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J 핫클릭

풀무원 ‘한국산 김치’, 미국 전역 1만 개 매장 확대 유통

[KJtimes=김봄내 기자]풀무원식품(대표 박남주)은 풀무원 김치가 미국 제2 유통업체인 크로거(Kroger)에 입점, 글로벌 최대 유통사인 월마트(Walmart)를 비롯한 현지 양대 유통망을 확보함과 동시에 미국 전역에 1만 개 판매처를 확보했다고 21일 밝혔다.

 

전북 익산 글로벌김치공장에서 생산되는 풀무원 김치는 지난 6월 월마트 3,900개 매장과 미국 동부 유통 강자 퍼블릭스(Publix) 1,100개 등 5,000개 매장에 입점했다.

 

최근에는 미국 제2 대형유통인 크로거(Kroger)와 세이프웨이(Safeway), 푸드 라이언(Food Lion) 등 추가로 5,000개 매장에 더 입점하여 미국 내 총 1만 개 매장에서 한국산 김치가 판매되기 시작했다.

 

특히, 풀무원은 미국 총 20여 개 유통사와 협의하면서 대형 할인점부터 슈퍼마켓, 편의점 등 다양한 채널을 확보하여 미국 대도시부터 카운티(County), 타운(Town) 등 지역 마을 단위까지 한국산 김치를 입점시킨 것이다.

 

미국 시장에서 김치를 판매할 여건이 갖춰진 점포 수는 약 2만 개 정도다. 이미 절반가량 입점에 성공한 풀무원 김치는 더 나아가 매장 수를 더욱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이렇듯 풀무원 김치가 미국에서 통하고 있는 것은 독자적인 한국산 김치전략 때문이다.

 

중국의 저가 김치, 일본의 기무치 등 한국 전통김치와 특성, 품질에 차이가 큰 현지 생산 제품이 시장에 난입하는 가운데, 풀무원은 우리의 김치를 제대로 바르게 알리겠다는 포부로 지난 5월 전북 익산시 왕궁면 국가식품클러스터에 글로벌김치공장을 준공하고 해외시장 개척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풀무원의 한국산 김치전략은 원료 산지 및 생산지가 중요한 발효식품의 특성을 반영하고 있다. 김치는 온도 및 숙성도 관리의 어려움 때문에 현지 생산이 적합한 것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김치는 대표 한식이자 발효식품으로서 국내 생산이 중요하다.

 

 

우선 주재료인 배추와 무의 품종과 생육환경이 나라마다 달라 한국 김치 본연의 맛을 해외에서 구현하기 어렵다. 특히, 국내에서 재배하는 대부분의 배추는 한국 육종학의 아버지 우장춘 박사가 국내 환경에 맞게 개량한 품종으로 해외 수급은 거의 불가능하다. 국내 품종을 해외에서 재배하더라도 기후와 토양 등 생육 환경이 달라 국산 배추, 무와 맛 차이가 난다.

 

또 발효식품인 김치는 숙성과정에서 토양과 공기 중의 토착 미생물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외국에서 김치를 생산하더라도 국산 김치만의 발효미와 감칠맛을 내기 어렵다.

 

 

풀무원식품 이준화 김치 CM(Category Manager)한국에서 만들어 수출하는 방식에 적잖은 우려의 시선도 있었지만, 오히려 미국에서는 이런 점을 생각보다 더 높이 평가하고 있다. ‘한국산 김치의 경쟁력을 확인할 수 있는 부분이라며 풀무원은 앞으로도 대표 한식인 김치를 글로벌 시장에 제대로 알려가겠다고 말했다.

 









[스페셜 인터뷰]‘소통 전도사’ 안만호 “공감하고 소통하라”
[KJtimes=견재수 기자]“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사회변화는 타인의 생각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능력을 자라지 못하게 방해하고 있다. 공감과 소통이 어려워진 것이다.(공감과 소통의) 의미가 사라지고 충동만 남게 됐다.” 한국청소년퍼실리테이터협회(KFA: Korea Facilitators Association)를 이끌고 있는 안만호 대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디지털 사회로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해 이 같이 진단했다. 또 이제 공감능력 없이는 생존하기 힘든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면서 비대면 사회에 대한 깊은 우려를 나타냈다. 소통 전문가로 통하는 안 대표는 “자신을 바라보고 다른 사람을 이해하며 공감하고 소통하는 방법이 필요한데 스마트폰이나 SNS, 유튜브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되면서 어느 순간 사회성은 경험의 산물이 아니라 지식의 산물이 되어 버렸다”며 “요즘 인간의 탈사회화가 진행되는 것에 비례해 인간성의 급격한 하락을 경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코로나 사태는 사회적 거리를 두더라도 우리가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개체가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는 관계이자 연대라는 점이 더욱 분명하게 밝혀졌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