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J 핫클릭

푸마, 2017 AW ‘리한나 컬렉션’ 선보여

[KJtimes=김봄내 기자]푸마가 2017 가을겨울 시즌 푸마 바이 리한나 컬렉션(FENTY Puma by Rihanna, 이하 리한나 컬렉션’)’28일 공개한다.

 

'펜티 유니버시티(FENTY University)'라는 독특한 콘셉트로 선보이는 이번 컬렉션은 미국 학생들의 전통적인 컬리지 룩을 푸마의 크리에이티브 디렉터인 리한나가 현대적인 스트리트 패션으로 재해석한 것이다. 리한나는 미국 전반에서 볼 수 있는 유스 컬쳐를 자신만의 발칙한 아이디어를 통해 프레피너드스케이터고스 룩 등으로 독특하게 표현했다.

 

또한, 리한나와 푸마를 상징하는 디테일들을 제품 곳곳에 넣어 상징성을 더했다. 리한나의 행운의 숫자인 13을 포함하여 출생년도 1988을 표현하는 배지, 펜티X푸마 피어싱 지퍼 등으로 포인트를 주었다.

 

이번 컬렉션은 어패럴 및 스니커즈 라인으로 구성 됐다. 어패럴 라인의 주요 제품으로 아이비리그 스타일의 스포츠 패션과 기능성이 더해져 세련된 멋을 자랑하는 블록드 트랙 재킷크루넥 풀오버 티셔츠등이 출시되며, 스니커즈는 크리퍼 라인의 앵글 스트랩 스니커즈가 있다.

 

명문 사립학교 스타일의 프레피 룩(Preppy Look)블록드 트랙 재킷은 애슬레저부터 스트리트 패션까지 다방면으로 스타일링이 가능하다. 피케 소재를 적용해 입체감을 더하고 컬러 블록으로 스포티함과 경쾌함을 살렸다. 또한, 왼쪽 상단의 푸마 패치는 물론 어깨부터 소매까지 리한나의 출생 년도인 ‘1988’ 프린트가 각인돼 상징성도 크다. ‘크루넥 풀오버 티셔츠는 오버사이즈 핏과 가슴 부분에 삽입된 리한나의 ‘FENTY’ 로고가 눈에 띄는 맨투맨 티셔츠로, 거칠고 반항적인 느낌의 스트리트 감성을 재해석했다.

 

스니커즈 라인의 앵글 스트랩 스니커즈는 리한나의 독보적인 시그니처 아이템인 푸마 크리퍼(PUMA CREEPER)’ 시리즈의 최신 버전이다. 리한나의 아이디어로 푸마 로고가 각인된 앵클 스트랩은 유니크한 디자인답게 보는 이들의 시선을 단번에 사로 잡는다. 스니커즈의 갑피에는 부드러운 촉감을 자랑하는 천연 가죽을, 밑창에는 고무를 적용해 착화감 또한 뛰어나다.

 








[공유경제 위기와 도전]中 자전거 공유 스타트업 ‘헬로’…자국 시장 공략 집중 성장 발판
[KJtimes=김승훈 기자]중국 공유 자전거 업체 헬로추싱이 미국 증시 상장까지 추진하고 있을 정도로 급부상하고 있다. 중국 매체에 따르면 헬로추싱은 최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기업공개(IPO) 신청서를 냈다. 올해 2분기 상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 지난 2016년 상하이에서 ‘헬로바이크’란 공유 자전거 서비스로 출발한 헬로추싱은 현재 대표인 양레이가 28세에 공동 창업했으며 일정 금액을 내면 자신이 원하는 만큼 자전거를 대여해 운용하는 서비스를 하고 있다. 특히 중국의 전자결제 서비스인 알리페이와 협업한 헬로추싱은 알리페이와 연동돼 있어 회원가입 없이 스캔 한 번만으로 바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 덕분에 현지에서 많이 이용하고 있다. 헬로추싱은 2018년 중국 자전거 공유업체 1·2위 업체였던 오포와 모바이크가 추가 투자 유치 실패와 중국 정부의 공유 자전거의 수량 제한 등의 이유로 경영난을 겪을 때 알리바바에서 투자를 받으며 급성장했다. 오포가 전 세계로 눈을 돌리며 사업을 확장할 때 헬로추싱은 자국 시장 공략에 집중한 덕분도 있다. 당시 헬로추싱의 기업 가치는 1조6500억원에 달한 것으로 전해졌다. 현재 중국의 400개 이상 도시에서 운영되

