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벅스-동반위-카페조합, ‘카페업 대중〮소기업 상생협약’

2025.11.11 13:47:24

[KJtimes=김봄내 기자]스타벅스 코리아(대표이사 손정현)가 제7차 상생음료로 안동 찐 사과를 개발하고, 1112일부터 전국 소상공인 카페 150개소에 선보인다.

 

 

스타벅스는 지난 20223월 커피업계 최초로 동반성장위원회(이하 동반위), 전국카페사장협동조합(이하 카페조합)카페업 상생협약을 체결하고, 매년 스타벅스의 전문화된 음료개발 노하우를 발휘한 상생음료를 개발해 소상공인 카페에 전달하며 상생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소상공인 카페와 지난 3년간의 성공적인 상생활동을 바탕으로, 스타벅스는 1111일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위치한 스타벅스 지원센터에서 기관 관계자와 소상공인 점주 등 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동반위, 카페조합과 카페업 대중소기업 상생협약을 다시 한번 맺으며 제7차 상생음료를 전달했다.

 

 

이를 통해 스타벅스는 동반위, 카페조합과 함께 상생음료 개발 및 전달 자연재해 피해 소상공인 점주에 대한 복구 지원 농가 방문 봉사활동 및 지역 특산물 활용한 음료푸드 벤치마킹 등 상생활동을 전개해 나갈 것을 약속했다.

 

 

7차 상생음료로 선정된 안동 찐 사과는 경북 안동 사과를 활용해 달콤하고 상큼한 과즙과 은은한 풍미를 느낄 수 있도록 스타벅스 음료팀이 직접 개발했다. 취향에 따라 선택할 수 있도록 얼음이 갈린 블렌디드 형태의 아이스 음료 또는 따뜻하게 즐길 수 있는 핫 음료 두 종류로 개발됐다.

 

 

스타벅스는 이번 제7차 상생음료의 원부재료를 소상공인 카페 150개소에 카페당 400잔씩, 6만 잔 분량을 순차적으로 전달할 예정이다. 이로써 스타벅스가 지난 2022년 제1차 상생음료부터 이번 제7차까지 지원한 상생음료 원부재료는 누적 약 416천 잔으로, 수혜를 받은 소상공인 카페는 총 970개소에 달한다.

 

 

스타벅스에서 맛볼 수 없는 스타벅스 음료로 매년 높은 고객 호응을 얻고 있는 상생음료에 대한 판매 매장과 위치에 대한 정보는 동반위의 카카오톡 채널에서 확인할 수 있다.

 

 

스타벅스 김지영 ESG팀장은 새롭게 맺은 상생협약과 더불어 이번 제7차 상생음료에 대한 소식을 전해드릴 수 있어 기쁘게 생각한다라며 스타벅스는 앞으로도 소상공인 점주분들과 따뜻한 동행을 이어가며 든든한 동반자 역할을 책임감 있게 해내겠다라고 전했다.

 

 

동반성장위원회 곽재욱 운영처장은 이번 협약 연장은 대기업과 중소상공인이 함께 만들어온 상생협력의 성과를 이어가는 의미 있는 자리라며, “매년 추진 중인 상생음료가 소상공인 카페의 매출 향상과 홍보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고 있으며, 앞으로도 다양한 상생협력 활동이 확산될 수 있도록 계속 지원하겠다라고 말했다.

 

 

전국카페사장협동조합 고장수 이사장은 불가능을 가능하게 만들어준 스타벅스와 동반성장위원회에 진심으로 감사한다. 지난 3년간 스타벅스가 보여준 진심 어린 상생 노력과 헌신에 카페 업계를 대표해 깊이 감사드린다라며, “앞으로도 전국카페사장협동조합은 스타벅스와 함께 대기업과 소상공인이 공존할 수 있음을 증명하고, 더 많은 상생 프로그램을 통해 소상공인 카페의 성장에 기여하겠다라고 전했다.

 

 

한편, 스타벅스는 2022년부터 소상공인이 운영하는 노후 카페를 대상으로 자연재해 수해복구, 노후 카페에 대한 인테리어 지원 등 소상공인 점주에게 매장 운영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지원을 이어오고 있으며, 이를 통해 현재까지 총 77개소의 소상공인 점주에게 도움을 전했다.

 



김봄내 기자 kbn@kjtimes.com
Copyright @2010 KJtimes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창간 : 2010년 6월 21일] / kjtimes(케이제이타임즈) / Tel) 02-722-6616 / 주소 : 서울시 금천구 서부샛길 606 (구 가산동 543-1) 대성디폴리스 A동 2804호/ 등록번호 :아01339 / 등록일 : 2010년 9월 3일 / 발행•편집인 : 신건용 / 청소년보호책임자 : 신건용 KJtimes의 콘텐츠(기사)는 지적재산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복사, 전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c) KJtime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