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J 핫클릭

식음료 업계, 폭염주의보에 수박 활용한 신메뉴 출시 잇따라

[KJtimes=김봄내 기자]낮 최대 기온 33도를 웃도는 폭염이 이어지면서 무더위를 시원하게 식혀줄 수박의 인기가 수직상승하고 있다. 이마트의 여름 상품 매출 분석 자료에 따르면 예년보다 빨리 찾아온 더위에 5월 초부터 수박 판매량이 전년 동기간 대비 최대 22.9% 증가하기도 했다.

 

이처럼 예년과는 사뭇 다른 수박의 흥 조짐에 수박을 활용한 다양한 신제품 음료도 잇따라 출시되고 있다. 글로벌 티(Tea) 음료 전문 브랜드 공차코리아 마케팅 관계자는 여름 대표 과일로 사랑 받는 수박은 90%가 수분으로 이루어져 몸 속 열을 내려주는 효능으로 무더위 치친 소비자들에게 꾸준히 인기를 얻고 있다올 여름철에는 티 음료와 수박 조합, 태국식 수박 주스 등 식음료 업계의 도전적인 신제품이 잇따라 출시돼 소비자들의 입맛을 사로잡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먼저 티 베리에이션 노하우를 바탕으로 매 시즌 새로운 메뉴를 선보이는 공차는 올 여름 대표 메뉴로 수박 크러쉬를 선보였다.

 

공차의 수박 크러쉬는 프리미엄 자스민 그린티에 수박을 더해 차별화된 맛을 선사한다. 여기에 수박 씨 모양의 초코볼 토핑을 넣어 마치 수박 한 조각을 썬 듯한 비주얼로 시선을 끈다. 음료와 함께 톡톡 씹는 재미를 주는 초코볼 토핑은 취향에 따라 추가할 수 있으며 쫄깃쫄깃한 식감을 좋아한다면 화이트펄이나 코코넛 토핑을 추가해도 좋다.

 

공차코리아 마케팅 관계자는 공차의 수박 크러쉬는 수박이 가진 가장 맛있는 맛만 담아내어 남녀노소 누구나 시원하고 맛있게 즐길 수 있다공차는 고객의 취향에 따라 펄 외에도 코코넛, 알로에 등 여름 시즌 음료와 가장 잘 어울리는 토핑을 선택할 수 있도록 추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쥬씨는 1980, 90년대 홍콩영화의 대표 배우인 주윤발을 오마쥬한 뉴트로 감성을 살린 화채 메뉴 '밀키수박'을 선보였다. 밀키수박은 밀크 탄산음료와 수박, 우유로 맛을 내고 수박을 포함 3가지 과일이 들어간 화채 음료이다. 남녀노소 다양한 연령층의 고객들이 언제 어디서나, 재미있고 간편하게 수박 과일 화채를 즐길 수 있도록 마련됐다.

 

잠바주스가 제철 과일 수박의 신선함을 담은 리얼 수박주스수박 크러셔를 출시했다. 리얼 수박주스는 달콤한 수박의 시원한 느낌을 살렸으며, 수박 크러셔는 아삭아삭한 식감이 살아있는 수박 음료로 무더위 갈증해소에 제격이다.

 

할리스커피는 본격적인 여름을 맞아 수박 키위 스무디를 선보였다. 착즙 수박으로 만들어 생수박을 먹는 듯한 맛으로 무더운 여름에 시원하게 즐길 수 있다. 음료 밑에는 부드럽게 씹히는 키위 다이스 과육이 깔려 있어 수박 비주얼을 연상시켜 먹는 즐거움과 시각적 즐거움을 더했다.

 

롯데리아도 여름 신제품으로 태국식 수박 주스인 땡모반을 출시했다. 땡모반은 태국에서 하루에 1잔을 마셔야 여름을 버틸 수 있다는 태국 대표 음식이며 수박 본연의 맛을 달콤하게 즐길 수 있는 음료이다.









[스페셜 인터뷰]‘소통 전도사’ 안만호 “공감하고 소통하라”
[KJtimes=견재수 기자]“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사회변화는 타인의 생각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능력을 자라지 못하게 방해하고 있다. 공감과 소통이 어려워진 것이다.(공감과 소통의) 의미가 사라지고 충동만 남게 됐다.” 한국청소년퍼실리테이터협회(KFA: Korea Facilitators Association)를 이끌고 있는 안만호 대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디지털 사회로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해 이 같이 진단했다. 또 이제 공감능력 없이는 생존하기 힘든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면서 비대면 사회에 대한 깊은 우려를 나타냈다. 소통 전문가로 통하는 안 대표는 “자신을 바라보고 다른 사람을 이해하며 공감하고 소통하는 방법이 필요한데 스마트폰이나 SNS, 유튜브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되면서 어느 순간 사회성은 경험의 산물이 아니라 지식의 산물이 되어 버렸다”며 “요즘 인간의 탈사회화가 진행되는 것에 비례해 인간성의 급격한 하락을 경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코로나 사태는 사회적 거리를 두더라도 우리가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개체가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는 관계이자 연대라는 점이 더욱 분명하게 밝혀졌다”면

[현장+]가상화폐의 명과 암…사느냐? 죽느냐?
[KJtimes=김봄내 기자]가상화폐에 대한 논란이 점입가경(漸入佳境)의 모양새다. 최근 테슬라가 비트코인에 투자했다고 발표한 이후 가상화폐들이 비교적 강세를 이어가고 있는 모습이다. 하지만 투자자들과 제도권 사이에 가상화폐의 존망에 대한 논리와 제도·규정 공방이 뜨거워지고 있다. 특히 주요국 중앙은행들이 사이버머니를 발행할 움직임을 보이면서 이 같은 공방은 더욱 가열되고 있는 분위기다. 가치인정에 대한 불확실성은 높아질 수밖에 없다(?) 21일 관련업계와 금융권에 따르면 가상화폐 지지자들의 주장은 크게 각국 중앙은행 및 통화에 대한 불신과 화폐의 절대가치 보존·유지를 위한 새 수단의 강구 노력 등 두 가지로 집약되고 있다. 우선 각국 중앙은행 및 통화에 대한 불신은 가상화폐 출현의 계기가 됐다. 예컨대 미국의 금본위제 폐지 이후 화폐 가치 논란이 일었고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주요국 양적완화 정책에 의한 통화량 폭증으로 화폐가치 논란이 재점화된 것이 가상화폐 투자자들의 심리를 자극했다. 업계 한 관계자는 “제1차 세계대전 패전국인 독일(바이마르공화국)의 마르크화 가치 폭락(1억% 인플레이션)이 주된 원인”이라며 “패전국 독일 화폐가치 하락(국가·경제·화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