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J 핫클릭

명절증후군 극복하는 ‘힐링 푸드’ 제안

[KJtimes=김봄내 기자]민족 최대의 명절 추석이 끝났다. 유난히 길었던 명절 연휴의 여파로, ‘명절증후군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크게 늘어났다.

 

실제 작년 추석을 앞두고 서울의 한 병원(비에비스 나무병원)2060대 남녀 41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조사대상자의 62%가 명절증후군을 겪은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이 중 32%가 소화불량, 변비 등의 소화기 증상을 꼽았으며 근육·관절통(25%), 우울증·짜증·무기력(23%), 두통(13%)이 뒤를 이었다. 과식, 명절 스트레스, 장거리 운전 등으로 인해 명절 후 일상으로 돌아와 신체적, 정신적 이상 증상을 겪고 있는 것이다.

 

이에 명절증후군 극복에 도움을 줄 수 있을만한 식음료업계에서의 힐링 푸드제품이 눈길을 끌고 있다. 비타민이 풍부해 피로 회복을 돕는 간편 과일 제품부터 불어난 체중 관리를 돕는 식사대용 제품까지 명절증후군을 떨쳐 내기 위한 다양한 식음료 제품들을 소개한다.

 

명절 후 피로 회복, 카페인보다는 비타민으로 건강하게

명절 이후 쌓인 피로를 해결하고자 에너지 드링크 등 카페인 음료를 찾는 이들이 많다. 카페인에 의존하게 되면 두통 및 불면증 등으로 다시 피로가 쌓이는 악순환을 반복할 수 있어, 비타민을 함유한 식품 등 건강한 피로회복 제품을 대체로 섭취해주는 것이 좋다.

 

100년 역사의 세계적인 청과브랜드 돌(Dole)이 출시한 '후룻볼 파인애플 스틱'은 엄격한 기준으로 고른 스위티오 파인애플과 과일주스를 한 번에 즐길 수 있는 제품이다. 일반 파인애플보다 비타민 C가 두 배 가량 많은 스위티오 파인애플을 담아 피로회복에 도움이 될 수 있다. 한 손 크기의 작은 사이즈에 포크가 함께 들어있어 피로할 때 어디서든 간편하게 과일을 섭취할 수 있는 제품이다.

 

롯데칠성음료가 출시한 데일리C 청포도워터는 비타민C가 하루 권장량 100mg10배 분량인 1000mg이 들어있는 것이 특징으로, 명절증후군으로 인한 피로를 해소하는데 적합하다. 500ml용량의 페트에 담겨 언제 어디서나 섭취할 수 있다.

 

과식으로 인한 변비에는 식이섬유 음료가 도움될 수 있어

식이섬유는 채소나 과일에 많이 들어있는 섬유질로, 섭취 시 배변활동을 원활하게 해 음식물이 장에 머무는 시간을 줄여준다. 연휴 기간 동안에 스트레스로 인한 소화불량과 기름진 음식을 많이 먹어 배변활동이 원활하지 않다면 식이섬유가 풍부한 음료의 도움을 받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현대약품의 '미에로화이바'는 평소 부족하기 쉬운 식이섬유를 음료 한 병으로 섭취할 수 있게 한 제품이다. 낮은 칼로리와 특유의 깔끔한 맛으로 인해 기름진 음식 섭취에 따른 명절증후군 극복에 적합하다.

 

롯데칠성음료가 선보인 잘빠진 하루 초가을 우엉차100% 국산 우엉을 통째로 우려내 특유의 깊고 구수한 맛을 느낄 수 있는 제품으로, 섬유질이 풍부한 우엉의 장점 그대로 식이섬유를 함유한 차음료로 명절 후 변비 해소에 효과를 줄 수 있다.

저칼로리 식사 대용 제품으로 명절 동안 늘어난 체중 걱정 해결!

 

명절 후 급격히 불어난 체중을 보며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면, 섭취 칼로리 조절을 통해 단기간에 해결하는 것이 좋다. 스스로 칼로리를 조절하는 것이 어렵다면 저칼로리 식사 대용식의 도움을 받는 것도 한 방법이다.

 

켈로그의 '스페셜K 레드베리'는 영양이 풍부한 오곡 푸레이크에 동결 건조 딸기가 풍부하게 들어 있는 제품으로, 한 끼(1회 분 40g)당 열량이 144kcal로 스페셜K 제품 중 칼로리가 가장 낮다. 1회 분 당 하루에 필요한 섭취량의 단백질 11%, 9가지 비타민이 25% 등을 영양소도 풍부해 명절 후 불어난 체중이 걱정인 이들에게 적합한 제품이다.

 

정식품의 '베지밀 하루건강 칼로리 컷 두유'는 칼로리를 기존 자사 두유 대비 약 40% 낮춰 한 팩(190ml)75kcal 밖에 되지 않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렌틸콩, 퀴노아 등을 함유해 단백질과 식이섬유의 포만감까지 누릴 수 있어 명절 동안 늘어난 체중 걱정 해소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명절증후군 극복, 또 무엇이 중요할까?

 

연휴 동안 수면패턴 등 생체리듬이 깨진 이들이 많다. 명절증후군을 효과적으로 극복하려면 흐트러졌던 생체리듬을 되돌리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잠드는 시간과 일어나는 시간을 매일 일정하게 정하고, 하루 수면시간은 6~8시간 정도를 확보하는 것이 좋다. 잠자기 30분전, 우유를 따뜻하게 데워 먹는 것도 깊은 수면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직장에서, 학교에서 등 일상 속에서 자주 스트레칭을 해주는 것도 좋다. 깍지 낀 손을 머리 뒤로 놓고 앞쪽으로 눌러 턱이 가슴에 닿게 한다. 이 동작을 15~20초간 유지하고, 5회 정도 반복해주면 혈액순환 및 근육이완에도 도움이 되어 목, 어깨 통증 해소에 효과를 줄 수 있다.









[스페셜 인터뷰]‘소통 전도사’ 안만호 “공감하고 소통하라”
[KJtimes=견재수 기자]“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사회변화는 타인의 생각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능력을 자라지 못하게 방해하고 있다. 공감과 소통이 어려워진 것이다.(공감과 소통의) 의미가 사라지고 충동만 남게 됐다.” 한국청소년퍼실리테이터협회(KFA: Korea Facilitators Association)를 이끌고 있는 안만호 대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디지털 사회로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해 이 같이 진단했다. 또 이제 공감능력 없이는 생존하기 힘든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면서 비대면 사회에 대한 깊은 우려를 나타냈다. 소통 전문가로 통하는 안 대표는 “자신을 바라보고 다른 사람을 이해하며 공감하고 소통하는 방법이 필요한데 스마트폰이나 SNS, 유튜브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되면서 어느 순간 사회성은 경험의 산물이 아니라 지식의 산물이 되어 버렸다”며 “요즘 인간의 탈사회화가 진행되는 것에 비례해 인간성의 급격한 하락을 경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코로나 사태는 사회적 거리를 두더라도 우리가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개체가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는 관계이자 연대라는 점이 더욱 분명하게 밝혀졌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