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스토리

“직장인 2명 중 1명, 만성피로증후군 겪는다”

[KJtimes=김봄내 기자]구인구직 매칭플랫폼 사람인이 직장인 1,437명을 대상으로 직장인 증후군에 대해 조사한 결과, 직장인 절반 이상(56%, 복수응답)이 충분한 휴식을 취해도 피로감을 느끼는 만성피로증후군을 겪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계속해서 열정적으로 일하던 사람이 극도의 정신적 및 육체적 피로로 무기력해지는 번아웃증후군(38.2%)을 겪었다는 응답이 바로 뒤를 이었다. 다음으로는 현 직장에 만족하지 못하고 새로운 이상을 꿈꾸는 파랑새증후군(34.5%), 입사 후 3개월 단위로 이직이나 퇴사를 심각하게 고려하는 3.6.9 증후군(30%), 항상 밝은 모습을 보여야 한다는 강박으로 겉으론 웃지만 내면은 우울한 스마일마스크증후군(18.1%), 뚜렷한 이유 없이 직장 일에 불만을 갖는 증상 사춘기증후군(15.9%), 사무실에서는 두통이나 현기증을 느끼다가 밖으로 나가면 증상이 사라지는 빌딩증후군(13.9%) 등을 겪고 있었다.

 

직장인 증후군의 심각도에 대해서는 업무에 차질을 주는 수준55.2%로 과반 이상을 차지했다.

 

이러한 증후군을 겪는 원인으로는 많은 업무량’(41.5%, 복수응답)을 첫 번째로 꼽았다. 다음으로 소통 부족’(25.4%), ‘본인 성격’(24%), ‘건강관리 부족’(23.9%), ‘과도한 근무시간’(21.7%), ‘수직적 조직문화’(21.1%), ‘성과 압박’(19.3%) 등을 이유로 들었다.

 

그렇다면, 직장인들은 직장인 증후군을 극복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하고 있을까?

 

충분한 휴식을 취한다’(48.2%, 복수응답)는 답변이 가장 많았고, ‘여행, 취미 등 기분 전환 계기를 찾는다’(47.2%)가 바로 뒤를 이었다. 이외에도 이직을 준비한다’(33.2%), ‘운동 등으로 체력을 키운다’(26.3%), ‘가족이나 주변사람과 고민을 공유한다’(25.4%), ‘명상 등 마인드컨트롤을 한다’(12.3%) 등의 답변이 이어졌다.

 

위의 증후군 증상으로 전문가 상담이나 치료를 받은 응답자는 6.7%였다.

 

, 재직중인 회사에서 증후군을 벗어나는데 도움을 주는 제도를 운영하고 있는 있다는 응답자는 8.6%에 불과해 직장인 증후군을 극복하기 위한 최소한의 제도적 지원도 받고 있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직장인들은 현재 직장생활 만족도를 평균 53.8점으로 평가해 낙제를 겨우 면한 수준이었다.

 

이들이 직장생활에 불만족하는 부분으로는 연봉수준’(56.3%, 복수응답), ‘복리후생’(35.8%), ‘조직 분위기’(27.2%), ‘업무 영역’(24.3%), ‘성과에 대한 인정’(21.4%), ‘정시퇴근 등 근무환경’(20.9%) 등이 있었다.

 

직장생활에 만족하는 부분으로는 정시퇴근 등 근무환경’(37.7%, 복수응답), ‘조직 분위기’(21.6%), ‘대인관계’(18.6%), ‘연봉수준’(14.5%) 등을 꼽았다.









[스페셜 인터뷰]‘소통 전도사’ 안만호 “공감하고 소통하라”
[KJtimes=견재수 기자]“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사회변화는 타인의 생각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능력을 자라지 못하게 방해하고 있다. 공감과 소통이 어려워진 것이다.(공감과 소통의) 의미가 사라지고 충동만 남게 됐다.” 한국청소년퍼실리테이터협회(KFA: Korea Facilitators Association)를 이끌고 있는 안만호 대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디지털 사회로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해 이 같이 진단했다. 또 이제 공감능력 없이는 생존하기 힘든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면서 비대면 사회에 대한 깊은 우려를 나타냈다. 소통 전문가로 통하는 안 대표는 “자신을 바라보고 다른 사람을 이해하며 공감하고 소통하는 방법이 필요한데 스마트폰이나 SNS, 유튜브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되면서 어느 순간 사회성은 경험의 산물이 아니라 지식의 산물이 되어 버렸다”며 “요즘 인간의 탈사회화가 진행되는 것에 비례해 인간성의 급격한 하락을 경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코로나 사태는 사회적 거리를 두더라도 우리가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개체가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는 관계이자 연대라는 점이 더욱 분명하게 밝혀졌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