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생태 스토리

[영상] 서울 도봉구 한복판 국유지에 ‘개 사육장’ 불법점유 논란

제보자 A씨 “구청·동물복지팀·산림청·북한산관리 도봉소 간 관할 떠넘기기 급급” 분통

                                      [영상=정소영 기자]


[KJtimes=정소영 기자서울시 도봉구 방학동 소재 국립공원 관리구역에 한 노인이 10여 마리 개들의 사육장을 짓고 오랜 시간 동안 국유지를 불법 점거해 동네 주민들의 민원이 잇따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관계기관들이 서로 관할 떠넘기기로 일관하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도봉구 주민인 제보자 A씨는 국유지인 서울 도심 한복판 산책로에 불법점유하고 있는 개 사육장이 있다며 이곳은 도봉구 방학동 산 8X-X번지이며주택과 아파트단지 밀집지역 사이에 위치한 동네 산책로라고 전했다.


이어 대로변에서 불과 1~2분 거리이며하루에도 수백 명씩 이용하는 산책로로북한산둘레길과도 연결된 곳이라며 이곳은 산림청 산하 국유지임에도 불구하고산책로에 입구에 철조망과 불법 구조물이 방치돼 있고 눈살이 찌푸려질 정도로 처참한 상태의 강아지가 몇 마리 묶여있고쓰레기 난장판 속에 개 사육장까지 있다고 분통을 터뜨렸다.


그러면서 십수 년 혹은 수십 년간 이어져 왔을지도 모르는 이곳에 동네주민들이 오랜 기간 수많은 민원을 제기해 왔음에도 불구하고무법천지로 변해 갔다며 그 모습이 공포스러울 정도라고 토로했다.


◆ 불법 점유지에 번지수 걸어놓고본인의 사유재산인 것처럼 행사


A씨는 철조망 안으로 꼭꼭 숨겨진 곳이 개 사육장(개농장으로 의심일 거라곤 차마 상상조차 못 했다며 불법 점유한 곳에 버젓이 번지수를 걸어놓고우편물도 수령하고 있어서마치 본인의 사유재산인 것처럼 행사하고 있다고 일갈했다.


이어 오랜 기간 주민들이 그 피해를 떠안고 있으며수없는 민원과 항의에도 불구하고 아무런 처분 없이 방치되는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며 이곳을 불법 점유한 노인은 그곳에 거주하지도 않으며차량 진입로에 불법으로 사육장을 세우고 집과 이곳을 오가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해당 노인은 점유시효라는 말도 안 되는 주장을 하며국유지를 사유화할 생각까지 하는 듯하다며 “산림청에 확인한 결과 국유지 불법점유국립공원 관리구역으로 서울 주택가 도심 한복판에서 있을 수 있는 일인지 참담하다고 개탄했다.


끝으로 A씨는 구청과 동물복지팀산림청북한산관리 도봉소 소속 관계자들 모두 이곳을 다 알고 있는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십수 년 혹은 그 이상 지금까지 관할을 미루며 해결하지 않고 있다며 동네 주민들의 숙원이 풀리기를 간곡히 호소했다.










[코로나 라이프] 6월부터 확진자 격리 '권고' 전환 "코로나19 이젠 일상된다"
[KJtimes=김지아 기자] 이제 코로나19가 일상으로 전환된다. 6월부터 확진자 격리도 7일 격리에서 5일 권고로 바뀐다. "조속한 일상 회복"이 현실이 되는 셈이다. 코로나19 확진자에 대한 7일 격리 의무가 6월1일부터 5일 권고로 바뀐다. 동네의원과 약국 등에서도 마스크를 안써도 된다.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는 11일 윤석열 대통령 주재로 열린 회의에서 "오는 6월 1일을 기해 코로나19 위기경보 수준을 '심각'에서 '경계'로 하향한다"고 결정했다. 이날 윤 대통령은 모두발언에서 "코로나19 첫 발생 이후 3년 4개월 만에 국민께서 일상을 되찾으시게 돼서 기쁘게 생각한다"며 일상회복을 선언했다. 중대본에 따르면, 위기경보 하향에 맞춰 확진자에게 부과되던 7일간의 격리 의무를 5일 권고로 전환한다. 당초 격리 의무는 코로나19 감염병 등급이 2급에서 4급으로 낮아지는 일상회복 2단계 조정 때 해제할 예정이었지만 조속한 일상 회복을 위해 앞당겼다. ◆"그래도 아프면 쉬어야…"기관별 지침 마련 시행 격리 의무는 사라졌지만 코로나19 확진자가 몸이 아픈데도 억지로 출근하는 일은 없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정부는 '아프면 쉬는 문화 정착'을 위


[탄소중립+] 한국산업은행, 화석연료 산업 투자 '그린워싱' 논란…허울뿐인 '적도원칙' 가입
[KJtimes=정소영 기자] 전 세계가 탄소중립 실천을 통해 급변하는 기후 위기에 대응하고 있는 가운데 한국과 일본, 호주 금융기관들은 여전히 지구 온난화의 주요 원인인 화석연료 산업에 투자하고 있어 자금을 회수하라는 기후환경단체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한국과 일본, 호주의 주요 에너지 기업이 추진 중인 호주 바로사 가스전 개발 사업에 현지 인허가 이슈, 호주 국회의 신규 가스전 배출량 규제 강화 등 장애물이 잇따라 등장하며 난관이 해소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여기에 가스전 개발에 핵심이 되는 설비에서도 난항이 예상된다. 지난 18일 기후솔루션을 비롯한 8개 국제 기후환경단체는 이슈 브리프 '밑 빠진 독에 물 붓기'를 발간해 바로사 가스전 생산 설비인 부유식 원유 생산·저장·하역설비(이하 FPSO) 건조에 금융을 제공한 9개 금융기관을 공개하고, 해당 시설에 투자된 1조 3000억원 가량(11억 5000만달러)의 자금 마련에 참여한 금융기관들이 투자를 회수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브리프에 따르면, 이들 금융기관 대부분이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협의체를 가입한 것이 신규 가스전 개발에 어긋나며, 인허가 미취득인 현 상황에서 금융약정상 자금 회수가 가능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