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분류

500대 기업 등기이사 평균연봉 5억 이상 94명

[kjtimes=김봄내 기자] 국내 500대 기업중 등기이사 평균연봉이 5억원을 넘는 곳은 176개사, 공개 대상은 536명에 달할 것으로 조사됐다. 이 중 대주주 일가가 등기이사로 있는 기업은 절반인 96개사, 그 인원은 94명이다.

 

내년부터 연봉 5억이 넘는 등기이사의 보수공개가 의무화되면서 이들의 연봉도 주목받고 있다.

 

18일 기업경영성과 평가업체인 CEO스코어에 따르면 이달말부터 5억원 이상 등기이사의 개인별 보수를 공개하도록 한 자본시장법 개정안이 시행됨에 따라 비상장사를 포함해 국내 500대 기업의 등기이사 보수 현황을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500대 기업 가운데 총수가 있는 30대 그룹으로 범위를 좁히면 등기이사 평균연봉이 5억원 이상인 기업은 117개사이고 이중 대주주가 등기이사로 등재된 곳은 57.3%67개사, 인원은 61명이다.

 

삼성, 신세계 오너 일가는 대부분이 미등기 임원이어서 연봉 공개 대상이 아닌 반면 현대자동차, SK 등 대다수 그룹은 대주주가 등기이사를 맡고 있어 연봉이 공개될 전망이다.

 

삼성의 경우 연봉공개 대상이 될 수 있는 오너 일가는 이건희 회장의 장녀로 호텔신라 등기이사인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이 유일하다.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 아들인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차녀 이서현 제일모직 부사장과 사위 김재열 삼성엔지니어링 경영기획총괄 사장등 나머지 일가는 모두 미등기 임원이다.

 

신세계그룹 대주주 일가는 모두 미등기 임원으로 빠져 있다. 정용진 부회장은 지난 2월 계열사 등기이사직에서 물러났고, 이명희 회장, 정재은 그룹 명예회장, 딸 정유경 신세계 부사장 역시 미등기 임원이다.

 

연봉 공개대상이 등기이사로만 한정된 가운데 대주주들이 등기이사직을 사퇴하고 미등기 이사로 경영에 참여할 경우 연봉공개 제도의 실효성에 의문이 일 전망이다. 책임경영 차원에서 등기이사를 맡는 전문경영인들과의 형평성 문제도 제기될 수 있다.

 

실제 기업총수의 연봉 공개문제가 공론화된 이후 고액연봉으로 논란을 빚었던 오리온 담철곤 회장과 부인 이화경 부회장, 메리츠금융지주 조정호 전 회장 등이 등기이사직을 사퇴했다.

 

반면 현대자동차, SK, LG, 롯데, 한진, 한화 등은 모두 대주주가 등기이사를 맡고 있다.

 

현대차그룹 정몽구 회장은 현대차, 현대모비스, 현대제철, 현대건설 4개사, 아들 정의선 부회장은 현대차, 기아차, 현대제철 3개사, 사위 정태영 사장은 현대카드와 현대캐피탈 2개사, 조카 정일선 사장은 현대비앤지스틸, 사위 신성재 사장은 현대하이스코의 등기이사를 맡고 있다.

 

SK도 최태원 회장이 SK하이닉스. SK이노베이션. SKC&C 3개사, 동생 최재원 부회장이 SK네트웍스. SK이엔에스 2개사, 사촌인 최창원 SK케미칼 부회장이 SK가스. SK케미칼 2개사, 역시 사촌인 최신원 회장이 SKC의 등기이사를 맡고 있다.

 

LG는 구본무 회장이 LG, 구본준 부회장이 LG전자 등기이사로 등재돼 있다.

 

롯데는 신격호 총괄회장이 롯데쇼핑, 롯데제과, 호텔롯데 3개사, 차남 신동빈 회장이 롯데쇼핑, 롯데제과, 롯데케미칼 3개사, 장남 신동주 부회장이 호텔롯데, 장녀 신영자 롯데쇼핑 사장이 롯데쇼핑, 호텔롯데 2개사의 등기이사로 등재돼 있다.

 

현대중공업은 정몽준 의원의 사촌인 정몽혁 회장이 현대종합상사 등기이사로 등재돼 있다.

 

한진은 조양호 회장이 한진, 대한항공 2개사, 아들 조원태 부사장이 한진, 대한항공 2개사, 장녀 조현아 부사장이 대한항공, 제수씨 최은영 회장이 한진해운 등기이사로 등재돼 있다.

 

한화의 경우는 김승연 회장이 한화, 한화건설, 한화케미칼, 한화엘엔씨 4개사 등기이사를 맡고 있다.

 

GS는 허창수 회장이 GS, GS건설 2개사, 허동수 GS칼텍스 회장이 GS, GS칼텍스 2개사, 허진수 부회장이 GS칼텍스, 허명수 사장이 GS건설, 허태수 GS홈쇼핑 사장은 GS홈쇼핑과 GS리테일 2개사, 허승조 GS리테일 부회장도 GS홈쇼핑과 GS리테일 2개사 등기이사로 올라 있다. 반면 허연수 GS리테일 사장은 등기임원이 아니어서 연봉공개 대상에서 제외됐다.

 

두산은 박용만 회장이 두산, 박용곤 전 회장의 장남인 박정원 두산건설 회장이 두산, 차남인 박지원 부회장이 두산중공업 등기이사로 등재돼 있다. 반면 박용곤 명예회장은 두산, 박용성 두산중공업 회장은 두산, 두산중공업, 두산인프라코어 3개사의 미등기 임원으로 경영에 참여하고 있다.

 

이밖에 총수가 있는 나머지 20대 그룹중 효성 조석래 회장의 3남인 조현상 효성 부사장, 영풍그룹의 최창영 고려아연 명예회장, KCC 정상영 명예회장등 3명을 제외하고는 대주주 일가가 모두 등기이사로 등재돼 있어 보수가 공개될 전망이다.

 

부영, 한진중공업, 미래에셋, 대성은 등기임원 평균 연봉이 5억원을 넘는 500대 기업 계열사가 없거나 대주주가 등기이사로 올라있지 않다.

 

  









[스페셜 인터뷰]‘소통 전도사’ 안만호 “공감하고 소통하라”
[KJtimes=견재수 기자]“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사회변화는 타인의 생각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능력을 자라지 못하게 방해하고 있다. 공감과 소통이 어려워진 것이다.(공감과 소통의) 의미가 사라지고 충동만 남게 됐다.” 한국청소년퍼실리테이터협회(KFA: Korea Facilitators Association)를 이끌고 있는 안만호 대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디지털 사회로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해 이 같이 진단했다. 또 이제 공감능력 없이는 생존하기 힘든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면서 비대면 사회에 대한 깊은 우려를 나타냈다. 소통 전문가로 통하는 안 대표는 “자신을 바라보고 다른 사람을 이해하며 공감하고 소통하는 방법이 필요한데 스마트폰이나 SNS, 유튜브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되면서 어느 순간 사회성은 경험의 산물이 아니라 지식의 산물이 되어 버렸다”며 “요즘 인간의 탈사회화가 진행되는 것에 비례해 인간성의 급격한 하락을 경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코로나 사태는 사회적 거리를 두더라도 우리가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개체가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는 관계이자 연대라는 점이 더욱 분명하게 밝혀졌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