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규제 3개 품목, 대일 의존도 90% 이상...韓기업 '빨간불'

2019.07.01 17:52:32

[KJtimes=김현수 기자]일본 정부가 한국 수출규제 대상에 올린 3개 품목의 대일(對日) 의존도가 최고 94%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일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3개 품목 가운데 플루오드 폴리이미드와 리지스트, 애칭가스의 대일 수입의존도(지난 1~5월 기준)는 각각 43.9%, 91.9%, 93.7%인 것으로 조사됐다.

올레드(OLED) 디스플레이 패널용 소재인 플루오드 폴리이미드의 지난 5월까지 올해 수입액은 약 1296만달러였고, 같은 기간 리지스트는 1억1266만달러 가운데 91.9%가 일본산이었다.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 필수적인 에칭가스는 중국산 수입이 33만달러로 전체(6479만달러)의 46.3%를 차지해 가장 많았으나 일본산도 2844만달러(43.9%)로 비슷한 수준이었다.

이들 품목에 대한 대일 의존도는 지난 10년간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에칭가스의 경우 대일 수입의존도가 지난 2010년 72.2%에 달했던 것이 중국산 수입 증가로 40%대까지 떨어졌지만 리지스트(95.5%→91.9%)와 플루오린 폴리이미드(97.7%→93.7%)는 수요가 늘면서 최근 몇년새 급격히 증가했다.

그러나 일본 입장에서도 이들 3개 품목 수출에서 차지하는 한국 시장 비중이 상당하다. 따라서 이번 조치가 장기화 되진 않을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김건우 무협 연구원은 "반도체 설비 시장을 한국 기업들이 상당 부분 차지하고 있어 일본 수출규제가 길어질수록 우리 기업에 수출하는 일본 기업들도 상당한 피해를 감수할 수 밖에 없는 구조"라고 말했다.

실제 올들어 지난 4월까지 일본 에칭가스 수출(31억6100만엔) 가운데 85.9%(27억1400만엔)가 한국으로의 수출이었다. 뒤를 이어 대만(7.8%)과 미국(3.3%), 중국(2.6%) 등 순이었다.

플루오드 폴리이미드는 대 중국 수출이 전체 36.3%로 가장 많았지만 한국도 22.5%로 상당 부분을 차지했고 대만(19.5%)이 3위에 올랐다. 리지스트는 미국이 전체의 21.8%를 차지하면서 일본산의 최대 시장이었고, 한국(11.6%)은 대만(17.9%)과 중국(16.7%)에 이어 4위였다.


김현수 기자 khs@kjtimes.com
Copyright @2010 KJtimes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창간 : 2010년 6월 21일] / (주)케이제이타임즈 / 등록번호 :아01339 / 등록일 : 2010년 9월3일 / 제호: kjtimes.com / 발행•편집인 : 신건용 / 주소 : 서울시 금천구 서부샛길 606 (구 가산동 543-1) 대성디폴리스 A동 2804호 / Tel)02-722-6616 / 발행일자 : 2010년 9월3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신건용 KJtimes의 콘텐츠(기사)는 지적재산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복사, 전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c) KJtime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