[스페셜 인터뷰]‘소통 전도사’ 안만호 “공감하고 소통하라”
[KJtimes=견재수 기자]“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사회변화는 타인의 생각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능력을 자라지 못하게 방해하고 있다. 공감과 소통이 어려워진 것이다.(공감과 소통의) 의미가 사라지고 충동만 남게 됐다.” 한국청소년퍼실리테이터협회(KFA: Korea Facilitators Association)를 이끌고 있는 안만호 대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디지털 사회로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해 이 같이 진단했다. 또 이제 공감능력 없이는 생존하기 힘든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면서 비대면 사회에 대한 깊은 우려를 나타냈다. 소통 전문가로 통하는 안 대표는 “자신을 바라보고 다른 사람을 이해하며 공감하고 소통하는 방법이 필요한데 스마트폰이나 SNS, 유튜브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되면서 어느 순간 사회성은 경험의 산물이 아니라 지식의 산물이 되어 버렸다”며 “요즘 인간의 탈사회화가 진행되는 것에 비례해 인간성의 급격한 하락을 경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코로나 사태는 사회적 거리를 두더라도 우리가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개체가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는 관계이자 연대라는 점이 더욱 분명하게 밝혀졌다”면

국제약품, ‘불법리베이트’ 남태훈 대표 재선임⋯ “전과자 대표” 오명
[kjtimes=견재수 기자] 국제약품이 창업주 손자인 남태훈 대표를 재선임하면서 전과자 대표가 이끄는 기업이라는 따가운 눈총을 받고 있다. 남 대표는 불법리베이트 제공 혐의가 인정돼 지난해 5월 징역1년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받았다. 국제약품은 올해 미국 FDA 등재를 마친 ‘메디스틱 플러스’의 해외시장 확대 전략을 계획 중이다. 하지만 미국을 포함한 여러 선진국들이 기업 윤리를 중시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오너가 전과자라는 리스크와 비윤리 기업이라는 이중고는 불가피해 보인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공정거래위원회(위원장 조성욱)는지난달 26일 국제약품이 자사 의약품 판매 촉진을 목적으로 병‧의원에 불법리베이트를 제공한 혐의로 과징금 2억5200만원을 부과하고 시정명령을 내렸다. 공정위에 따르면 국제약품은 지난 2008년부터 2017년까지 전국 73개 병‧의원 관계자 80명에게 17억6000만원의 리베이트를 제공한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리베이트 제공을 위해 대표이사 결재까지 받는 등 회사의 조직적인 움직임까지 있었다. 국제약품은 각 병‧의원들의 처방 실적을 기준으로 판매액 중 일정 비율을 지원금으로 지급하는 방식과 매월 처방 실적을 기준으로 판매액의

나문희, 윤여정, 강부자···MZ세대까지 사로잡아 유통업계 다시 부는 ‘시니어 모델’ 열풍
[KJtimes=김봄내 기자]최근 유통업계에서 시니어 모델 열풍이 불고 있다. MZ세대를 타깃으로 한 브랜드들이 발상의 전환으로 시니어 모델을 기용, 좋은 반응을 얻고 있는 것이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CJ제일제당과 OB맥주, 지그재그 등 주요 유통·식음료 기업들은 최근 시니어 모델을 기용한 광고로 MZ세대들로부터 화제의 중심이 되고 있다. CJ제일제당은 MZ세대 대표 간편식인 햇반컵반의 새 모델로 배우 나문희를 발탁하고 탐정이 된 나문희가 햇반컵반을 둘러싸고 벌어지는 사건을 해결해나가는 추리형 콘텐츠 '명탐정 컵반즈'를 선보였다. 1020 여성 쇼핑플랫폼 지그재그는 한예슬의 후속 모델로 윤여정을 모델로 발탁하며 화제를 모았다. 지난 12일 공개한 티저 영상 속 윤여정이 '근데 나한테 이런 역할이 들어왔다. 젊고 이쁜 애들도 많은데. 근데 잘못 들어온거 아니니?'라고 말하는 모습이 공개되며 소비자 이목을 사로잡았다. 어린 여성들이 쓰는 쇼핑 앱도 나이 많은 사람이 연령에 구애받지 않고 광고할 수 있음을 보여주며 기존의 모델 공식을 깨뜨린 것. 뒤이어 공개된 광고 본편 영상에서는 '옷 입는데 남 눈치 볼 거 뭐 있니? 네 맘대로 사세요'라고 시원하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