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J 핫클릭

유통업계, 일회용품 사용 줄이기 동참 이어져

[KJtimes=김봄내 기자]지난 해부터 시작된 필환경 트렌드가 올해 들어서는 소비자 개인의 실천을 넘어 유통업계의 적극적인 동참으로 이어지고 있다.

 

 

지난 해 5월 환경부가 커피전문점, 패스트푸드점과 협약한 일회용품 줄이기 사업이 올 해 일회용 컵 수거량 72% 감소 성과로 이어지면서 테이크아웃 컵 뿐만 아니라 일상 속에서도 일회용품 사용 줄이기에 소비자와 업계가 본격적으로 나선 것이다.

 

 

글로벌 생활용품 브랜드 타파웨어 브랜즈 코리아 관계자는 지난 2017년 해양보전센터가 바다에서 수거한 쓰레기 상위 10개 품목을 조사한 결과를 보면 대다수 품목이 일회용 식품 포장지, 일회용 음료병, 일회용 비닐봉지, 일회용 용기 등 인간의 편리를 위해 사용되고 버려진 것들이었다이러한 환경 문제에 대해서는 개인의 노력에만 맡길 것이 아니라 제조사와 전 업계가 동참해 지속가능성에 대한 인식 개선 노력과 동참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n 생활 속 작은 실천으로 환경을 지키는 에코 물통 인기

 

일회용 쓰레기 배출의 주범인 일회용 페트병이나 커피전문점의 테이크아웃컵을 사용하는 대신, 머그나 텀블러를 사용하는 것이 일회용 쓰레기를 줄일 수 있는 첫걸음이다.

 

 

타파웨어는 환경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제품 제조단계부터 최종 생산단계까지 다양한 방법으로 노력하고 있다. 타파웨어는 창립자 얼 사일러스 타파(Earl Silas Tupper)의 지속 가능성 경영 철학에 기반하여 70여년 전 처음 주방용품 시장에 진입 후 지금까지 반영구적 사용이 가능하고, 뛰어난 밀폐력으로 음식을 오랫동안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는 고품질의 제품을 개발해 선보이고 있다.

 

 

이러한 타파웨어의 가장 대표적인 친환경 제품이 에코 물통이다. 타파웨어는 일상 속에서 일회용품 사용을 지양하고 다회용품 사용을 권장하기 위해 다양한 디자인과 용량의 에코 물통 시리즈를 선보이며 나만의 물통 사용하기 문화 정착에 앞장서고 있다.

 

 

올 여름 새롭게 선보인 타파웨어의 에코 물통 실버880ml 용량으로 물을 많이 마시는 여름철, 야외에서 사용하기 좋은 아이템이다. 플립캡 형태로 한 손으로 쉽게 여닫을 수 있어 어디서나 편리하게 음료를 마실 수 있다. 실버 컬러는 시각적인 청량감까지 선사한다.

 

 

아이와 함께 하는 외출이라면 타파웨어의 빨대컵이 유용하다. 타파웨어 빨대컵은 십(+)자 모양의 매직홀이 있어 흔들거나 뒤집어도 안의 내용물이 새지 않아 움직이는 차량에서 사용하기에 안성맞춤이다.

 

 

타파웨어 관계자는 타파웨어의 에코 물통 시리즈는 반영구적 사용은 물론 야외활동 시에도 사용이 편리한 다양한 제품군으로 스테디셀러 아이템으로 사랑 받고 있다무엇보다 타파웨어는 에코 물통을 비롯해 전 제품을 짧게는 10, 20년 이상 사용 후에는 다른 제품으로 새롭게 탄생시킬 수 있도록 리사이클링에도 힘쓰고 있어 환경을 생각하는 타파웨어 고객의 가치관에도 부합해 호응을 얻고 있다고 설명했다.

 

 

n 버려지는 비닐봉투, 일회용품 줄이려면 구매행위에서부터 실천 필요

 

2017년 기준 한 해 동안 국내에서 사용된 비닐봉지 수는 220억장이다. 1인당 사용량도 420장에 달한다. 핀란드 사람이 1년에 사용하는 비닐봉지 개수가 단 4장인 것이 비교하면 엄청난 양의 비닐봉투를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이 때문에 최근에는 친환경 포장재 개발과 다회용기 사용을 통해 구매행위에서부터 일회용품 사용을 줄이기 위한 행보도 눈에 띈다.

 

 

대형마트들은 지난 4월 환경부의 대형마트 일회용 비닐봉지 전면 사용금지 정책에 따라 신선식품을 담는 데 쓰이는 속 비닐 사용 중단에 나섰다. 그 결과 이마트의 경우 올 해 3-4월 속 비닐 사용량은 1.3로 전년 동기간 속 비닐 사용량(4.8) 대비 3분의 1 수준으로 감소했다. 롯데마트의 경우도 올해 46월 사이 매장 내 속 비닐 사용량은 직전 3개월(13)보다 48.2% 줄었고 전년 동월과 비교해서는 70.2%나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전했다.

