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46%, 거짓말하고 쉰 적 있어”

2016.08.01 12:11:22

[KJtimes=김봄내 기자]‘피로사회를 사는 직장인들은 쉬고 싶을 때 연차를 내는 것도 쉽지 않다. 실제로 직장인 2명 중 1명은 거짓말을 하고 회사를 쉬어 본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취업포털 사람인이 직장인 1,579명을 대상으로 거짓말을 하고 연차를 사용한 경험을 조사한 결과, 46.1%경험이 있다라고 답했다.

 

연차를 낸 요일은 월요일40.9%(복수응답)로 가장 높았다. 그 다음으로 금요일’(36.4%), ‘수요일’(25.7%), ‘목요일’(18.1%), ‘화요일’(18%), ‘토요일’(5.6%), ‘일요일’(1.6%) 순이었다.

 

거짓말이나 핑계를 댄 이유로는 솔직하게 말하면 못 쉴 것 같아서’(57.8%, 복수응답)를 첫 번째로 꼽았다. 계속해서 쉬는 것이 눈치 보여서’(39.3%), ‘이직 면접 등 밝히기 어려운 이유라서’(34.9%), ‘말 못 할 사정이 있어서’(19.6%), ‘다들 그렇게 하는 것 같아서’(6.6%) 등의 응답이 이어졌다.

 

이들이 연차를 내기 위해 한 거짓말 1위는 몸살, 급체 등 몸이 아프다’(60.2%, 복수응답)였다. 뒤이어 급한 집안일이 생겼다’(32%), ‘가족, 친지의 경조사가 있다’(20.6%), ‘진료 예약이 있다’(15.4%), ‘가족을 간병해야 한다’(12.1%), ‘금융 업무로 급한 볼일이 있다’(8.9%), ‘급작스러운 사고가 났다’(6.2%), ‘가족여행을 가게 되었다’(4.4%) 등의 순이었다.

 

그러나 실제로는 피로가 쌓여서 휴식 취함’(63%, 복수응답)’, ‘개인 용무’(43.4%), ‘이직 면접 참석’(31%), ‘은행 및 관공서 업무 처리’(16.9%), ‘여행을 떠남’(12.2%) 등의 일을 한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 1년간 거짓말을 하고 출근하지 않은 횟수에 대해서는 ‘1’(62.5%)이 가장 많았고, ‘2’(25%), ‘3’(7.6%) 등의 순으로 이어졌다.

 

부하직원이 거짓 결근을 한 것으로 생각되었을 때 어떻게 하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모르는 척 넘어갔다’(81.3%)는 응답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이밖에 직접 추궁했다’(5.5%), ‘인사고과에 반영했다’(3.8%), ‘소문 등을 내 비난 받도록 했다’(1.5%) 등의 응답이 있었다.

 

반면, 회사에 거짓말을 하지 않았다고 응답한 이들은 그 이유로 거짓말을 하면 마음이 편치 않아서’(49.7%, 복수응답)라는 이유를 첫 번째로 들었다. 다음으로 양심에 걸려서’(32.8%), ‘업무가 많아 쉴 틈이 없어서’(22%), ‘사유를 솔직히 말해도 쉴 수 있어서’(19.7%), ‘괜히 걸리면 오히려 못 쉴 것 같아서’(16.8%), ‘어차피 들통날 것 같아서’(15.9%) 등이 있었다.

 

한편, 거짓 연차를 내는 동료를 보면 어떤 생각이 드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절반에 가까운 48.6%나도 그럴 수 있기에 이해된다라고 응답했다. 계속해서 책임감이 없어 보인다’(14.9%), ‘그렇게까지 해야 하나 싶어 안쓰럽다’(12.8%) 등으로 답했다.

 

사람인의 임민욱 팀장은 피로누적이나 개인적인 사정에도 불구하고 연차를 사용하지 못하게 되면, 업무 효율이 떨어지는 것은 물론 회사에 대한 불만이 쌓이기 쉽다.”라며 업무에 피해를 주지 않는 선에서는 자유롭게 연차를 쓸 수 있는 분위기 조성이 필요한 만큼 회사 차원의 적극적인 독려와 관리자급의 솔선수범을 통해 제도 사용에 대한 부담을 없애는 것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봄내 기자 kbn@kjtimes.com
Copyright @2010 KJtimes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창간 : 2010년 6월 21일] / (주)케이제이타임즈 / 등록번호 :아01339 / 등록일 : 2010년 9월3일 / 제호: kjtimes.com / 발행•편집인 : 신건용 / 주소 : 서울시 금천구 서부샛길 606 (구 가산동 543-1) 대성디폴리스 A동 2804호 / Tel)02-722-6616 / 발행일자 : 2010년 9월3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신건용 KJtimes의 콘텐츠(기사)는 지적재산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복사, 전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c) KJtime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