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国】明洞の露店「二部制」、外国人からは惜しむ声

ソウル市中区が4月から明洞地域の露店を対象に、一日置きに営業を許可する「二部制」を導入してから20日ほどたつが、反応はそれぞれだ。アジア経済新聞が伝えた。


明洞でペット用品を販売する露店商は「商売できる日が半分に減ったため売り上げも落ち込むだろう」と話す。シンガポールからの観光客は「韓国の食べ物も食べて、ショッピングをするために明洞に露店がなくなれば面白くなくなる」と、外国人観光客からはショッピングなどの楽しみが減るとの惜しむ声も上がっている。

一方、露店は完全になくすべきとの主張もある。明洞で約10年間アクセサリー店を営む人は「露店商が売り上げのかなりの部分を浸食している」とし、「露店商の一部が減ったからといって売り上げに変化はない。すべてなくすべきだ」と話している。


特に、明洞駅の6番出口からメインロードに続く区域は1カ月のテナント料が300万~350万ウォン(約26万7,000~31万1,400円)に上るため、同区域で店を営む商店からの反発は大きい。


一般市民たちは「露店商がなくなったので通行がとても楽になった」、「これまで露店商に隠れて目に見えなかった商店を見る機会が増えた」との声が上がっている。


区によると、明洞で営業する露店は272店あったが、「二部制」が導入されてから現在は1日約130店が店を構える。同区は将来的には露店を完全になくす計画だ。

 

NNA 4月24日(水)8時30分配信  

 

=================================================

 

한국 명동 노점 "이부제" 외국인들 아쉬워하는데..

서울시 중구 4월부터 명동 지역 노점을 대상으로 격일로 영업을 허가하는 "이부제' 를 도입 한 지 20일 정도지나니 반응은 제각각이라고 아시아 경제 신문이 전했다.

명동에서 애완 동물 용품을 판매하는 노점상 "장사 할 수있는 날이 절반으로 줄어들었기 때문 매출도 침체 것" 이라고 말했다. 싱가포르 관광객 "한국 음식 먹고, 쇼핑하기 위해 명동 노점이 없어지면 재미 없어 질것 같다" 라며, 외국인 관광객 쇼핑 재미가 줄어드는것에 대해 안타까워하는 소리도 나오고 있다.

한편, 노점을 완전히 제거하자는 주장도있다. 명동에서 10년간 액세서리 가게를 운영하는 사람은 "노점상 매출의 상당 부분 침식하고있다" 며 "노점상의 일부가 줄어든다고해서 매출 변화는 없다. 모든 없애야 한다 "고 말했다.

특히 명동역 6번 출구에서 메인로드 이르는 지역은 1개월 세입자 비용 300만 ~ 350만원 (약 26만 7,000 ~ 31만 1,400엔)에 이르기 때문에, 이 지역에서 상점을 운영하는 상점의 반발이 크다.

일반 시민들은 "노점상 없어져 통행이 매우 편해졌다", "지금까지 노점에 가려져 보이지 않았던 상점을 볼 기회가 늘었다" 는 목소리가 높아지고있다.

중구에 따르면, 명동에서 영업하는 노점 272점포였지만, "이부제" 도입 된 후, 현재 1일 약 130점포가 가게를 연다. 미래적으로는 노점을 완전히 제거  한다는 계획이다.

 

NNA 4월24일(수)8시30분 배신  

 

 

 

 

 

 









[스페셜 인터뷰]‘소통 전도사’ 안만호 “공감하고 소통하라”
[KJtimes=견재수 기자]“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사회변화는 타인의 생각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능력을 자라지 못하게 방해하고 있다. 공감과 소통이 어려워진 것이다.(공감과 소통의) 의미가 사라지고 충동만 남게 됐다.” 한국청소년퍼실리테이터협회(KFA: Korea Facilitators Association)를 이끌고 있는 안만호 대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디지털 사회로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해 이 같이 진단했다. 또 이제 공감능력 없이는 생존하기 힘든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면서 비대면 사회에 대한 깊은 우려를 나타냈다. 소통 전문가로 통하는 안 대표는 “자신을 바라보고 다른 사람을 이해하며 공감하고 소통하는 방법이 필요한데 스마트폰이나 SNS, 유튜브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되면서 어느 순간 사회성은 경험의 산물이 아니라 지식의 산물이 되어 버렸다”며 “요즘 인간의 탈사회화가 진행되는 것에 비례해 인간성의 급격한 하락을 경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코로나 사태는 사회적 거리를 두더라도 우리가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개체가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는 관계이자 연대라는 점이 더욱 분명하게 밝혀졌다”면