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중립+] 농진청, 온실가스 배출 줄이는 식량작물 재배기술 보급 시동

2022.04.06 11:02:21

올해 전국 10개소 시범사업 추진…성과 분석 후 기술보급 지역 확대

[kjtimes=정소영 기자] 농촌진흥청(청장 박병홍)은 농식품 분야 2050 탄소중립(배출한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대책을 세워 실질적인 배출량을 ‘0’으로 만드는 것을 의미함) 정책 지원의 일환으로 올해 전국 10개소에서 ‘저탄소 식량작물 재배기술 현장 확산 모델 시범사업(이하 시범사업)’을 추진한다고 5일 밝혔다. 


지난해 10월 관계부처 합동으로 발표된 ‘2050 국가 탄소중립 시나리오’에 따라 농수축산 분야는 205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2018년 2400여만 톤 대비 38%를 감축할 계획이다.  


시범사업 대상은 농촌진흥청이 개발한 농경지 온실가스 저감 기술의 현장적용이 가능한 각 지역의 재배단지, 작목반, 연구회, 농업법인 등 벼 재배를 전업으로 하는 농업인 단체이다. 




농촌진흥청 개발 농경지 온실가스 저감 관련 국가사업에 포함된 기술은 △논물 관리기술 △경운 관리기술 △직파재배 △토양검정 비료사용 △완효성비료 사용 △풋거름 작물 재배 △경축순환농법 △바이오차 사용 △토지의 이용방법 전환(논 타작물 재배) 등 총 9가지이다. 


시범사업 대상지에는 논물 관리기술을 중심으로 △농경지 바이오차(Biochar) 투입 △논물 관리기술(자동물꼬) △논 이용 밭작물 재배 등 지역별로 적합한 농경지 온실가스 저감 기술이 적용된다.    


메탄 발생량 감축하는 논물 관리의 경우 벼 재배기간 동안 물이 차있는 논에서는 온실가스인 메탄(CH4)이 생성돼 배출된다. 


논물 관리기술은 논에서 벼를 재배할 때 계속해서 물을 채우지 않고 △중간물떼기(벼 이앙 후 약 1개월 동안 논물을 깊이 대고, 2~3주 정도 물을 떼서 논바닥에 실금이 보이면 물을 다시 댐) △얕게 걸러대기(곡식이 여무는 시기에 논물을 얕게 대고, 이삭이 익을 때까지 반복함) 등 논물 관리를 통해 메탄 발생을 줄이는 것이다. 


작물 재배 전 농경지 토양에 바이오차를 투입하면 토양에 탄소를 격리‧저장할 수 있다.


바이오차 적용방법은 작물 재배 전에 밑거름 투입과 동시에 바이오차를 농경지 전면에 흩뿌린 다음 흙갈이(로터리)를 하여 표토(지표면에서 30cm까지 토양)까지 균일하게 혼합하며, 토양개량제로도 활용할 수 있다. 


논에서 밭작물을 재배하면 토양에 공기가 공급되어 메탄 발생량을 줄일 수 있다. 즉 벼를 재배할 때 담수상태인 논에서 메탄이 발생하는 원리를 반대로 활용하는 것이다. 


이와 함께 농촌진흥청은 디지털농업 기술을 활용한 자동 논물 관리를 위해 ‘외래품종 대체 최고품질 벼 생산․공급 거점단지(이하 최고품질 벼 생산 단지)’를 대상으로 실증연구를 추진한다. 


2021~2022년에 조성한 최고품질 벼 생산단지 19개소를 대상으로 각 개소마다 ‘디지털 영상 물꼬’ 장치를 설치해 영상분석을 통한 논물  수위 측정‧ 물높이 관리, 작물의 생육환경 진단, 탄소 배출량 측정‧분석 같은 논물 관리와 데이터 수집‧분석을 함께 진행한다. 


또한, 최고품질 벼 생산단지와 저탄소 시범사업 연계 자발적 온실가스 감축사업도 추진할 계획이다.


농촌진흥청 식량산업기술팀 정병우 팀장은 “이번 시범사업과 실증연구가 농경지 온실가스 저감 기술의 빠른 현장 보급을 위한 마중물이 되고, 저탄소 재배기술의 인지도 제고 및 자발적 참여가 이뤄질 수 있도록 관련 교육과 홍보에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정소영 기자 jsy1@kjtimes.com
Copyright @2010 KJtimes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창간 : 2010년 6월 21일] / (주)케이제이타임즈 / 등록번호 :아01339 / 등록일 : 2010년 9월3일 / 제호: kjtimes.com / 발행•편집인 : 신건용 / 주소 : 서울시 금천구 서부샛길 606 (구 가산동 543-1) 대성디폴리스 A동 2804호 / Tel)02-722-6616 / 발행일자 : 2010년 9월3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신건용 KJtimes의 콘텐츠(기사)는 지적재산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복사, 전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c) KJtime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