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무사, 전면 개혁 44%·폐지 35% vs 현행 유지 11%

2018.07.12 11:38:06

[KJtimes=이지훈 기자]국민 10명 중 8명에 이르는 대다수는 촛불집회 무력진압 문건공개로 논란이 되고 있는 국군기무사령부를 전면 개혁하거나 폐지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최근 촛불집회 무력진압 계획 수립’, ‘세월호 피해자 사찰’, ‘사이버 댓글공작등 각종 의혹사건에 혐의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국군기무사령부의 존폐를 둘러싸고 논란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tbs 의뢰로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대표 이택수)가 국군기무사령부의 존폐에 대한 국민여론을 조사한 결과, ‘존치시키되 기존의 정보업무를 방첩이나 대테러로 제한하는 등 전면 개혁해야 한다전면 개혁응답이 44.3%, ‘존재하는 한 군()의 정치개입이나 민간인 사찰을 막을 수 없으므로 전면 폐지해야 한다폐지응답이 34.7%, 국민 10명 중 8명에 이르는 대다수는 국군기무사령부를 전면 개혁하거나 폐지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행 그대로 유지해야 한다현행 유지응답은 11.3%에 불과했다. ‘잘모름9.7%로 집계됐다.

 

전면 개혁여론은 수도권과 영남, 30대 이상 전 연령층, 무당층과 한국당 지지층, 중도층과 보수층에서 우세했고, ‘폐지여론은 호남과 충청권, 정의당 지지층과 진보층에서 우세했다. 20대와 더불어민주당 지지층은 전면 개혁폐지여론이 팽팽하게 맞서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역별로는 경기·인천(폐지 35.1% vs 전면 개혁 54.0%)과 대구·경북(21.2% vs 50.5%), 서울(32.5% vs 48.3%), 부산·경남·울산(26.9% vs 37.8%)에서는 전면 개혁여론이 절반을 넘거나 우세했고, 호남(43.3% vs 35.0%)과 대전·충청·세종(50.9% vs 24.7%)에서는 폐지여론이 우세했다.

 

연령별로는 50(폐지 34.8% vs 전면 개혁 48.2%)30(35.7% vs 46.0%), 40(39.1% vs 45.1%), 60대이상(25.8% vs 40.5%)에서 전면 개혁여론이 우세했다. 20(폐지 41.4% vs 전면 개혁 42.9%)에서는 전면 개혁폐지여론이 팽팽하게 엇갈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념성향별로는 중도층(폐지 31.8% vs 전면 개혁 56.4%)과 보수층(현행 유지 29.9% vs 전면 개혁 34.7%)에서는 전면 개혁여론이 절반을 넘거나 우세했고, 진보층(폐지 50.1% vs 전면 개혁 43.7%)에서는 폐지여론이 우세한 것으로 조사됐다.

 

지지정당별로는 무당층(폐지 21.8% vs 전면 개혁 43.1%)과 자유한국당 지지층(현행 유지 37.4% vs 전면 개혁 41.7%)에서는 전면 개혁여론이 우세했고, 정의당 지지층(폐지 51.8% vs 전면 개혁 43.5%)에서는 폐지여론이 다소 우세했다. 더불어민주당 지지층(폐지 43.9% vs 전면 개혁 45.4%)에서는 전면 개혁폐지여론이 팽팽하게 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2018711()에 전국 19세 이상 성인 15,657명에게 접촉해 최종 502명이 응답을 완료, 3.2%의 응답률을 나타냈고, 무선(10%) 전화면접 및 무선(70%)·유선(20%) 자동응답 혼용, 무선전화(80%)와 유선전화(20%) 병행 무작위생성 표집틀을 통한 임의 전화걸기 방법으로 실시했다. 통계보정은 20181월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통계 기준 성, 연령, 권역별 가중치 부여 방식으로 이루어졌고,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4.4%p이다.

 



이지훈 기자 ljh@kjtimes.com
Copyright @2010 KJtimes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창간 : 2010년 6월 21일] / (주)케이제이타임즈 / 등록번호 :아01339 / 등록일 : 2010년 9월3일 / 제호: kjtimes.com / 발행•편집인 : 신건용 / 주소 : 서울시 금천구 서부샛길 606 (구 가산동 543-1) 대성디폴리스 A동 2804호 / Tel)02-722-6616 / 발행일자 : 2010년 9월3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신건용 KJtimes의 콘텐츠(기사)는 지적재산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복사, 전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c) KJtime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