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 WWF "눈표범 서식지 최대 23% 소실 위기…고산 생태계 붕괴 우려"

2025.10.28 18:44:45

전 세계 눈표범 6,500마리 미만…매년 400마리 가까이 불법 사냥에 희생
광산·도로·관광 개발로 서식지 단절 심화…WWF "지역사회 협력 절실"

                                            [영상=정소영 기자]

[KJtimes=정소영 기자] 세계자연기금(WWF)은 10월 23일 ‘세계 눈표범의 날(International Day of the Snow Leopard)’을 맞아 불법 사냥과 기후변화로 인해 눈표범 서식지의 최대 23%가 사라질 수 있다고 경고하며, 과학적 모니터링과 지역사회 기반 보전 활동 강화를 촉구했다.

WWF는 “기후변화와 인간의 개발로 눈표범 서식지가 2070년까지 최대 23% 줄어들 수 있다”며 “이는 곧 고산 생태계 전체의 붕괴로 이어질 수 있다”고 밝혔다. 눈표범은 중앙아시아와 히말라야 산악지대에 서식하며, 고산 생태계의 균형을 유지하는 핵심종(keystone species)이자 지표종(indicator species)으로 꼽힌다.

◆ “불법 사냥 등 인간의 활동으로 목숨 잃어”

현재 눈표범은 국제자연보전연맹(IUCN) 적색목록상 ‘취약(Vulnerable)’ 등급으로, 전 세계 개체 수는 약 4,000~6,500마리로 추정된다. WWF에 따르면 광산 개발, 도로 건설, 수력발전, 관광 인프라 확충 등으로 서식지가 단절되고 있으며, 매년 약 220~450마리가 불법 사냥 등 인간의 활동으로 목숨을 잃고 있다.



WWF는 눈표범 보전을 위해 지역 주민과 협력해 가축 피해 보험제도와 포식자 방지 울타리 설치 등 공존 모델을 운영하고 있다. 또한 불법 야생동물 거래 근절을 위해 ‘온라인 야생동물 밀매 종식 연합(Coalition to End Wildlife Trafficking Online)’을 가동 중이며, GPS 위성 추적과 환경 DNA(eDNA) 분석을 통한 과학적 연구도 병행하고 있다.

WWF 관계자는 “눈표범 보전은 단순히 한 종의 생존을 지키는 일이 아니라 지구의 고산 생태계를 보호하는 일”이라며 “과학적 연구와 지역사회 협력을 통해 사람과 눈표범이 함께 살아가는 지속 가능한 모델을 구축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정소영 기자 jsy1@kjtimes.com
Copyright @2010 KJtimes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창간 : 2010년 6월 21일] / kjtimes(케이제이타임즈) / Tel) 02-722-6616 / 주소 : 서울시 금천구 서부샛길 606 (구 가산동 543-1) 대성디폴리스 A동 2804호/ 등록번호 :아01339 / 등록일 : 2010년 9월 3일 / 발행•편집인 : 신건용 / 청소년보호책임자 : 신건용 KJtimes의 콘텐츠(기사)는 지적재산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복사, 전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c) KJtime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