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자산승계…롯데·두산 마무리 단계

재계 1․2위 삼성․현대車 20~30%대…태영그룹 99.3%로 가장 높아

 

[kjtimes=정소영 기자] 대기업 그룹 오너들의 고령화 흐름 속에 자녀에 대한 자산승계 흐름이 속도를 내고 있다. 롯데와 두산그룹은 자산승계율 90%를 넘어 완성단계에 접근했고, 한솔과 효성 등도 50%를 넘어 실질적인 세대교체가 이뤄진 것으로 보인다.


29일 기업경영 평가 사이트인 CEO스코어에 따르면 국내 62개 상호출자제한 기업집단 가운데 총수가 있는 43개 그룹을 조사한 결과 자녀에 대한 주식 자산 승계율이 평균 30% 수준인 것으로 집계됐다.


승계율이 가장 높은 곳은 태영그룹으로 99.3%에 달했다. 이어 웅진과 LS도 각각 96.7%와 94.5% 순으로 중견그룹의 자산승계율도 전반적으로 높았다.


5대그룹 중 자산승계율이 90%이상 넘은 곳은 롯데가 유일했다. 신격호 총괄회장은 2722억원의 총 주식자산을 보유한 반면, 롯데家의 차남인 신동빈 회장이 전 계열사의 지분을 보유하며 2조235억원의 자산을 확보했다.


이어 장남인 신동주 일본 롯데홀딩스 부회장은 1조856억원, 장녀 신영자 롯데쇼핑[023530] 사장 2천971억원, 차녀 신유미 롯데호텔 고문 164억원 등 2세들이 보유하고 있는 자산은 총 4조1935억원에 달해 자산승계율이 93.9%로 나타났다.


두산그룹은 박용곤 명예회장이 420억원의 자산을 갖고 있는데 반해 장남인 두산건설 박정원 회장부부가 2095억원, 차남 박지원 두산중공업 부회장부부 1395억원, 장녀 박혜원 두산매거진 전무 702억원 등 자녀의 자산이 박 명예회장보다 10배나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한솔(79.2%)과 효성(71.9%), 영풍(65.4%), 동부(62.1%), 한국타이어(56.2%) 등 5개 그룹은 자산승계율이 50%를 넘어서며 실질적인 세대교체가 이뤄진 것으로 풀이됐다.


재계 1위인 삼성그룹은 이건희 회장부부가 총 12조4262억원의 자산을 보유하고 있지만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과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 이서현 제일모직 부사장 등이 각각 2조5천474억원, 6천370억원, 4천883억원을 보유하며 총 3조6727억으로 집계돼 22.8%의 자산승계율을 보였다.


재계 2위 현대차그룹도 정몽구 회장이 6조5585억원의 자산을 갖고 있지만 아들 정의선 현대차 부회장은 3조503억원, 장녀 정성이 이노션 고문이 1179억원 등 자녀 부부가 가진 자산의 합은 총 3조3984억원으로 자산승계율 34.1%를 차지했다.


LG도 구자경 명예회장이 1100억원대, 아들 구본무 회장이 1조7935억원의 자산을 보유한 가운데 3세인 장남 구광모 LG전자 부장 이하 자손들이 총 6748억원을 확보해 37.4%의 자산승계율을 나타냈다.


한편, 자산승계가 아예 이뤄지지 않은 곳과 낮은 그룹도 많았다.


자산승계가 아예 이뤄지지 않은 곳은 SK와 현대중공업, STX, 코오롱, 현대산업개발, 교보생명보험, 한국투자금융, 이랜드 등이었다. 한라와 한진, 아모레퍼시픽, CJ, 부영 등은 0.3%~3%대로 자산승계율이 매우 낮았다.









[스페셜 인터뷰]‘소통 전도사’ 안만호 “공감하고 소통하라”
[KJtimes=견재수 기자]“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사회변화는 타인의 생각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능력을 자라지 못하게 방해하고 있다. 공감과 소통이 어려워진 것이다.(공감과 소통의) 의미가 사라지고 충동만 남게 됐다.” 한국청소년퍼실리테이터협회(KFA: Korea Facilitators Association)를 이끌고 있는 안만호 대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디지털 사회로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해 이 같이 진단했다. 또 이제 공감능력 없이는 생존하기 힘든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면서 비대면 사회에 대한 깊은 우려를 나타냈다. 소통 전문가로 통하는 안 대표는 “자신을 바라보고 다른 사람을 이해하며 공감하고 소통하는 방법이 필요한데 스마트폰이나 SNS, 유튜브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되면서 어느 순간 사회성은 경험의 산물이 아니라 지식의 산물이 되어 버렸다”며 “요즘 인간의 탈사회화가 진행되는 것에 비례해 인간성의 급격한 하락을 경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코로나 사태는 사회적 거리를 두더라도 우리가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개체가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는 관계이자 연대라는 점이 더욱 분명하게 밝혀졌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