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 경제가 동일본대지진 이후 극심한 소비부진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있다.
대지진과 쓰나미, 후쿠시마(福島) 제1원자력발전소 사고에 따른 직접적인 산업 피해도 크지만 위축된 소비는 일본 경제에 설상가상의 타격이 되고 있다.
일본의 소비는 봄철에 왕성하다. 벚꽃놀이를 시작으로 관광철에 진입하면서 소비가 급격하게 늘어난다.
하지만 올해는 분위기가 사뭇 다르다. 도쿄의 경우 다음주 벚꽃이 절정을 이룰 것으로 예상되지만 예년의 흥청망청 분위기는 기대할 수 없게 됐다. 자숙 분위기가 사람들의 마음을 지배하고 있기 때문이다.
일본의 4, 5월 관광산업을 떠받쳐주던 외국인 관광객의 발길도 뜸할 것으로 예상된다. 후쿠시마 원전의 방사성 물질 유출이 결정타가 되고 있다.
도쿄 등 지방자치단체의 자숙 캠페인도 상황을 악화시키고 있다. 도쿄도는 벚꽃놀이의 명소인 우에노(上野)공원 등 공원구내에서의 벚꽃놀이를 자제해 줄 것을 시민들에게 당부했다. 쓰레기의 양산을 막고 전기도 절약해야 한다는 이유에서다.
우에노공원의 벚꽃놀이에는 예년의 경우 150만명이 몰렸다. 도쿄도는 100만명 이상이 구경하는 여름철 도쿄만 불꽃놀이 축제도 취소했다. 150만명의 인파가 몰리는 아사쿠사신사의 축제도 열지않기로 했다. 이 축제가 중단된 것은 2차 세계대전이후 처음이다.
이시하라 신타로(石原愼太郞) 지사는 "마시고 놀 상황이 아니다. 도쿄에서는 벚꽃놀이를 하지않았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하지만 정부는 이에대해 불만이 크다. 수도인 도쿄가 벚꽃놀이를 자제하면 전국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렌호(蓮舫) 절전담당상은 "권력으로 자유로운 행동과 사회활동을 제한하는 것은 최소한에 그쳐야 한다"고 이시하라 지사에게 반론을 폈다.
경제평론가인 야마자키 하지메는 "벚꽃놀이 자제령은 지나치다"면서 "벚꽃놀이와 연회의 자제는 경제활동을 정체시켜 행정의 역효과를 낼 것이다"고 우려했다.
다이이치(第一)생명경제연구소는 동일본 대지진에 따른 소비감소액이 3조엔(약 40조원)을 넘어 본격 회복에는 2년 이상이 걸릴 것으로 전망했다.
연합뉴스
kjtimes日本語ニュースチーム/news@kj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