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ソウル西脇真一、澤田克己】韓国大統領選挙が19日投開票され、大接戦の末、与党セヌリ党の朴槿恵(パク・クネ)氏(60)が最大野党・民主統合党の文在寅(ムン・ジェイン)氏(59)を破り、当選を決めた。東アジアで最初の女性大統領で、60~70年代にかけて政権を握った父、朴正熙(パク・チョンヒ)元大統領に続き初の親子2代の大統領が誕生する。前回選挙で10年ぶりに復活した保守政権は維持された。朴氏は政治家としての豊富な経験を持つことから「準備された女性大統領」をキャッチフレーズに、急激な変革より安定感を望む有権者の支持を集めた。来年2月25日に就任する。
中央選挙管理委員会によると、20日午前1時10分(日本時間同)現在、朴氏は文氏に約109万票の差をつけている。
朴氏は19日深夜、ソウル都心の広場に集まった支持者を前に「心から感謝している。危機を克服し、経済をよみがえらせることを熱望する国民の気持ちの勝利だ」と語った。李明博(イ・ミョンバク)大統領も朴氏に電話をかけ、当選を祝福した。
一方、文氏は民主統合党本部で「新しい政治を望む皆さんとの約束を守れなかった。国民の皆さんも朴氏を声援してほしい」と敗北を宣言した。
選挙期間中の12日、北朝鮮は「人工衛星打ち上げ」名目で事実上の長距離弾道ミサイルの発射を強行。朴氏は「韓国だけでなく世界に対する挑発だ」などと、北朝鮮の姿勢を強く批判した。ただ、選挙戦を通じ朴氏は「南北対話に前提条件はない。必要なら首脳会談にも応じる」と述べるなど、現政権で悪化した南北関係の改善の必要性を認めてきた。
外交ブレーンも「北朝鮮へのメッセージが制裁一辺倒で良いのか」と指摘する。朴氏は「南北間での信頼構築」を通じて、人道支援や交流を強化して信頼関係を高めると表明。両国の代表部の役割を果たす南北交流協力事務所をソウルと平壌に設置するとしている。
一方、旧日本軍による従軍慰安婦問題や、李大統領の竹島(韓国名・独島=ドクト)上陸で最悪の状態となった日韓関係の改善も課題だ。朴氏は「独島は協議対象ではない」と韓国の立場を強調しつつ、基本的に関係改善に積極姿勢を見せている。
今回の大統領選では福祉の拡大や格差の解消が争点となり、特に財閥改革など「経済民主化」が大きなテーマとなった。朴氏も国民生活に直結する雇用政策や福祉政策を力説し、「政権交代ではなく時代交代」を成し遂げると訴えた。
大統領選には朴、文両氏に加え韓国のIT企業家として有名だった安哲秀(アン・チョルス)氏(50)が無所属からの出馬を表明。若者や無党派層の強い支持を受け「安哲秀現象」と言われるブームを起こし、台風の目となった。野党陣営は選挙戦に突入後、文氏と安氏で候補者一本化を図り、安氏が文氏の全面支援を表明して合同遊説も実施。終盤、朴氏を文氏が激しく追い上げる展開となったが及ばなかった。
中央選管によると暫定投票率は75.8%。過去最低だった前回の63.0%を12.8ポイント上回った。有権者は約4051万人。
朴槿恵(パク・クネ)氏 52年2月、南部・大邱(テグ)生まれ。西江(ソガン)大理工学部卒。98年に国会議員初当選して以後連続4期当選。02年に訪朝し、金正日(キム・ジョンイル)総書記と会談した。04~06年党代表。07年の前回大統領選では党内予備選で李明博氏(現大統領)に敗れた。軍事独裁政権の朴正熙元大統領の長女。母・陸英修(ユク・ヨンス)さんが暗殺された22歳から朴元大統領が殺害されるまでファーストレディーとして外交の表舞台に立った。独身。
毎日新聞 12月19日(水)22時47分配信
=================================================
<한국 대선> 박근혜씨가 당선, 여성 최초이며 부녀 2대
【서울 니시와키 신이치, 사와다 카츠미】 한국 대통령 선거가 19일 투개표되고 대접전 끝에 여당인 새누리 당의 박근혜씨 (60)가 최대 야당인 민주통합당의 문재인씨 (59)를 꺾고 당선을 확정했다. 동아시아 사상 최초의 여성 대통령으로, 60~ 70년대 집권한 아버지, 박정희전 대통령에 이어 최초의 부녀 2대 대통령이 탄생한것 이다. 이전 선거에서 10년 만에 부활한 보수 정권은 유지 되었다. 박씨는 정치인으로서의 풍부한 경험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준비된 여성 대통령 '을 캐치 프레이즈로 급격한 변화보다는 안정감을 바라는 유권자의지지를 모았다. 내년 2월 25일 취임한다.
