いじめは117番 警察が相談受理、積極介入

日本と同様いじめや校内暴力が社会問題となっている韓国で、警察が積極介入して解決や予防につなげようとしている。韓国政府は昨年、省庁ごとにバラバラだった相談電話を「117」番に一本化し、全国17の警察で受理するシステムに改編した。その中で唯一、相談から捜査まで即時対応するソウル地方警察庁の「学校暴力ワンストップセンター」の活動を追った。【ソウル西脇真一】

「もしもし」。6日午前、ソウル地方警察庁13階のセンターでカウンセラーが電話をとった。相手は小学5年男児の母親。以前、息子が言葉によるいじめを受けて一時、不登校となり、5日にも同じ子から悪口を浴びせられ、「なぜ僕は生まれてきたのか」などとふさぎ込んでいるという。カウンセラーが、センターで学校問題を担当する警察官「スクールポリス」らと協議した結果、不登校の経歴や母親の動揺も激しいことから、出動事案と決定。入電から約4時間半後、スクールポリス1人、センター捜査チームの捜査員1人が自宅に出向き、母親と向き合った。

「大変でしたね」「どんなことをお望みですか」--。母親の緊張を解く2人。子供への対応法などを説明し、本人にも「もう大丈夫だよ」と声をかけた。母親も落ち着きを取り戻し、家を後にしたときは1時間半がたっていた。

韓国では11年12月、いじめを苦にした中高生3人が次々と自殺。特に南東部大邱(テグ)で亡くなった中学生は遺書を残しており、その凄惨(せいさん)な実態が社会に衝撃を与えた。そこで12年2月、政府は「学校暴力根絶総合対策」を発表した。校長に加害者を直ちに停学にできる権限を付与し、逆に隠蔽(いんぺい)すれば校長や教員は重い懲戒を受ける。中学校には複数担任制を導入。実態調査や発生した場合の「学校暴力対策自治委員会」の開催を法制化するなど多岐にわたる。

「117」番もその一つで、昨年6月に全国で開始。特に人口の集中するソウルでは、同7月から「届け出の受理」「相談」「捜査」チームが一体になって動き、被害の拡大を食い止める「ワンストップ」体制とした。ソウルセンターでは昨年7~12月に7886件を受理。本人からの申告が約50%に上った。

徐基溶(ソキヨン)センター長(現生活秩序課係長)は「学校暴力で重要なのは状況を明らかにすることだ。教育現場には警察に対する拒否感は残るが、第三者の調査専門家である警察の介入は解決に役立つ。われわれは決して処罰を目的としているわけではない」と話す。実際に刑事処罰に至るケースは1%未満という。

また、捜査チームの金政範(キムジョンボム)警査(巡査部長に相当)は「警察が出向くことで現場に円満に解決しようという雰囲気が生まれている」と指摘。「学校暴力はささいなことから大事に至る。われわれも『こんなことまでやらなければならないのか』という考えは捨てる必要がある。これは積極的予防措置なのだ」と話している。

 

毎日新聞 2月14日(木)8時22分配信

 

================================================ 

 

왕따는 117, 경찰이 상담 접수처리, 적극 개입

일본과 같이 왕따와 학교 폭력이 사회 문제가 되고있는 한국에서, 경찰이 적극 개입하여 해결 및 예방에 연결하려고 하고있다. 한국정부는 지난해 부처마다 제각각이었던 상담 전화를 "117" 으로 일원화하고, 전국 17 개 의 경찰에서 접수하는 시스템으로 개편했다. 그 중 유일하게 상담에서 수사까지 즉시 대응하는 서울 지방 경찰청 '학교 폭력 원 스톱 센터'의 활동을 따라가 보았다. 【서울 니시와키 신이치】

"여보세요." 6 일 오전 서울 지방 경찰청 13 층 센터에서 상담원이 전화를 받았다. 상대는 초등학교 5 학년 남자 아이의 어머니. 이전 아들이 언어로 인한 왕따를 받고, 한때 등교 거부로 5 일에도 같은 아이로부터 욕을 들어, "왜 나는 태어난 건지" 라고 푸념을 한다고 한다. 카운슬러가 센터에서 학교 문제를 담당하는 경찰관 "스쿨 폴리스"들과 협의 한 결과, 등교 거부의 경력과 어머니의 동요도 크기 때문에 출동 사안으로 결정. 입전에서 약 4 시간 반 후, 스쿨 폴리스 1 명, 센터 수사팀의 수사관 1 명이 집에 가서 어머니와 만났다.

"큰일 이네요" "어떤것을 원하십니까"-. 어머니의 긴장을 풀어주는 두 사람. 아이에 대한 대응 방법 등을 설명하고, 본인도 "이제 괜찮아" 라고 얘기했다. 어머니도 안정을 되찾고, 집에서1 시간 반 이나 있었다.

