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세타2 엔진' 결함...그랜저·소나타 등 17만대 리콜

2017.04.07 12:05:11

[KJtimes=김봄내 기자]그랜저, 소나타 등 현대·기아자동차의 5개 차종에 장착된 세타2 엔진의 제작 결함이 발견돼 차량 약 17만대가 리콜(시정조치)된다.

 

국토교통부는 그랜저(HG), 소나타(YF), K7(VG), K5(TF), 스포티지(SL) 등 현대차의 5개 차종 171348대에 대해 리콜을 실시한다고 7일 밝혔다.

 

리콜 대상은 20138월 이전에 생산된 세타2 엔진 장착 차량으로 그랜저 112670, 소나타 692, K7 34153, K5 1332, 스포티지 5401대다.

 

이는 최근 5년간 단일 사안으로 리콜된 사례 중 현대차 아반떼 등 19개 차종(825천대·2013), 르노삼성 SM5·SM3(392천대·2015)에 이어 세 번째로 큰 규모다.

 

앞서 국토부는 세타2 엔진을 장착한 현대차의 일부 모델에서 엔진 소착(마찰열로 인해 접촉면이 달라붙는 현상)으로 인해 주행 중 시동 꺼짐 현상이 발생한다는 언론 보도와 소비자 신고가 이어지자 작년 10월 제작결함 여부에 대한 조사에 착수했다.

 

조사를 맡은 교통안전공단 자동차안전연구원은 20138월 이전에 생산된 세타2 엔진에서 소착 현상이 나타난다는 사실과 함께 이것이 안전운행에 지장을 주는 제작 결함일 가능성이 크다는 결과를 지난달 말 국토부에 보고했다.

 

연구원이 확인한 사례는 작년 109K5 2.0 T-GDI 엔진 파손·화재 올해 35K5 2.0 T-GDI 엔진 파손·화재 올해 312K7 2.4 GDI 엔진 소음·출력 저하 등 3건이다.

 

이 밖에 엔진 소음과 진동이 심하다는 소비자 신고는 더 많지만 주관적 요인이 크다고 보고 결함 사례로 판단하지는 않았다.

 

당초 국토부는 세타2 엔진에 대한 리콜이 필요한지를 결정하기 위해 이달 20일 전문가들로 구성된 제작결함심사평가위원회에 조사 결과를 상정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현대차가 지난 3일 국토부에 자발적인 리콜 시행 의사를 밝힌 데 이어 전날 리콜계획서를 제출함에 따라 제작결함 조사를 종료하고 시정계획의 적정성만 평가하기로 했다.

 

현대차의 리콜계획서에 따르면 20138월 이전에 생산된 세타2 엔진은 크랭크 샤프트라는 엔진 부품에 오일 공급 구멍을 만드는 과정에서 문제가 생겼다.

 

해당 공정에서 기계 불량으로 금속 이물질이 발생하는 바람에 크랭크 샤프트와 엔진 내 다른 부품인 베어링의 마찰이 원활하지 못한 소착 현상이 나타난 것이다.

 

이는 주행 중 시동 꺼짐이나 엔진 파손 등으로 이어질 위험이 있다.

 

20138월 이후에는 현대차가 엔진 이물질을 씻어내는 공정을 보완해 이러한 문제가 해결된 것으로 파악됐다.

 

현대차는 전체 리콜 대상 차량을 대상으로 소음 정도를 측정하는 등 추가 검사를 한 뒤 결함이 있는 것으로 확인된 차량에 대해서만 새롭게 개선한 엔진으로 교체한다는 계획이다.

 

엔진의 일부 부품 결함으로 시동 꺼짐 현상이 발생해 소규모 리콜이 이뤄진 적은 다수 있었지만 엔진 전체를 교체하는 리콜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국토부는 전했다.

 

리콜 개시 시점은 새 엔진 생산에 소요되는 기간, 엔진 수급 상황, 리콜 준비 기간 등을 고려해 올해 522일로 정해졌다.

 

국토부 관계자는 "이용자 안전을 위해 차량 결함을 조속히 시정해야 하는 만큼 현대차의 리콜계획을 우선 승인했다""추후 리콜방법, 대상 차량의 적정성 등에 대한 검증을 추가로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앞서 현대차는 20159월 미국에서 세타2 엔진을 장착한 20112012년식 쏘나타(YF) 47만대를 리콜했고 20132014년식은 보증 수리 기간을 연장했다.

 

국내에서도 일부 소비자들이 세타2 엔진의 결함을 주장했으나 현대차는 "미국 현지 공장의 생산공정 청정도 관리 문제로 발생한 사안이라 국내 차량과는 무관하다"고 밝힌 바 있다.

 

국토부는 국내 리콜 역시 생산공정의 청정도와 관련이 있다고 추정하며, 현대차가 의도적으로 결함을 은폐하거나 축소한 증거가 있는지를 별도로 조사한다는 방침이다.

 

'늑장 리콜' 의혹에 대해 현대차는 "2015년 미국에서 한 리콜과 이번 국내 리콜은 결함 발생 원인이 다르다""미국 리콜 당시에는 국내 생산 엔진의 결함을 인지하지 못했던 것"이라고 해명했다.

 

 



김봄내 기자 kbn@kjtimes.com
Copyright @2010 KJtimes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창간 : 2010년 6월 21일] / (주)케이제이타임즈 / 등록번호 :아01339 / 등록일 : 2010년 9월3일 / 제호: kjtimes.com / 발행•편집인 : 신건용 / 주소 : 서울시 금천구 서부샛길 606 (구 가산동 543-1) 대성디폴리스 A동 2804호 / Tel)02-722-6616 / 발행일자 : 2010년 9월3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신건용 KJtimes의 콘텐츠(기사)는 지적재산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복사, 전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c) KJtime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