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전자/ IT/게임

SKT, 전 국민 대상으로 '5GX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 확대

[KJtimes=김승훈 기자]SK텔레콤과 마이크로소프트(이하 MS)29(한국시간 기준)부터 iOS OSPC 이용 고객들도 ‘5GX 클라우드 게임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번 서비스 확대로 ‘5GX 클라우드 게임은 콘솔, 모바일 디바이스(안드로이드, iOS)PC(윈도우 10 이상) 등 모든 기기에서 게임 플레이가 가능해져 언제 어디서 누구나즐기는 국내 대표 클라우드 게임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할 전망이다.

 

서비스가 확대되는 iOS PC를 통해 ‘5GX 클라우드 게임을 이용하는 고객은 별도 앱 다운로드 없이 www.xbox.com/play 사이트에 접속해 게임을 즐길 수 있다. 기존 안드로이드 OS 이용 고객은 www.xbox.com/play 사이트와 ‘Xbox 게임패스(Xbox Game Pass)’ 앱을 통해 이용할 수 있다.

 

‘5GX 클라우드 게임은 글로벌 대표 콘솔 게임인 Xbox의 대작 게임 드래곤 퀘스트’, ‘eFootball PES 2021’, ‘용과 같이 시리즈100여 종을 클라우드 기반으로 마음껏 즐길 수 있는 서비스다. 고객은 월 16,700원에 ‘Xbox 게임패스 얼티밋(Xbox Game Pass Ultimate)’을 가입할 수 있으며, 특히 신규 가입자의 경우 첫 달은 100원에 이용할 수 있다.

 

‘Xbox 게임패스 얼티밋은 전국 SKT 매장과 고객센터, 온라인/모바일 T월드 및 SKT 5GX 클라우드 게임 전용 홈페이지에서 가입할 수 있다. SKT가 아닌 타 이통사 고객도 가입 가능하다.

 

SKTMS와의 초협력을 기반으로 1년여의 베타서비스 기간을 거쳐 지난해 9‘5GX 클라우드 게임을 정식 출시하였으며, 11월에는 Xbox-콘솔과 클라우드 게임을 결합한 구독형 게임 상품인 ‘Xbox 올 액세스(Xbox All Access)’를 선보인 바 있다.

 

‘Xbox 올 액세스“Xbox로의 모든 것이 포함된 패스로 이용 고객은 Xbox 시리즈 X 또는 S 콘솔을 선택 후, Xbox 게임패스 얼티밋 24개월 이용권을 월마다 일정 금액을 지불하는 형태로 SKT가 국내 단독으로 출시한 서비스다.

 

‘5GX 클라우드 게임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방식을 통해 시간과 장소의 제약을 극복한다는 점에서 5G 시대 대표 서비스 플랫폼으로 각광받고 있다.

 

SKT는 고객들의 게임 이용 행태 변화에 맞춰 게임 컨트롤러를 포함한 월정액 상품, 콘솔과 클라우드 게임을 결합한 구독형 상품 등 고객의 선택권을 넓힐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상품 운영을 통해 고객의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PC버전 출시로 고객의 니즈에 부합하는 다양한 형태의 클라우드 게임 상품을 지속 마련해 나갈 계획이다.

 

전진수 SKT 메타버스 CO장은 “5GX 클라우드 게임의 iOS PC 버전 확대에 따라 최고 품질의 Xbox 게임을 사실상 전 국민을 대상으로 서비스할 수 있게 됐다, “’Xbox 게임패스 얼티밋’, ‘Xbox 올 액세스등 다양한 구독 상품을 통해 합리적인 가격에 콘솔과 PC, 모바일을 넘나들며 자유로운 게임 생활이 가능해졌다고 밝혔다.

 

MS 제품 및 클라우드 게이밍 총괄 부사장 캐서린 클룩스타인(Catherine Gluck-stein)이번 서비스 확대로 더 많은 사람이, 더 많은 장소에서, 더 많은 기기로 Xbox 경험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데 큰 진전을 이뤘다, “SKT의 선도성과 커넥티비티 전문성은 Xbox의 한국 사업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해왔으며, SKT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최고의 Xbox 클라우드 게임 경험을 한국 게이머들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되어 기쁘다고 말했다.

 

 

 









[스페셜 인터뷰]‘소통 전도사’ 안만호 “공감하고 소통하라”
[KJtimes=견재수 기자]“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사회변화는 타인의 생각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능력을 자라지 못하게 방해하고 있다. 공감과 소통이 어려워진 것이다.(공감과 소통의) 의미가 사라지고 충동만 남게 됐다.” 한국청소년퍼실리테이터협회(KFA: Korea Facilitators Association)를 이끌고 있는 안만호 대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디지털 사회로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해 이 같이 진단했다. 또 이제 공감능력 없이는 생존하기 힘든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면서 비대면 사회에 대한 깊은 우려를 나타냈다. 소통 전문가로 통하는 안 대표는 “자신을 바라보고 다른 사람을 이해하며 공감하고 소통하는 방법이 필요한데 스마트폰이나 SNS, 유튜브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되면서 어느 순간 사회성은 경험의 산물이 아니라 지식의 산물이 되어 버렸다”며 “요즘 인간의 탈사회화가 진행되는 것에 비례해 인간성의 급격한 하락을 경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코로나 사태는 사회적 거리를 두더라도 우리가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개체가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는 관계이자 연대라는 점이 더욱 분명하게 밝혀졌다”면

[현장+]가상화폐의 명과 암…사느냐? 죽느냐?
[KJtimes=김봄내 기자]가상화폐에 대한 논란이 점입가경(漸入佳境)의 모양새다. 최근 테슬라가 비트코인에 투자했다고 발표한 이후 가상화폐들이 비교적 강세를 이어가고 있는 모습이다. 하지만 투자자들과 제도권 사이에 가상화폐의 존망에 대한 논리와 제도·규정 공방이 뜨거워지고 있다. 특히 주요국 중앙은행들이 사이버머니를 발행할 움직임을 보이면서 이 같은 공방은 더욱 가열되고 있는 분위기다. 가치인정에 대한 불확실성은 높아질 수밖에 없다(?) 21일 관련업계와 금융권에 따르면 가상화폐 지지자들의 주장은 크게 각국 중앙은행 및 통화에 대한 불신과 화폐의 절대가치 보존·유지를 위한 새 수단의 강구 노력 등 두 가지로 집약되고 있다. 우선 각국 중앙은행 및 통화에 대한 불신은 가상화폐 출현의 계기가 됐다. 예컨대 미국의 금본위제 폐지 이후 화폐 가치 논란이 일었고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주요국 양적완화 정책에 의한 통화량 폭증으로 화폐가치 논란이 재점화된 것이 가상화폐 투자자들의 심리를 자극했다. 업계 한 관계자는 “제1차 세계대전 패전국인 독일(바이마르공화국)의 마르크화 가치 폭락(1억% 인플레이션)이 주된 원인”이라며 “패전국 독일 화폐가치 하락(국가·경제·화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