중앙 선거 관리위원회에 따르면 20일 오전 1시 10 분 (한국 시간 동일) 현재 박후보는 문후보를 약 109만 표 차이로 따돌리고 있다.
박후보는 19일 새벽 서울 도심의 광장에 모인 지지자들 앞에서 "진심으로 감사하고있다. 위기를 극복하고 경제를 되살리는 것을 갈망하는 민심의 승리"라고 말했다. 이명박대통령도 박후보에게 전화를 걸어 당선을 축하했다.
한편 문후보는 민주통합당 본부에서 "새로운 정치를 바라는 여러분과의 약속을 지키지 못했다. 국민 여러분도 박후보를 성원해 달라"고 패배를 선언했다.
선거 기간 중 12일, 북한은 '인공위성 발사' 명목으로 사실상의 장거리 탄도 미사일 발사를 강행. 박후보는 "한국뿐만 아니라 세계에 대한 도발이다"라고 북한의 자세를 강하게 비판했다. 다만 선거를 통해 박후보는 "남북 대화에 전제 조건은 아니다. 필요하면 정상 회담에도 응할 것"이라고 말하는 등 현 정권에서 악화 된 남북 관계 개선의 필요성을 인정 해왔다.
외교 브레인도 "북한으로의 메시지가 제재 일변도 좋은 것인지"라고 지적한다. 박후보는 "남북간 신뢰 구축 '을 통해 인도적 지원과 교류를 강화하고 신뢰 관계를 강화 표명. 양국 대표부의 역할을 남북 교류 협력 사무소를 서울과 평양에 설치한다고 하고 있다.
한편 옛 일본군 종군 위안부 문제와 이통령의 다케시마 (한국 명 독도 = 독도) 상륙으로 최악의 상태 였던 한일 관계의 개선도 과제 이다. 박후보는 "독도는 협의 대상이 아니다"라며 한국의 입장을 강조하면서, 기본적으로 관계 개선에 적극적인 자세를 보이고있다.
이번 대선에서는 복지의 확대와 격차 해소가 쟁점이되고, 특히 재벌 개혁 등 '경제 민주화 "가 큰 테마가되었다. 박후보도 국민 생활에 직결되는 고용 정책과 복지 정책을 역설하고 "정권 교체가 아니라 시대 교체"를 달성 고 호소했다.
대선에는 박-문 두사람 외에도 한국의 IT 기업가로 유명했던 안철수씨 (50)가 무소속으로 출마를 표명. 청소년과 무당파 층의 강력한지지를 받고 "안철수 현상"이라고 말하는 바람을 일으키고, 태풍의 눈이되었다. 야권은 선거전에 돌입 후, 문후보와 안씨의 후보자 단일화를 도모하고, 안씨가 문후보의 전면 지원을 표명하고 합동 유세도 실시. 막판 박후보를 문후보가 격렬하게 쫓는 전개가 되었지만 미치지 못했다.
중앙 선관위에 따르면 잠정 투표율은 75.8 %. 과거 최저였던 지난 63.0 %를 12.8 포인트 웃돌았다. 유권자는 약 4051 만명.
박근혜씨 52년 2월, 남부 · 대구 출생. 서강대대 공학부 졸업. 98년 국회의원 첫 당선 이후, 연속 4번 당선. 2002 년 방북 해 김정일국방 위원장과 회담했다. 04~06년 당 대표. 07 년 이전 대통령 선거에서는 경선에서 이명박 씨 (현 대통령)에게 패했다. 군사 독재 정권의 박정희 전대통령의 장녀. 어머니 육영수씨가 암살 된 22 세에서 박 전 대통령이 살해되기 전까지 퍼스트 레이디로 외교 무대에 섰으며, 독신이다.
마이니치신문 12월19일(수)22시47분 배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