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J 핫클릭

스타벅스, 제주 매장서 한라봉 그린 티 셔벗 등 지역 특산물 제품 판매

[KJtimes=김봄내 기자]스타벅스커피 코리아가 대표적인 관광지인 제주도의 특색을 반영해 지역 특산물로 개발한 전용 음료와 푸드 총 9종을 제주 지역 15개 매장에서 선보인다.

 

(* 제주지역 15개 매장 : 제주용담DT, 제주칠성점, 제주노형점, 제주중문DT, 서귀포DT, 제주중문점, 성산일출봉점, 신제주점, 신제주이마트점, 제주서귀포점, 제주송악산점, 제주애월DT, 제주노형공원점, 제주에듀시티점, 제주칠성점)

 

710월부터 새롭게 출시한 제주 전용 음료는 <제주 한라봉 그린 티 셔벗>, <제주 여름 레모네이드>, <제주 말차샷 라떼>, <제주 호지샷 라떼>, <제주 말차샷 크림 프라푸치노>, <제주 호지샷 크림 프라푸치노> 등 총 6종이다.

 

제주 전용 푸드는 718일 출시 예정으로 <제주 감귤 치즈 케이크>, <당근 현무암 케이크>, <한라봉 오름 데니쉬> 3종이다.

 

제주 전용 음료와 푸드는 제주 지역에서만 경험할 수 있는 특산물에 대한 고객 의견과 선호도 분석을 바탕으로 개발을 시작하게 되었다. 제주 푸드의 경우 컨셉을 정하기 위해 올해 4월에 진행한 마이 스타벅스 리뷰 및 파트너 설문에 대한 빅 데이터 분석과 현지 시장 조사를 진행했다.

 

이를 통해 고객들이 선호하는 제주 식자재인 감귤, 한라봉, 말차, 호지차, 당근과 지역 특색 이미지인 한라산, 현무암 등의 키워드를 뽑아내 상품 개발에 접목시킬 수 있었다. 또한, 선정된 제주도 대표 특산물을 활용해 제주의 자연 환경과 이미지에 어울리는 색상과 시각적 특징을 만들어내고 제품명에 반영했다.

 

<제주 한라봉 그린 티 셔벗>은 한라봉청과 제주 감귤칩, 제주 말차 파우더를 이용해 한 여름의 한라산을 표현했으며, <제주 여름 레모네이드>는 한라봉청과 제주 감귤칩에 라임과 애플민트 등이 어우러진 칵테일 컨셉의 음료로 해질녘 제주의 풍경과 어울리는 이미지를 시각적을 연출했다.

 

제주 음료를 아이스로 주문해 매장에서 마실 경우 제주 음료가 돋보일 수 있는 전용 잔에 담아 제공하며, <제주 한라봉 그린 티 셔벗><제주 여름 레모네이드> 음료 주문 시에는 음료와 함께 사진 연출을 할 수 있는 포토 프레임 카드를 제공하는 이벤트를 오는 12일부터 소진 시까지 진행한다.

 

향후 스타벅스는 제주도를 방문하는 관광객의 선호도와 의견을 고려하면서 지역사회 경제 활성화를 위한 상생 활동으로 제주 지역 특색을 담은 전용 메뉴를 지속 개발해 나갈 예정이다.

 

스타벅스는 지난 20167월부터 제주 한라봉 그린 티 라떼, 제주 한라봉 그린 티 레모네이드를 시작으로 201612월에는 제주 꿀 땅콩 라떼, 제주 영귤 그린 티 등 제주 지역의 특산물을 활용한 음료를 한시적으로 소개한 바 있으며, 제주 지역 매장에서 카페 아메리카노와 카페 라떼 다음으로 인기 있는 음료로 호응을 받았다.

 

뿐만 아니라, 2016년에는 국내에서 자체 개발한 음료인 문경 오미자 피지오를 출시해 농림축산식품부가 선정한 이달의 농식품 상생협력 우수사례로 소개되었으며, 올해 4월에는 문경 오미자에 이는 지역 특산물 음료인 광양 황매실 피지오를 출시한 바 있다.

 

또한, 제주 유기 녹차, 제주 호지 티 라떼, 라이스 칩, 옥고감, 블랙빈 라이스 바, 우리 미 감자팝 등 국내산 원재료를 활용한 한국인의 입맛에 맞는 음료 및 푸드 또한 꾸준히 소개하며 지역농가와의 상생경영을 위해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스타벅스커피 코리아 박현숙 카테고리 음료팀장은 스타벅스는 국산 원재료를 활용하여 한국적 특색을 살린 제품을 고객에게 소개하고, 우리 농가와 동반 성장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다, “오직 제주도 스타벅스 매장에서만 만날 수 있는 다양한 제품을 통해 제주도만의 색깔을 경험 하시기 바란다고 전했다.

 

 

 









[스페셜 인터뷰]‘소통 전도사’ 안만호 “공감하고 소통하라”
[KJtimes=견재수 기자]“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사회변화는 타인의 생각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능력을 자라지 못하게 방해하고 있다. 공감과 소통이 어려워진 것이다.(공감과 소통의) 의미가 사라지고 충동만 남게 됐다.” 한국청소년퍼실리테이터협회(KFA: Korea Facilitators Association)를 이끌고 있는 안만호 대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디지털 사회로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해 이 같이 진단했다. 또 이제 공감능력 없이는 생존하기 힘든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면서 비대면 사회에 대한 깊은 우려를 나타냈다. 소통 전문가로 통하는 안 대표는 “자신을 바라보고 다른 사람을 이해하며 공감하고 소통하는 방법이 필요한데 스마트폰이나 SNS, 유튜브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되면서 어느 순간 사회성은 경험의 산물이 아니라 지식의 산물이 되어 버렸다”며 “요즘 인간의 탈사회화가 진행되는 것에 비례해 인간성의 급격한 하락을 경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코로나 사태는 사회적 거리를 두더라도 우리가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개체가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는 관계이자 연대라는 점이 더욱 분명하게 밝혀졌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