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스토리

신한카드, 2019년에는 '조각 소비'가 뜬다

[KJtimes=김승훈 기자]신한카드(사장 임영진)2019년 국내소비 트렌드 키워드로 ‘DETAIL(디테일)’16일 제시했다.

 

세부적으로 개인 생산판매 시대(D)’부터 조각 소비(E)’, ‘집안소비 다양화(T)’, ‘신선함이 우선(A)’, ‘새내기 20(I)’, ‘취미의 전문화(L)’에 이르는 소비현상이 점차 확산될 것으로 전망했다.

 

신한카드 빅데이터 연구소는 생산판매소비 등 각 경제 영역에서 개인의 역할이 점차 강화되고, 소비자의 니즈가 초세분화 되면서 2019년 한 해 동안 미세한 차이(디테일)’가 소비를 결정하는데 더욱 중요한 요소로 자리잡을 것으로 예측했다.

 

[ D : 개인의 생산판매 시대 ]

 

가장 먼저, 유튜브 SNS 1위 급부상, MCN(Multi-Channel Network, 개인 콘텐츠 생산 지원 및 광고주를 연결하는 사업자) 등장으로 1인 방송사업자와 중소형 온라인 사업가가 부상하는 것에 주목했다.

 

이로 인해 온라인 플랫폼을 매개로 개인이 생산판매 영역에서 주도권을 강화하여 새로운 소비 생태계 형성이 가속화 되는 이른바 개인의 생산판매 시대(Democratization of producing & selling)’가 활성화 될 것으로 내다봤다.

 

[ E : 조각 소비 ]

 

신한카드는 기존의 정형화된 시간공간용량 단위에 얽매이지 않고, 자신의 라이프 스타일에 맞추어 필요한 만큼만 주도적으로 구매하는 이른바 조각 소비(Eatable piece of consumption)’ 현상에도 주목했다.

 

신한카드가 자사 고객의 2016년과 2018년 각 3분기의 평일 11시부터 14시까지 주요 업종의 이용건수 비중을 분석한 결과, 점심 시간동안 요식외에 백화점볼링장실내골프장 등 다양한 영역에서 여가 소비 활동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백화점옷구매신발구매 등 쇼핑 영역에서는 4050세대가, 실내골프장볼링장 등 여가 영역에서는 2030세대 이용이 상대적으로 활발했다.

 

이외에도, 모바일 단기 학습영어 활성화, 병술에서 잔술로일단위에서 분단위 렌트로 변화, 클립 영상 선호 등 소비의 양을 조각화하는 현상이 증가할 것으로 예측했다.

 

[ T : 집안 소비 다양화 ]

 

한편, 가정에 대한 중요성 인식이 높아지면서 외부에서 진행되던 활동들이 집안으로 들어오는 집안 소비 다양화(To-home sourcing)’ 현상이 생겨나고, 여가 시간 증대에 따른 집안 체류 시간으로 이러한 경향이 더욱 활성활 될것으로 전망했다.

 

가정 간편식 시장은 가파른 성장세 속에 이미 약 3조원 규모의 거대 시장으로 자리잡았으며, 트레이너 등 전문 강사의 방문 학습, 홈파티 등의 다양한 홈 서비스 이용 현상이 늘어나고 있다.

 

신한카드가 2017년과 2018년의 각 11일부터 1028일까지 연관 키워드 언급량 변화를 분석해 본 결과, 홈트레이닝은 무려 213% 증가했으며, 홈캉스 160%, 홈카페 53%, 홈요가 43%, 홈쿡 19%, 홈술홈바 13%, 홈베이킹 12%, 홈스쿨 7% 순으로 증가했다.

 

[ A : 신선함이 우선 ]

 

다음으로, 친환경과 건강한 삶에 대한 관심이 증가한 가운데 신선한 식재료나 공간에 대해 프리미엄 가치를 부여하고 거리낌없이 지갑을 여는 신선함이 우선(Attention to fresh premium)’ 소비 문화도 강화될 것으로 내다봤다.

 

홈쇼핑백화점 관련 주요 매장의 공기청정기의류 건조기 등 환경가전 구매액 변화를 분석해 본 결과, 신한카드 이용액 기준 2016년 상반기에 약 15억에서 2018년 상반기에 88억으로 연평균 146%의 성장율을 기록했다.

 

특히, 인스타 그램 등 모바일 SNS 문화는 신선함이 주는 미적 가치를 더욱 높여주면서 최근 샐러드 전문점, 플라워 카페 등이 인기를 끄는 원동력이 되고 있다.

 

[ I : 새내기 20]

 

신한카드는 Z세대(`95~’05년생) 중 사회 생활을 본격적으로 시작하는 디지털 네이티브(Digital native)로 새로운 소비문화를 여는 새내기 20(Initiator of new trend)’도 주목했다.

 

소비 절대 규모는 크지 않으나, 외식편의점온라인 쇼핑문화 예술 공연대중 교통 이용 등에 있어 과거 대비 인당 소비 증가가 가장 높다.

 

특히, 한복LP 등 전통 골목 상권을 이용하거나, 다이소삐에로 쇼핑 등 개성있고 독특한 아이템을 소비하며, 공정무역 카페이용 등 공동체 가치 구현을 위한 사회적 소비 문화를 열어가고 있다.

 

[ L : 전문화되는 취미생활 ]

 

마지막으로, ‘전문화되는 취미 생활(Leap to expert hobby)’ , 취미가 밥 먹여주는 시대가 확산될 것으로 전망했다.

 

가죽 공방캘리그라피제빵바리스타 등의 전문기술 학원수강부터 피규어 직구서핑샵 이용 등의 전문 취미 용품에 대한 소비가 증가하고 있으며, 취미 수집용 아이템 거래 장터나 취미를 수입으로 연결하는 온라인 플랫폼 등 재능거래 마켓 영역도 등장했다.

