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インドネシア】韓国KDB大宇証券、子会社設置で本格参入

韓国証券大手のKDB大宇証券はインドネシア市場に本格参入する。現地の出資先であるインターネット証券最大手の韓国系イートレーディング証券(本社、ジャカルタ)の株式をこのほど買い増して子会社化。人材、資本などを投入して事業規模の拡大を図る。


18日にイートレーディングの株式41.65%を追加取得し、出資比率を8割に引き上げた。取得額は明らかになっていない。KDB大宇は07年に2割出資し、その後、38.35%まで買い増し、取締役を派遣していた。今後は社長を含む複数人の幹部を新たに送り込んで新体制を構築する。


イートレーディングは2002年に韓国の元証券会社の社員が設立。従業員400人を抱える。ネット証券の先駆けとして数年前からシェアを拡大。売買代金では5~10位だが売買高は首位。ネット証券ではシェア2割でトップだ。


KDB大宇は海外展開を積極的に進めており、特にアジアを中心とする新興国での事業基盤を強化している。今回の出資比率引き上げを契機に、経済成長に伴い証券市場が活性化するインドネシアでのプレゼンスの向上を狙う。


今後は韓国式の金融システムも導入し、現地での販売体制を拡充するほか、韓国企業を中心とした合併・買収(M&A)に伴うアドバイザリー業務、不動産のプロジェクトファイナンス業務を新たに開始する計画だ。


KDB大宇は香港、北京、シンガポール、ロンドン、ニューヨークにも子会社を置き、東京、北京、上海、ホーチミンに駐在員事務所を設ける。ジャカルタの現地法人と合わせた海外拠点数は10カ所。


インドネシア証券取引所(IDX)の株価指数(IHSG)は、同国経済のファンダメンタルズ(基礎的諸条件)が堅調なことを背景に上昇基調にある。19日の終値は年初から15%高い4,998.46だった。 

 

NNA 2013/4/22 08:30 

 

================================================ 

 

【인도네시아】 한국 KDB 대우 증권, 자회사 설치에 본격 참가

한국의 투자 은행인 KDB대우 증권은 인도네시아 시장에 본격 진출한다. 현지 출자처인 인터넷 증권 최대의 한국계 잇레딩증권 (본사, 자카르타) 주식을 최근에 사고 증가하여 자회사화 했다. 인력, 자본 등을 투입 해 사업 규모의 확대를 도모한다.

18일 잇레딩의 주식 41.65 %를 추가 취득해, 출자 비율을 80%로 끌어 올렸다. 취득액수는 밝히지 않았다. KDB대우는 2007년에 20% 출자 한 다음 38.35%까지 더 취득하고, 이사를 파견했다. 앞으로 사장을 포함한 여러 명의 임원을 새로 보내고 새로운 체제를 구축한다.

잇레딩은 2002년, 한국 최초로 전증권사 직원들이 설립. 직원 400명을 안고있다. 넷 증권의 선구로서 몇 년 전부터 점유율을 확대. 매매 대금은 5 ~ 10 위이지만 거래량은 최고. 넷 증권에서 점유율 20 %에서 최고이다.

KDB 대우는 해외 전개를 적극적으로 진행하고 있으며, 특히 아시아를 중심으로하는 신흥국에서의 사업 기반을 강화하고있다. 이번 출자 비율 인상을 계기로 경제 성장에 따라 증시가 활성화 인도네시아의 존재 향상을 노린다.

앞으로는 한국식 금융 시스템도 도입하고 현지에서의 판매 체제를 확충하는 것 외에 한국 기업을 중심으로 한 인수 합병 (M & A)에 따른 자문 업무, 부동산 프로젝트 금융 업무를 새롭게 시작 할 계획이다 .

KDB 대우는 홍콩, 베이징, 싱가포르, 런던, 뉴욕에도 지사를두고 도쿄, 베이징, 상하이, 호치민에 대표 사무소를 마련한다. 자카르타 현지 법인과 함께 해외 거점수는 10 개소 이다.

인도네시아 증권 거래소 (IDX) 주가 지수 (IHSG)은 국가 경제의 펀더멘털 (기초 조건)이 견조한 것을 배경으로 상승세에있다. 19 일 종가는 연초부터 15 % 높은 4,998.46이었다.

 

NNA 2013/4/22 08:30

 

 

 

 

 









[스페셜 인터뷰]‘소통 전도사’ 안만호 “공감하고 소통하라”
[KJtimes=견재수 기자]“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사회변화는 타인의 생각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능력을 자라지 못하게 방해하고 있다. 공감과 소통이 어려워진 것이다.(공감과 소통의) 의미가 사라지고 충동만 남게 됐다.” 한국청소년퍼실리테이터협회(KFA: Korea Facilitators Association)를 이끌고 있는 안만호 대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디지털 사회로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해 이 같이 진단했다. 또 이제 공감능력 없이는 생존하기 힘든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면서 비대면 사회에 대한 깊은 우려를 나타냈다. 소통 전문가로 통하는 안 대표는 “자신을 바라보고 다른 사람을 이해하며 공감하고 소통하는 방법이 필요한데 스마트폰이나 SNS, 유튜브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되면서 어느 순간 사회성은 경험의 산물이 아니라 지식의 산물이 되어 버렸다”며 “요즘 인간의 탈사회화가 진행되는 것에 비례해 인간성의 급격한 하락을 경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코로나 사태는 사회적 거리를 두더라도 우리가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개체가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는 관계이자 연대라는 점이 더욱 분명하게 밝혀졌다”면

[단독]‘사라진 엄마들의 돈’… 보니코리아 아웃라스트 사태 그 후
[편집자주] 지난 2017년 6월 유아용 매트를 사용하던 아이가 잔기침을 하고 두드러기가 생겼다는 글이 인터넷 맘카페를 통해 확산되면서 대한민국 엄마들의 공분을 샀던 일이 있었다. 바로 ‘보니코리아의 아웃라스트 사태(이하 보니 사태)’다. 당시 한국기술표준원(www.kats.go.kr)은 유해성 논란이 불거지자 ‘리콜’을 권고했다. 하지만 보니코리아 홍성우 대표는 ‘재고 소진 후 환불하겠다’는 대응을 했다가 여론의 뭇매를 맞았다. 유해성 의혹을 받고 있는 제품을 끝까지 팔아치우려는 비양심적 기업이라는 비난이 들불처럼 번진 탓이다. 결국 소비자들의 분노는 극에 달했다. 이에 홍 대표는 ‘제품의 환불 및 리콜과 관련해 법적 절차에 따라 모두 처리할테니 신뢰를 회복할 수 있는 기회를 달라’고 사과문을 발표했다. 그러나 홍 대표의 사과 이후 4년째, 기회를 달라던 홍 대표와 그의 환불 약속은 세월과 함께 종적을 감췄다. <kjtimes>는 월매출 수십억원을 올리며 급성장하던 회사가 보니 사태 직후 선량한 소비자들을 왜 피해자 상태로 방치하게 됐는지, 그 책임은 누구에게 있는지, 그리고 종적을 감췄던 홍성우 전 대표와 최근 혜성처럼 나타난 유아용품 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