한국에서는 2011 년 12 월, 왕따를 근심으로 고생하던 3 명이 잇달아 자살. 특히 남동부 대구에서 숨진 중학생은 유서를 남겨 그 처참한 실태가 사회에 충격을 주었다. 그래서 2012 년 2 월, 정부는 '학교 폭력 근절 종합 대책'을 발표했다. 교장에 가해자를 즉시​​ 정학 할 수있는 권한을 부여하고, 반대로 은폐하면 교장과 교사는 중징계를 받는다. 중학교에는 여러 담임제를 도입. 실태 조사와 발생했을 경우의 '학교 폭력 대책 자치위원회 "의 개최를 법제화하는 등 다방면에 걸친다.

"117"번도 그 하나로, 지난해 6 월 전국에서 시작. 특히 인구의 집중 서울에서는 그해 7 월부터 "신고 수리" "상담" "수사"팀이 하나가되어 움직이고 피해를 막기 위해 '원 스톱' 체제로 전환했다. 서울 센터는 지난해 7 ~ 12 월에 7886 건을 접수. 본인의 신고가 약 50 %에 달했다.

서기용 센터장 (현 생활 질서과 계장)은 "학교 폭력으로 중요한 것은 상황을 분명히하는 것이다. 교육 현장에는 경찰에 대한 거부감은 남지만, 제삼자 조사 전문가인 경찰 개입은 해결에 도움이 된다. 우리는 결코 처벌을 목적으로 하고있는 것은 아니다 "고 말했다. 실제로 형사 처벌에 이르는 경우는 1 % 미만이라고한다.

또한 수사팀 김정범 경사는 "경찰이 직접 방문하여 현장에서 원만하게 해결 하자는 분위기가 생겨나고 있다" 고 지적했다. "학교 폭력은 사소한 것 부터 큰것으로 진화한다. 우리도 "이런 것까지 하지 않으면 안되는 것인가 " 라는 생각은 버릴 필요가 있다. 이것은 적극적인 예방 조치이다" 고 말했다.

 

마이니치신문 2월14일(목)8시22분 배신

 

 

 

 

 

 

 








[공유경제 CEO-짐 캐리 손진현]“커지는 공유 시장, 공유경제 정의부터 마련해야”
[KJtimes=김승훈 기자]여행이 일상화된 시대지만 무거운 짐을 들고 다니기에 불편한 점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그러나 공유 경제 시대가 도래하면서 이러한 문제점도 해결할 수 있게 됐다. 즉, 공항이나 기차역에서 자신의 짐을 운반하지 않고 원하는 장소에서 받아볼 수 있게 된 것이다. 공유경제 스타트업 짐 캐리(ZIM CARRY)의 손진현 대표는 지난달 25일 경남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열린 ‘2021 제1회 공유경제 학교’에서 ‘공유경제 기업특강’을 했다. 손 대표에 따르면 짐 캐리는 기차역·공항 수화물 보관과 픽업 서비스를 하는 업체다. 손 대표는 “처음 이 서비스를 시작했을 때 사람들은 ‘이게 왜 공유 경제냐, 공유 기업이냐’는 말을 했다”면서 2021년도 부산시 ‘공유경제 활성화 지원사업’ 시행 모집 공고문의 공유경제 기업 유형과 사례를 제시했다. 부산시 ‘공유경제 활성화 지원사업’의 공유자원에 따른 분류를 보면 ▲모빌리티공유(자전거·차량·운송연계 등) ▲공간공유(주차장·숙박·회의 등 비즈니스 공간·사무 공간 등) ▲물품공유(의류·장난감·가전제품·생활용품 등) ▲정보서비스(온라인교육·재능·지식서비스·도서 등)로 나뉜다. 손 대표는 특히 부산 공유경제 활성화

[스페셜 인터뷰]‘소통 전도사’ 안만호 “공감하고 소통하라”
[KJtimes=견재수 기자]“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사회변화는 타인의 생각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능력을 자라지 못하게 방해하고 있다. 공감과 소통이 어려워진 것이다.(공감과 소통의) 의미가 사라지고 충동만 남게 됐다.” 한국청소년퍼실리테이터협회(KFA: Korea Facilitators Association)를 이끌고 있는 안만호 대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디지털 사회로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해 이 같이 진단했다. 또 이제 공감능력 없이는 생존하기 힘든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면서 비대면 사회에 대한 깊은 우려를 나타냈다. 소통 전문가로 통하는 안 대표는 “자신을 바라보고 다른 사람을 이해하며 공감하고 소통하는 방법이 필요한데 스마트폰이나 SNS, 유튜브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되면서 어느 순간 사회성은 경험의 산물이 아니라 지식의 산물이 되어 버렸다”며 “요즘 인간의 탈사회화가 진행되는 것에 비례해 인간성의 급격한 하락을 경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코로나 사태는 사회적 거리를 두더라도 우리가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개체가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는 관계이자 연대라는 점이 더욱 분명하게 밝혀졌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