 

 

신세계백화점은 오는 9월 추석 명절을 앞두고 냉장 정육 선물 포장재로 쓰인 스티로폼 박스 대신 종이박스를 도입했다. 박스 안에 넣은 보냉재 역시 외부 포장재를 방수 코팅 종이 재질로 바꾸고, 내부는 물로 채워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제작했다. 전복이나 굴비 포장에 주로 사용해 오던 부직포 가방 및 스티로폼 박스는 아이스박스 대용으로 사용이 가능한 쿨러백으로 대체하기로 했다. 사과·배 등 과일 선물세트에 주로 사용되던 플라스틱 소재 충전재도 종이 소재로 대체해 나가기로 했다.

 

 

BGF리테일이 운영하는 온라인 푸드마켓 헬로네이처는 기존 새벽배송의 단점인 과도한 포장을 원천적으로 해결할 방안으로서 더그린배송을 올해 4월 국내 새벽배송 업계 최초로 시작했다. 쌀 포대 소재로 잘 알려진 ‘PE우븐을 활용한 더 그린박스와 물·전분으로 만든 아이스팩을 도입한 것이다. 더 그린박스의 경우 친환경적 소재에 반영구적인 내구성을 갖춰 다음 주문 때 배송사원에게 반납하면 재활용도 가능하다.

 

 

배달의민족이 운영하는 자영업자용 식자재 및 배달 비품 전문 쇼핑몰 배민상회는 매립 시 생분해가 가능한 친환경 코팅(PLA) 소재를 쓴 종이 식품 용기를 출시했다. 일반 종이용기는 플라스틱 코팅을 해 코팅한 부분이 썩지 않는 반면, PLA 소재는 흙이나 물에 매립할 경우 빠른 속도로 생분해된다.

 

 

풀무원은 3R(Reduce, Recycle, Remove) 활동을 통해 플라스틱 사용과 이산화탄소 배출 감소를 위한 친환경 포장을 확대해 나간다. 풀무원샘물, 연두부, 나또, 생면식감(라면), 아임리얼 등 주요 제품에 환경을 생각한 포장을 적용하며, 순차적으로 늘려 2022년까지 전 제품에 적용할 계획이다.

 








[공유경제가 나아갈 방향①]당근마켓·공유모빌리티 명과 암
[KJtimes=김승훈 기자]“소유에서 공유로 시대정신이 바뀌고 있다. IT 발달로 소유보다 더 편리한 공유의 시대가 오고 있다. 기존의 사회가 산업혁명 이후 대량생산으로 인한 소유의 시대였다면 미래는 재화와 서비스를 필요한 시간만큼 이용하는 공유시대가 될 것이다.” 공유경제제연구소 이계원 대표는 지난달 25일 경남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열린 ‘2021 제1회 공유경제 학교’에서 이같이 강조했다. 이날 ‘일상 속 사례를 통한 공유경제 개념 수립과 공유경제가 나아갈 방향’을 주제로 강연에 나선 이 대표는 공유경제의 실 사례로 당근마켓과 공유킥보드, 공유자전거 등을 소개했다. 이 대표는 우선 “당근마켓 이전에도 중고마켓이 많았지만 신뢰도는 당근마켓보다 못하다”며 “그러나 ‘당신 근처의 마켓’이라는 말처럼 당근마켓은 동네를 기반으로 직거래를 하기 때문에 물건의 신뢰성을 높였다”면서 당근마켓의 장점으로 지역 기반, 매너 평가, 환경 친화, 경제성을 들었다. 이어 “당근마켓은 거래 통해 좋은 평가를 받게 온도가 올라가는 식인 반면 물건에 하자가 있거나 시간약속을 지키지 않게 되면 온도가 내려가는데 온도만 봐도 믿을 만한 사람인지 알 수 있다”면서 “또 공간과 자원 낭비를

[스페셜 인터뷰]‘소통 전도사’ 안만호 “공감하고 소통하라”
[KJtimes=견재수 기자]“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사회변화는 타인의 생각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능력을 자라지 못하게 방해하고 있다. 공감과 소통이 어려워진 것이다.(공감과 소통의) 의미가 사라지고 충동만 남게 됐다.” 한국청소년퍼실리테이터협회(KFA: Korea Facilitators Association)를 이끌고 있는 안만호 대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디지털 사회로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해 이 같이 진단했다. 또 이제 공감능력 없이는 생존하기 힘든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면서 비대면 사회에 대한 깊은 우려를 나타냈다. 소통 전문가로 통하는 안 대표는 “자신을 바라보고 다른 사람을 이해하며 공감하고 소통하는 방법이 필요한데 스마트폰이나 SNS, 유튜브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되면서 어느 순간 사회성은 경험의 산물이 아니라 지식의 산물이 되어 버렸다”며 “요즘 인간의 탈사회화가 진행되는 것에 비례해 인간성의 급격한 하락을 경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코로나 사태는 사회적 거리를 두더라도 우리가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개체가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는 관계이자 연대라는 점이 더욱 분명하게 밝혀졌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