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Jtimes=정소영 기자] OK저축은행, 웰컴저축은행 등 국내 저축은행들의 대출금리와 예금 등 수신금리 차이인 예대금리차가 시중은행(제1금융권)들보다 월등히 높으며, 그 수익 역시 천문학적인 수준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정무위 강민국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으로 부터 제출 받은 '국내 저축은행 예대금리차 및 수익 내역’에 따르면 2018년~2020년까지 저축은행 예대금리차는 평균 7.8%로 이는 동일 기간 국내 시중은행 1.9%의 약 4배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저축은행의 예대금리차를 연도별로 보면 2018년 7.9%p, 2019년 7.9%p, 2020년 7.8%p로 감소 추세를 보였지만, 시중은행에 비해 월등히 높은 수준이다.
지난 3년간 저축은행별 평균 예대금리차를 보면 웰컴저축은행이 16.1%p로 가장 금리차가 컸다. 다음으로 OK저축은행 13.8%p, 스마트저축은행 12.5%p, 머스트 삼일 저축은행 12.1%p, 유진과 상상플러스인 저축은행 각 11.2%p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OK저축은행의 경우 올해 7월말 기준, 예대금리차가 11.3%로 가장 컸다.
이러한 큰 예대금리차로 지난 3년간 국내 저축은행이 벌어들인 수익이 무려 13조 6950억원에 달했다.
--
이를 연도별 수익으로 환산하면 2018년 4조 1811억원, 2019년 4조 4829억원, 2020년 5조 310억원으로 매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올해 1-7월까지 벌어들인 수익만도 3조 3809억원(예대금리차7.2%)에 달했다.
3년간 국내 저축은행 중 예대금리차 수익이 가장 많은 저축은행은 OK저축은행으로 2조 1459억원의 예대금리차 수익을 올렸다. 다음으로 SBI저축은행 1조 8880억원, 웰컴저축은행 9883억원, 페퍼저축은행6027억원, 유진 저축은행 6497억원 등의 순이다. 올해도 7월말 기준, 예대금리차 수익 1위는 OK저축은행(5301억원)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국내 저축은행의 예대금리차 수익이 증가하고 있는 사유에 대해 금융감독원은 "저축은행의 이자 이익은 가계대출 중심의 대출자산 확대 등으로 증가(2018년 4.2조원⇨2020년 5.0조원)했다”고 밝혔다.
강민국 의원은 "2020년말 국내 원리금 상환이 연체된 가계 대출 규모만도 1조 6915억원에 달하는 등 국민은 힘들어하는데, 저축은행의 예대금리차 평균은 시중 은행의 4배에다 13조 7000억원이라는 수입을 올리고 있다는 것은 결국 저축은행들이 시중은행 문을 못 넘는 중․저신용자 등 어려운 서민들을 대상으로 금리장사를 하고 있다고 밖에 볼 수 없다"고 비판했다.
이어 "금융감독원은 저축은행들의 과도한 예대금리차에 대해 조사해 '대출금리 산정체계 모범규준' 미준수 등 금리 인상 근거에 문제가 있을 시에는 엄중히 처벌해야 할 것이며, 저축은행의 금리운용 실태를 정기적으로 공개해 금리 인하경쟁을 촉진시키는 것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