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jtimes=김봄내 기자]많은 대미 수출기업은 한-미 FTA(자유무역협정) 발효가 긍정적 영향을 주고 있다고 평가했다.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손경식)가 최근 대미수출기업 400곳과 국민 500명을 대상으로 '한-미 FTA 3개월, 효과와 활용애로'를 조사한 결과 기업의 72.6%가 '한-미 FTA가 기업경영에 긍정적 영향을 주고 있다'고 대답했다고 12일 밝혔다.
'경제발전에 기여하고 있다'고 생각한 국민은 66.8%로 집계됐다.
한-미 FTA발효에 따른 혜택을 묻는 말에 기업들은 '수출상담 증가'(59.1%), '수출주문 증가'(5.5%) 등을 꼽았다.
미국시장 진출을 확대했거나 이를 추진 중인지를 묻는 설문에 대해서는 43.8%의 기업만 '그렇다'라고 응답해 '미국시장 진출계획이 없다'는 대답(56.2%)을 밑돌았다.
특히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FTA 활용과 관련한 어려움이 무엇인지(복수응답)를 물은 결과 '원산지 증명·관리 어려움'(71.5%)이 가장 많았고 '미국시장 진출노하우와 네트워크 부족'(52.4%), '미국시장 진출 소요자금과 전문인력 부족'(48.6%), '미국측 바이어가 수입확대에 소극적'(32.9%) 등의 순이다.
정부의 FTA 활용 지원시스템을 활용한 적이 있는지를 묻는 설문에는 '있다'는 답변이 34.6%인 반면 '없다'는 대답은 65.4%였다.
국민들은 한미 FTA의 주요 혜택으로 '상품선택의 폭 확대'(44.3%), '수입품 가격하락에 따른 생활물가 안정'(22.7%), '개방확대에 따른 경제시스템과 서비스 향상'(18.9%), '수출·투자증대에 따른 일자리증가'(14.1%) 등을 차례로 들었다.
박종갑 대한상의 조사2본부장은 "FTA는 내수나 대기업에 의존하고 있는 우리 중소기업들이 해외에 진출할 좋은 기회"라며 "정부는 산재돼 있는 다양한 FTA 지원역량을 잘 결합해 중소기업 현장을 찾아가 어려움을 해결해줘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