 

주요 바리스타 학원의 신한카드 이용액 기준 2016년 상반기 6.8억에서 2018년 상반기 8.2억으로 연평균 10% 상승했으며, 커피물품 전문몰 이용액의 경우 2016년 상반기 24.2억에서 2018년 상반기 27.4억으로 연평균 6% 증가했다.

 

주요 재능마켓 플랫폼의 성장도 신한카드 이용액 기준 2016년 상반기 3.4억에서 2018년 상반기 15.2억으로 연평균 113% 성장했다.

 

신한카드 마켓센싱셀 남궁설 셀장은 개인의 역할과 다양성이 점차 부각되면서 소비를 좌우하는 섬세함(디테일)’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면서, “신한카드는 진화하는 소비 트렌드에 발맞춰 새로운 소비영역을 지속 발굴하고, 시장 니즈에 부합하는 고도화된 라이프스타일 서비스를 확대해 나갈 것이다고 밝혔다.

 









[스페셜 인터뷰]‘소통 전도사’ 안만호 “공감하고 소통하라”
[KJtimes=견재수 기자]“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사회변화는 타인의 생각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능력을 자라지 못하게 방해하고 있다. 공감과 소통이 어려워진 것이다.(공감과 소통의) 의미가 사라지고 충동만 남게 됐다.” 한국청소년퍼실리테이터협회(KFA: Korea Facilitators Association)를 이끌고 있는 안만호 대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디지털 사회로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해 이 같이 진단했다. 또 이제 공감능력 없이는 생존하기 힘든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면서 비대면 사회에 대한 깊은 우려를 나타냈다. 소통 전문가로 통하는 안 대표는 “자신을 바라보고 다른 사람을 이해하며 공감하고 소통하는 방법이 필요한데 스마트폰이나 SNS, 유튜브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되면서 어느 순간 사회성은 경험의 산물이 아니라 지식의 산물이 되어 버렸다”며 “요즘 인간의 탈사회화가 진행되는 것에 비례해 인간성의 급격한 하락을 경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코로나 사태는 사회적 거리를 두더라도 우리가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개체가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는 관계이자 연대라는 점이 더욱 분명하게 밝혀졌다”면

[단독]보니코리아 아웃라스트 사태 그 후'… 혜성처럼 나타난 ‘돗투돗‧(주)태린
[kjtimes=견재수 기자]지난 2017년 6월 ‘보니코리아 아웃라스트 사태(보니 사태)’ 이후 유아용품업계는 거대한 폭풍이 휩쓸고 간 듯했다. 베이비페어가 열릴 때마다 발 디들 틈조차 없었던 행사장의 모습을 언제 다시 볼 수 있을지 요원한 일이었다. 보니 사태가 유아용품업계에 준 영향력이 그만큼 컸다는 얘기가 여기저기서 나왔다. 특히 홍성우 보니코리아 전 대표의 환불 약속이 지켜지지 않은 것을 두고 유아용품업계 전반에 걸쳐 신뢰도를 추락시킨 사건이라는 지적도 많았다. 취재 과정에서 만난 한 소비자는 “당시 인기가 많았던 회사가 그런 식으로 대처하니 엄마들 사이에서는 아기 제품을 파는 다른 회사까지 불신하는 분위기가 확산된 것 같다”고 말했다. 유아용품업계 한 관계자도 “최근 5년간 베이비페어 분위기는 보니 사태 전과 후로 구분된다”면서, “보니 사태 전까지 베이비페어에 고객들이 북적거렸는데, 아웃라스트 문제가 터진 후 유아용품 행사에 대한 관심도 떨어지고 전반적으로 침체된 것 같다”고 전했다. 혜성처럼 나타난 ‘돗투돗’과 ‘㈜태린’ 이 같은 상황에서 인스타그램을 통해 혜성처럼 나타난 회사가 있다. 바로 돗투돗(대표 송영환), ㈜태린(대표 김태린)

나문희, 윤여정, 강부자···MZ세대까지 사로잡아 유통업계 다시 부는 ‘시니어 모델’ 열풍
[KJtimes=김봄내 기자]최근 유통업계에서 시니어 모델 열풍이 불고 있다. MZ세대를 타깃으로 한 브랜드들이 발상의 전환으로 시니어 모델을 기용, 좋은 반응을 얻고 있는 것이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CJ제일제당과 OB맥주, 지그재그 등 주요 유통·식음료 기업들은 최근 시니어 모델을 기용한 광고로 MZ세대들로부터 화제의 중심이 되고 있다. CJ제일제당은 MZ세대 대표 간편식인 햇반컵반의 새 모델로 배우 나문희를 발탁하고 탐정이 된 나문희가 햇반컵반을 둘러싸고 벌어지는 사건을 해결해나가는 추리형 콘텐츠 '명탐정 컵반즈'를 선보였다. 1020 여성 쇼핑플랫폼 지그재그는 한예슬의 후속 모델로 윤여정을 모델로 발탁하며 화제를 모았다. 지난 12일 공개한 티저 영상 속 윤여정이 '근데 나한테 이런 역할이 들어왔다. 젊고 이쁜 애들도 많은데. 근데 잘못 들어온거 아니니?'라고 말하는 모습이 공개되며 소비자 이목을 사로잡았다. 어린 여성들이 쓰는 쇼핑 앱도 나이 많은 사람이 연령에 구애받지 않고 광고할 수 있음을 보여주며 기존의 모델 공식을 깨뜨린 것. 뒤이어 공개된 광고 본편 영상에서는 '옷 입는데 남 눈치 볼 거 뭐 있니? 네 맘대로 사세요'라고 시원하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