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Jtimes=김봄내 기자]포스코그룹에 대한 검찰의 비리 수사가 끝났다. 무려 8개월만이다. 지난 3월 비자금 조성 의혹이 제기된 포스코건설에 대한 압수수색으로 시작된 이번 수사는 재계에선 초미의 관심사였다.
특히 정준양 전 포스코 회장과 정동화 전 포스코건설 부회장, 이상득 전 새누리당 의원 등이 주목을 받았다. 때문에 그 수사 결과와 평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는 분위기다.
이번 수사에 대해선 현재 국민기업으로 불리면서도 ‘주인 없는 사기업’의 속성 때문에 자행된 각종 방만 경영과 정경유착을 밝혀냈다는 성과를 얻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또한 포스코 일부 경영진의 부패, 협력사와의 검은 공생 구조를 규명했다는 평가도 있다.
반면 정재계 일각에선 정 전 부회장과 배 회장에 대한 영장 기각사례 등에 비춰 탄탄한 입증을 갖추지 못한 수사가 장시간 이어지면서 기업 경영에 부담을 줬다는 지적을 제기하고 있다. 장기간의 수사에도 애초에 제기된 각종 의혹을 충분히 규명하지 못했다는 지적도 나온다.
11일, 이 사건을 수사한 서울중앙지검 특수2부(조상준 부장검사)는 정준양 전 포스코 회장을 비롯한 포스코 전·현직 임직원 17명과 협력사 관계자 13명, 이 전 의원, 산업은행 송모 전 부행장 등 32명을 각종 비리 혐의로 기소했다고 밝혔다. 32명 가운데 구속된 피고인은 17명에 달한다.
검찰은 이와 관련 굴지의 대기업과 매출규모 수천억원대의 협력업체 등에 대한 종합적 수사였기 때문에 기간이 장시간 소요되는 것은 불가피했으며 이번 사건에서 구속영장이 청구된 피의자 19명 중 2명만 기각이 됐다고 설명했다.
검찰에 따르면 정 전 회장은 지난 2010년 5월 인수 타당성이나 위험 부담에 대한 면밀한 검토 없이 플랜트업체인 성진지오텍 지분을 인수해 포스코 측에 1592억여원의 손해를 끼친 혐의(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상 배임)를 받고 있다.
그가 받고 있는 혐의는 또 있다. 지난 2009년 포스코 신제강공장 건설 중단 문제를 해결해 달라는 청탁과 함께 이상득 전 의원의 측근 박모씨가 실소유주인 협력사 티엠테크에 일감을 몰아주는 수법으로 박씨에게 12억원 상당의 이익을 건넨(뇌물공여) 혐의가 그것이다.
공소사실에는 거래업체인 코스틸의 납품 편의를 봐주는 대가로 박재천 코스틸 회장으로부터 골프 접대나 최고급 와인을 받는 등 490만원 상당의 향응을 받은 혐의도 포함돼 있다.
뿐만 아니다. 정 전 회장은 납품 편의를 봐 주는 대가로 자신의 처사촌동생 유모씨를 코스틸 고문으로 취직시켜준 것으로 드러났다. 유씨도 포스코 측에 코스틸의 납품 로비를 해 준 뒤 고문료 명목으로 4억7000여만원의 돈을 챙긴 혐의로 불구속기소됐다.
그런가 하면 정동화 전 부회장은 정치권 유력 인사와 유착한 사실이 적발됐다. 그는 해당 인사로부터 “정부 부처 고위공무원의 고교 동창을 포스코건설에 취직시켜 달라”는 부탁을 받고 2011년 초에 이 회사의 토목환경사업본부 상무로 일하게 해 준 것으로 조사됐다.
검찰은 이처럼 취업 청탁을 들어준 대가로 정 전 부회장은 2012년 8월께 ‘4대강 사업’ 유공자로 평가받아 금탑산업훈장을 받을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정 전 부회장의 비리 혐의는 이것으로 끝이 아니었다. 지난 2009년 8월부터 2013년 6월까지 회삿돈 50억여원을 횡령하고 베트남 도로 공사 하도급 대가로 자신의 처남에게 협력사가 1억8500만원을 지급하게 한 혐의 등도 받았다.
배성로 동양종합건설 전 회장도 불구속기소됐다. 동양종합건설은 포스코건설의 협력업체다. 배 전 회장은 지난 2009년부터 지난해까지 900억원 상당의 분식회계와 포스코 측으로부터 875억원 규모의 일감을 특혜 수주한 데 따른 입찰업무 방해 등의 혐의를 받았다.
검찰은 배 전 회장의 경우 동양종건이 3000억원 상당의 인도 건설공사를 수주하도록 포스코건설에 압력을 넣었던 정 전 회장, 계약에 반대하는 임직원에게 인사 불이익을 주겠다고 한 정 전 부회장 등 포스코 수뇌부의 비호 속에 특혜를 봤다고 지적했다.
게다가 그는 2011년 5월께 포스코건설 고위 임원에게 공사 수주 대가로 5000만원을 건넨 사실도 적발됐다. 2012년부터 지난해 사이 계열사간 주식거래를 통해 회사에 83억원대의 손해를 끼치고 인도네시아 법인 자금 41억원을 횡령한 혐의도 받았다.
한편 이상득 전 의원은 재판에 넘겨진 상태다. 또 협력사 일감 몰아주기에 연루됐다는 의혹을 받는 새누리당 이병석 의원 등에 대한 수사는 아직 남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