高級乳母車が韓国で大人気もオムツや哺乳ビンは日本製

 日本では最近は「ベビーカー」というらしいが、本来の「乳母車」という日本語は傑作だと思う。実の母に代わって赤ちゃんにお乳を与えたり育てたりする女性を意味する「乳母(うば)」という言葉自体が今や死語に近いが、ベビーカーを乳母のような役割と見立てたところがなかなかいい。

日本語の「乳母車」は韓国ではハングル読みで「ユモチャ」といって韓国社会に定着しており、ベビーカーなどと気取らず今でも「ユモチャ」といっている。「乳母車」が韓国に残っているのはうれしい。

ところがそのユモチャが最近、社会問題になっている。「反日」とは関係なくて、輸入物でノルウェー産の高級ユモチャ(日本円で10万円以上もする)が韓国では飛ぶように売れていることに対する批判だ。この外国メーカーは韓国だけで全体の13%も売れているほど人気なので、韓国に支社を設けることになったという。

ママたちの輸入高級品好みをメディアなどが「ぜいたくだ!」と批判しているのだ。子供の塾通いや海外留学などものすごい教育投資にも通じる「子供だいじ」の話で、目くじら立てることもないと思うのだが。ついでにママたちに聞いてみると「紙オムツや哺乳ビンは日本製に限る」のだそうな。(黒田勝弘)

 

産経新聞 2012年12月29日(土)19時9分配信 

================================================ 

 

고급 유모차가 한국에서 인기,  젖병과 기저귀 일본제

  일본에서는 최근 "베이비카"라고 부르는것 같은데, 본래 '유모차'라는 일본어는 걸작이라고 생각한다. 친 엄마 대신 아기에게 젖을 주거나 양육하는 여성을 뜻하는 '유모"라는 말 자체가 이제 사어에 가까운, 유모차 보모 같은 역할 비유 한 곳이 좋다.

일본어 '유모차' 한국에서는 한글로 "유모차"라고 읽고, 한국 사회 정착하고 있어, 베이비카 라는것에 신경 쓰지 않고 지금도 "유모차"라고 불리우고 있다. "유모차" 한국 남아있는 것은 기쁘다.

그런데 그 유모차 최근 사회 문제가 되고있다. '반일'는 상관없이, 수입물에서 노르웨이산 고급 유모차 (일본엔으로 10만엔 이상 하는) 한국에서 불티 나게 팔리고있는 것에 대한 비판이다. 외국 업체 한국에서만 전체 13%나 팔리고 있는만큼 인기이므로, 한국 지사를 마련하게 되었다고한다.

엄마들의 수입 명품에 대한 호감 미디어 등이 "사치!"라고 비판하고있다. 아이들의 학원 등교나 해외 유학 엄청난 교육 투자에도 통하는 "아이를 최우선으로 "의 이야기로, 눈꼬리 세울 필요는 없다고 생각하지만. 말이 나온김에 엄마들에게 물어 보면 "종이기저귀와 우유병 일본제가 좋다" 라고 한다. (쿠로다 카츠히로)

 

산케이신문 2012년12월29일(토)19시9분 배신 

 

 

 

 

 

 









[스페셜 인터뷰]‘소통 전도사’ 안만호 “공감하고 소통하라”
[KJtimes=견재수 기자]“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사회변화는 타인의 생각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능력을 자라지 못하게 방해하고 있다. 공감과 소통이 어려워진 것이다.(공감과 소통의) 의미가 사라지고 충동만 남게 됐다.” 한국청소년퍼실리테이터협회(KFA: Korea Facilitators Association)를 이끌고 있는 안만호 대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디지털 사회로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해 이 같이 진단했다. 또 이제 공감능력 없이는 생존하기 힘든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면서 비대면 사회에 대한 깊은 우려를 나타냈다. 소통 전문가로 통하는 안 대표는 “자신을 바라보고 다른 사람을 이해하며 공감하고 소통하는 방법이 필요한데 스마트폰이나 SNS, 유튜브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되면서 어느 순간 사회성은 경험의 산물이 아니라 지식의 산물이 되어 버렸다”며 “요즘 인간의 탈사회화가 진행되는 것에 비례해 인간성의 급격한 하락을 경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코로나 사태는 사회적 거리를 두더라도 우리가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개체가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는 관계이자 연대라는 점이 더욱 분명하게 밝혀졌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