 구조조정을 한 것이 주요 요인이다.
그러면 30대 그룹 중 평균 근속 연수는 어느 그룹이 가장 길까.
조사 결과에 따르면 평균 근속 연수가 가장 긴 그룹은 대우조선해양으로 16.4년이다. 그 뒤는 현대중공업그룹(15.8년)과 현대자동차그룹·에스오일(각 15.6년), 포스코그룹(14.2년) 등이 잇고 있다. 이밖에 ▲한진(13.5년) ▲LS(13년) ▲금호아시아나(12.2년) ▲두산(12.1년) ▲동국제강(12년) ▲현대(11.4년) ▲KCC(11년) ▲KT(10.8년) ▲SK(10.2년) 순이다.
대조적으로 직원 평균 근속연수가 가장 짧은 그룹은 신세계그룹으로 5.2년이다. 그런가 하면 평균 근속 연수가 가장 긴 그룹은 대우조선해양으로 16.4년이다.
그런가 하면 ▲현대백화점(5.8년) ▲CJ(6.6년) ▲효성(6.7년) ▲동부(7.8년) ▲롯데(8년) ▲영풍(8.1년) ▲미래에셋(8.6년) ▲LG(8.9년) ▲대우건설(9.1년) ▲GS(9.4년) ▲한화(9.5년) ▲OCI(9.6년) ▲대림(9.7년) ▲삼성(9.9년) 등은 근속연수가 10년을 넘지 않았다.
눈길을 끄는 것은 1년 새 근속 연수가 가장 많이 길어진 곳이다. 1위는 대우건설로 1.5년이었다. 다음으로 LG·두산(0.8년), 삼성·동부·KCC·KT(각 0.6년), 에쓰오일·OCI(각 0.5년), LS·동국·영풍·미래에셋·신세계(각 0.4년) 등이 30대 그룹 평균보다 많이 늘어났다. 나머지 9개 그룹은 0.1~0.3년 길어졌다.
반면 현대중공업그룹은 1년 새 평균 근속연수가 1년 짧아졌다. 실적 악화 등으로 대규모 구조조정을 실시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이어 현대(0.4년), 포스코·효성(0.3년), 대우조선해양(0.1년) 순으로 근속연수가 줄었다.
개별기업 중 직원 평균 근속연수가 가장 긴 곳은 SK에너지로 20.2년에 달했다. 이어 기아자동차(19.2년), KT·현대로템(각 18.7년), 현대비앤지스틸(18.3년), 포스코(17.8년), 현대자동차(17.5년), SK종합화학(17.1년), 금호타이어(17년), 현대중공업·대우조선해양(각 16.4년) 순으로 10위권을 형성했다.'
한편 남자 직원의 평균 근속 연수가 가장 긴 곳도 대우조선해양으로 17.2년이었다. 다음으로 현대중공업(16.4년), 현대자동차·에쓰오일(각 16.1년), 포스코·한진(각 14.7년), KT(14.4년), 금호아시아나(14.2년), LS(13.5년), 두산(12.8년), 동국제강(12.5년) 등의 순이었다. 여자 직원 근속연수는 한진그룹이 10.7년으로 가장 길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