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경제 현주소③]‘유럽의 수소전략’ 속내…알아보니

2021.10.18 10:38:26

핵심은 탄소중립을 위한 에너지시스템의 개편과 유럽의 산업·경제 보호 및 발전
탄소중립·수소경제의 주체, 큰 이익 가져가는 자는 유럽이어야 한다는 방침 뚜렷

문재인 정부가 미래 에너지경제시스템을 탈원전+수소경제로 하겠다는 야심찬 계획을 발표한 후 현대차가 중심이 되어 수소경제를 밀고 있다. 그러나 아직 수소경제의 성공을 예단하기 어렵고 향후 정권들이 현 정권의 수소경제를 계승할 것인지도 불확실하다. 전 세계 에너지 시스템이 수소 기반으로 전환된다고 해도 유럽 및 미국과 중국 등이 한국에게 핵심적 이익을 주지 않으려 할 것이므로 수소경제에 대해서는 여·야 공통의 미래 한국을 위한 거시적 합의에 기반을 둔 보다 면밀하고 철저한 계획이 필요하다는 관측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KJtimes>에서는 수소경제의 현재와 미래를 전문가들을 통해 분석, 4회에 걸쳐 연재한다.[편집자 주]

 

[KJtimes=김봄내 기자]유럽의 수소경제는 지난 202078탄소중립을 위한 수소전략을 발표하면서 가시화됐다. 그러면 유럽의 수소전략 속내는 무엇일까.


우선 눈길을 끌고 있는 것은 탄소중립을 위한 수소전략의 핵심이 탄소중립을 위한 에너지시스템의 개편과 유럽의 산업·경제 보호 및 발전에 맞춰져 있다는 것이다.


이들은 새로 확립될 수소인프라가 가급적 기존 에너지 인프라와 자동차 관련 인프라에서 재활용되기를 희망하고 있다. 이를 통한 유럽의 산업·경제 보호 및 발전을 추구한다는 게 기본 방침인 셈이다. 여기서 수소연료전지차는 유럽 수소전략에 전혀 거론되지 않는 분야라는 점이 이색적이다.

 

수소경제의 주체는 유럽(?)

 

탄소중립을 위한 수소전략에서 유럽은 탄소중립·수소경제의 주체와 큰 이익을 가져가는 자는 유럽이어야 한다는 방침이 뚜렷하다. ‘대규모 담수화 설비태양광·풍력 등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대규모 수전해수소저장·유통사용과 관련, 메인-서브/-다운(Main-Sub/Up-Down) 시스템 모두 유럽이 우선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유럽은 수소연료전지차가 수소경제 상 자동차의 대세가 되는 것을 경계하고 있다. 이들은 현재 자동차의 경우 전기차로 대세가 굳어진 상태인 것이 계속되기를 희망하고 있다.


만일 수소연류전지차가 전기차에 맞먹는 규모가 될 경우 전기차의 핵심인 배터리를 주도하는 한국과 중국, 일본이 핵심이익을 가져가는데 이어 수소차를 주도할 한국과 일본이 핵심 이익을 가져가게 되어 자동차분야에서 유럽의 영향력이 지금과 비교해 훨씬 위축될 가능성이 다분하게 될 것이라는 판단에서다.


업계 한 전문가는 현재 생산과 판매중인 수소연료전지차는 한국의 현대차 넥쏘와 일본의 도요타 미라이가 유일하다그만큼 수소연료전지차를 도입하면 한국과 일본 양국에 이익의 상당부분이 귀속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그는 이어 수소연료전지차에는 연료전지+배터리(전기차 수준)가 들어가는데 혼다도 수소연료전지차 개발했으나 현재 사실상 사업 보류 중에 있다면서 수소는 버스·트럭·기차·선박 등에 활용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전문가들은 독일의 벤츠나 보쉬의 사례에서 유럽 수소전략의 속내를 읽을 수 있다고 말하고 있다. 실제 독일의 벤츠는 한국이나 일본보다 먼저 수소연료전지 개발 추진했으나 현재 보류에 상태다.


보쉬는 지난 202042L(4기통) 수소엔진 개발을 발표했는데 여기에는 수소+CO2의 합성액체연료를 사용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는 수소연료전지의 경우 고순도의 수소를 사용해야 하나 합성액체연료는 저순도 수소를 사용한다는 점에서 이를 이용한 자동차 생산 시 기존 디젤차 생산시설 공유가 가능하다는 판단에 근거하고 있음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업계 한 전문가는 전 세계적으로 900개 이상의 수소 관련 프로젝트 진행 중에 있고 수소연료전지는 그 중 하나의 옵션일 뿐이라며 수소연료전지 대신 합성액체연료, 합성액체연료+화석연료, 수소엔진 등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고 전했다.

 

내연기관 생산 금지는 일본에 큰 타격

 

하지만 무엇보다 유럽 수소전략의 속내가 잘 드러나고 있는 것은 탄소중립내연기관 생산 금지라고 할 수 있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현재 탄소발생 측정은 연료탱크 주입 시부터 주행(Tank to Wheel)까지로 하고 있다.


그러나 20025년부터 2030년 사이에는 1차 에너지(Well, 화석연료/친환경발전 채굴원)부터 주행까지로 확대가 유력하며 2030년 이후에는 전 과정 평가(LCA, Life Cycle Assessment)가 이뤄질 것으로 관측된다.



업계 한 전문가는 이와 관련 “‘합성액체연료+화석연료에서 점차 수소 비중을 높이는 방식으로 갈 것이고 연료에 수소가 포함되어 있으면 탄소배출 저감을 인정할 것이라며 이는 탈출구가 생기는 셈이라고 예상했다.


그런가 하면 유럽이 오는 2035년 하이브리드 포함한 내연기관 판매 금지내연기관 생산을 금지시킨 것도 도외시해서는 안된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한 전문가는 “20년 내 내연기관 생산이 전면 금지되면 하이브리드 생산과 판매 세계 1위인 일본에 큰 타격이 갈 것이라면서 업계 일각에서는 원칙(탄소중립)을 빙자한 빅 픽처라는 시각도 존재하고 있고 일본의 잘라파고스(세계 시장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자신들의 양식만 고집함으로써 세계 시장에서 고립되어 버린 일본의 상황을 비유한 말)화 심화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고 귀띔했다.



김봄내 기자 kbn@kjtimes.com
Copyright @2010 KJtimes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창간 : 2010년 6월 21일] / (주)케이제이타임즈 / 등록번호 :아01339 / 등록일 : 2010년 9월3일 / 제호: kjtimes.com / 발행•편집인 : 신건용 / 주소 : 서울시 금천구 서부샛길 606 (구 가산동 543-1) 대성디폴리스 A동 2804호 / Tel)02-722-6616 / 발행일자 : 2010년 9월3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신건용 KJtimes의 콘텐츠(기사)는 지적재산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복사, 전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c) KJtime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